반응형

 

이미 차를 받았다는 글을 쓰긴 썼는데, 그 전에 K5를 타고 원효봉에 올라갔던 사진이나 올려보려 합니다. 까스차 치곤 잘 나오는 연비를 자랑했지만, 디젤 대비 1.5배 수준의 연료비와 2000rpm만 넘어가도 양카같은 배기음이 나오는 건 전혀 제 취향이 아니네요. 그래서 조금이라도 빨리 제 차를 타고 싶었습니다.

 

출력은 아쉽지 않다.

디자인이나 편의사양은 말 할 것도 없고 출력면에서도 전혀 아쉽지 않았습니다.

 

까스차가 힘이 없다는건 다 20년 전 얘기고 지금 까스차는 일상 주행에 아무런 스트레스가 없습니다. 다만 지금과 같은 까스값으로 과연 이 차를 타는게 경제적이냐는 물음에는 답변을 하기 어렵네요. 하이브리드는  넘사벽이고 일반적인 내연기관 기준으로 2.0 휘발유와 km당 연료비에서 겨우 2원 수준의 차이만 보였고, 차라리 휘발유 1.6 터보가 세금도 싸고 출력도 좋고 연료비도 훨씬 저렴하게 먹히는 느낌입니다.

 

가야산 원효봉을 올라가면서도 출력이 딸리는 문제는 없었습니다. 넥쏘도 거뜬히 올라왔고 어지간한 준중형급만 하더라도 쉽게 올라다니는지라 당연히 쉽게 올라오겠죠. 편의사양도 기본트림에 기본적인 옵션만 들어가도 충분했습니다.

 

밟는대로 그냥 나감

밟는대로 그냥 나갔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느 순간 꽤 높은 속도로 달리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더군요. 밟는대로 잘 나가고 잘 서고 그대로 중형차라고 방음도 우수했습니다. 그래도 단지 연료비가 디젤보다 1.5배 비싸다는 사실이 이 차를 빨리 반납하고싶다는 생각을 하게 했네요.

 

여튼 제 차의 수리가 끝났다고도 했고, 렌터카를 반납하러 갔습니다.

 

1301.6 km 주행

1301.6km를 주행했네요.

 

3만km를 제가 넘기고 반납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만, 약 35km 모자른 29965km에서 반납했습니다. 아마 명절 연휴중에 다른 누군가에게 대차가 나간다면 다음 이용자가 3만km를 달성하겠죠. 특별한건 없었습니다. 반납 전날 외부세차만 대충 해뒀고, 별다른 문제 없이 반납도 끝났으니 말이죠.

 

약 11일간 과학 까스차 잘 탔습니다. 꼭 사야한다면 1.6 터보 혹은 하이브리드가 아닌 이상 제 돈 주고 구입하고 싶은 마음은 없네요. 어디까지나 경제적인 디젤차가 답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디젤차 대비 1.5배의 연료비가 들어가는 까스차를 연휴까지 타고싶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공업사에 차가 언제 나오느냐 문의했더니만 토요일에 나온다네요. 토요일에 렌터카 사무실에서 차가 다 끝나서 가져다 준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그냥 빨리 보고싶은 마음에 렌터카 사무실로 간다고 했네요.

 

SAMGAKTE & K5

반타샤 아니 앞은 쥐색 뒤는 빨간색의 이상한 차가 왔습니다.

 

과학 렌터카 드디어 반납하네요. 1월 18일 아침에 대차를 받은 뒤 1월 29일까지 11일간 탔습니다. 사이드미러도 한쪽은 빨강 한쪽은 아이언 그레이네요. 뭐 여튼 세차까지 깔끔하게 해서 왔으니 잘 고쳐졌는지 확인이나 해보기로 합시다.

 

일단 내 전기차 플레이트가 사라졌음.

앞은 좌측 헤드램프와 방향지시등을 제외하고 싹 다 바꿨습니다.

 

범퍼 그릴 좌측 헤드램프와 본넷 그리고 양쪽 휀다가 모두 갈려나갔습니다. 외판은 사실상 다 갈려나갔습니다. 그리고 운전석 헤드램프는 벌써 세번째 교체입니다. 휠도 닿으면서 기스가 생겼는데 교체하지 않았네요.

 

도장도 그럭저럭 준수하게 나왔다.

도장도 그럭저럭 준수하게 나왔습니다.

 

딱히 흠이 잡힐만한 부분은 없네요. 오랜지필은 신차도 있는거라 그러려니 하고 펄도 잘 들어갔고 먼지가 끼는 등 잡티도 없습니다. 랩핑을 벗겨봐야 원래 도장과 잘 맞춰 왔는지 확인이 가능할텐데 그건 다시 작업할때나 볼 수 있겠죠. 랩핑 이전의 색으로 돌아온 모습을 보면 뭔가 새롭게 느껴지고 새차 타는 기분은 못해도 한두달은 생길거라 생각했는데 딱히 그렇지도 않네요. 빨리 랩핑이나 다시 하고 싶은 생각입니다.

 

본넷은 닦지도 않았네.

차는 실내까지 아주 깔끔하게 세차를 해서 왔습니다만, 본넷은 닦지도 않았네요.

 

공업사에서 작업하면서 더러워진 상태 그대로 출고되었습니다. 그거 에어 불어주는게 그렇게 어려운것도 아니고요. 이전 상태 대비 훨씬 더러워진 상태로 왔습니다. 일단 엔진룸부터 닦아주러 가기로 합니다.

 

커넥터와 배선도 신품으로

라이트 커넥터와 배선도 신품으로 교체되었습니다. 퓨즈박스는 왜 그대로?

 

밀리면서 커넥터도 다 깨졌으니 당연히 교체되었겠지요. 그러고보니 퓨즈박스도 깨져있는데 교체하지 않았네요? 통공장이면 어지간해서 만지지 않아도 될 부분까지 견적에 넣어 견적을 높게 빼는데 대체 어떻게 견적을 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연휴 끝나면 이거 다시 해달라고 대물 담당자한테 전화해야죠.

 

펄까지는 올라갔는데 색은 맞지 않음

본넷 안쪽은 겉칠만 올리고 말았네요.

 

이건 뭐 보이는 부분도 아니고 하니 그렇다 칩시다만, 힌지와 너트 색상하고 천지차이네요.

 

운전석 앞유리도 교체. 썬팅이 너무 진하다.

운전석 앞유리도 교체했습니다만, 썬팅이 매우 진합니다. 육안상으로도 큰 차이를 보이네요.

 

운전석 앞유리도 긁힌 관계로 교체했습니다. 겉으로 봐선 큰 문제가 없었는데, 안에서 보니 너무 어둡네요. 뒷창문이 열렸다고 생각하기도 했는데 운전석에 새로 부착한 필름이 매우 어둡습니다. 어느 회사의 어떤 제품을 시공했는지도 로고가 붙어있지 않아 알 수 없고, 농도가 진해서 그런건지 싸구려 필름이라 안에서 매우 어둡게 보이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그렇습니다.

 

품질 보증서

품질 보증서와 함께 공임 및 부품 견적서가 동봉되어 왔습니다.

 

다 교체가 가능한 외판 작업인지라 스폿용접만 도장이 찍혀있지 않네요. 수리 부위에 대해 3년간 품질을 보증해준다고 합니다만, 아무리 못해도 3년 이상은 버티리라 생각됩니다. 견적서를 자세히 보니 우측 휀다는 탈착만 넣어놓고 분명 교정하고 도장을 했을텐데 판금이나 교체 혹은 도장 견적도 넣지 않았습니다.

 

뭐 여튼 별 다섯개 중 3개정도 주고싶네요.

 

공임
부품값

공임 2,366,890 부품값 2,438,668

합계 4,805,558원이 수리비로 청구되었습니다.

 

차량가액이 1500만원정도 나오고 가액의 20% 이상의 수리비가 나왔으니 출고 5년 이내 차량이기도 하니 격락손해금까지 받을 수 있겠네요. 뭐 주행거리도 많고 성능점검부에 X자 찍힐 부분도 많아 팔아먹기도 정말 글렀습니다.

 

휠도 그렇고 퓨즈박스도 그렇고 미흡한 부분이 있어 연휴 끝나고 공업사나 보험사에 전화해서 다시 보내던지 해야 할 것 같은데 아직까지도 신경써야할 부분이 참 많습니다. 내 과실이 붙지 않는 사고가 나도 신경쓸것도 많고 손해도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앞으로는 부디 무탈히 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용 J100(토레스) 테스트카  (0) 2022.01.31
K5 DL3 렌터카 원효봉중계소+반납  (1) 2022.01.30
프리마 앞유리 크랙.  (4) 2022.01.27
아반떼 사고수리 근황.  (0) 2022.01.26
K5 DL3 LPG 연비.  (0) 2022.01.23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