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주 전 주말에 일본에 가 있었는데 차고에 넣어놓았던 갤로퍼의 경적이 제멋대로 울려서 배터리 - 단자를 빼놓았다는 얘기를 뒤늦게 들었습니다. 그래서 시간 날 때 수리를 해야지 마음먹고 있다가 지난 토요일에 바로 차고로 향해 핸들부터 뜯었네요.
구형 갤로퍼 3 스포크 핸들의 고질병이라고 하더군요. 만 31년 차의 오래된 차량인지라 당연하게도 현대정공 시절의 'HYUNDAI' 레터링이 각인된 혼캡은 나오지 않고, 개선품이자 뉴포터에 적용되었던 타원형 현대 로고가 적용된 혼캡은 구할 수 있어 다수의 차량에 뉴포터용 혼캡이 대신 달려있곤 합니다.
마침 자료사진이 있네요.
기존 혼캡의 고질병으로 인해 이렇게 뉴포터용 혼캡을 달아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기존 혼캡 역시 살리자면 살릴 수 있습니다. 기존 혼캡의 스펀지가 다 죽어버린 상황에 날도 더운지라 동판으로 된 접점이 닿아서 경적이 혼자 울리던 상황이었고 일단 배터리를 빼놓았다고 하니 배터리 단자를 끼우기 전 핸들부터 분해하여 수리하면 되겠습니다.
대충 본넷이 열려있는 상태로 약 일주일간 세워져 있었답니다.
목장갑도 보이고요. 배터리의 '-' 단자만 빠져있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먼저 만질 것은 없기에 운전석 문을 열고 핸들의 혼캡부터 뜯어내기로 합시다.
핸들 뒷편의 볼트만 풀어주면 혼캡은 아주 쉽게 빠집니다.
작은 드라이버로 잘 돌려주니 볼트가 빠지고 혼캡이 떨어져 나옵니다. 크락션 배선 커넥터까지 분리하면 혼캡은 쉽게 떼어 낼 수 있습니다.
떼어낸 혼캡을 확인합니다. 이미 실리콘이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이전 주인이 한 번 보수공사를 진행했었다고 합니다. 혼캡 커버 안쪽의 피스를 모두 풀어주고 실리콘까지 살살 제거해줘야 혼캡 안에 있는 동판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혼캡이 탈거된 핸들입니다.
이 상태로 배터리를 연결하여 차를 차고 밖으로 빼놓습니다. 그리고 에어컨이 빵빵하게 가동되는 방 안에서 혼캡의 분해작업을 마저 진행하기로 합니다.
실리콘을 조심스럽게 뜯어줍니다.
마침 혼캡의 배선 역시 검정색이라 혹여나 배선을 자르지 않을까 확인해 가며 실리콘을 제거해 주고 절개선을 따라 조심스럽게 분리해냈습니다.
혼캡 커버와 동판이 분리되었습니다.
커버 안쪽에 있습니다. 분리된 스위치 부분을 반대로 엎어보면 동판이 나옵니다.
동판 두 개 사이에 스펀지가 붙어있고, 각 동판에 배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즉 평소에는 스펀지로 인해 떨어져 있다가 클락션 스위치를 누르면 동판이 서로 붙어 전류가 흐르며 경음기가 울리는 원리입니다. 손만 살짝 가져다 대도 경적이 울어서 불편했는데 아마 스펀지가 오래되어 생긴 문제였을 겁니다.
이제 과감하게 반을 갈라 두 동판 사이에 붙어있는 스펀지를 제거해 줍니다.
대충 구조는 이렇습니다.
동판과 동판 사이 스펀지가 붙어있어 평소에는 떨어져 있지만 경적을 누르면 동판의 튀어나온 부분이 닿아 전류가 흐르는 방식이더군요. 스펀지가 완전히 삭아있지는 않았습니다.
일단 구조도 확인했으니 도보로 1분 거리의 문구점에서 문풍지를 구입하여 돌아왔습니다.
문풍지와 본드를 구입했습니다만, 본드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문풍지의 두께가 기존 스펀지 대비 조금 두껍긴 했습니다만, 어차피 눌렀을 때 전류만 흐르면 됩니다. 그래서 문풍지를 잘라 위에 한 줄 아래에 한 줄을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살짝 피해가며 붙이고 다시 조립했습니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인지라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문풍지도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았고요 많이 잡아야 한 20cm 정도면 충분했습니다.
미리 차고에서 빼놓았던 차량에 가서 다시 핸들을 조립합니다.
종전에는 손만 살짝 가져다 대도 울렸던지라 잘못 누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 그런 문제도 사라졌네요.
일반적인 다른 차량들의 경적을 누르는 수준의 힘을 줘야 경적이 울립니다. 아마 앞으로 30년은 더 타야 한번 더 뜯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구형 핸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차가 과연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지만, 쉽게 구할 수 있는 문풍지만으로도 수리가 가능했습니다.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트 EV 펑크 + 보험 긴급출동 타이어 수리 (0) | 2024.08.25 |
---|---|
7월 16일 코나 중침사고 처리 완료 (0) | 2024.08.22 |
타타대우 프리마 에어컨 콘덴서 파손 + 교체 (0) | 2024.08.19 |
포터2 본넷 교체 (신형개조) (0) | 2024.08.06 |
포터2 뒷 발판 교체 및 에어탱크 제거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