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 2주 전 주말에 일본에 가 있었는데 차고에 넣어놓았던 갤로퍼의 경적이 제멋대로 울려서 배터리 - 단자를 빼놓았다는 얘기를 뒤늦게 들었습니다. 그래서 시간 날 때 수리를 해야지 마음먹고 있다가 지난 토요일에 바로 차고로 향해 핸들부터 뜯었네요.

 

구형 갤로퍼 3 스포크 핸들의 고질병이라고 하더군요. 만 31년 차의 오래된 차량인지라 당연하게도 현대정공 시절의 'HYUNDAI' 레터링이 각인된 혼캡은 나오지 않고, 개선품이자 뉴포터에 적용되었던 타원형 현대 로고가 적용된 혼캡은 구할 수 있어 다수의 차량에 뉴포터용 혼캡이 대신 달려있곤 합니다.

 

자료사진

 

마침 자료사진이 있네요.

기존 혼캡의 고질병으로 인해 이렇게 뉴포터용 혼캡을 달아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기존 혼캡 역시 살리자면 살릴 수 있습니다. 기존 혼캡의 스펀지가 다 죽어버린 상황에 날도 더운지라 동판으로 된 접점이 닿아서 경적이 혼자 울리던 상황이었고 일단 배터리를 빼놓았다고 하니 배터리 단자를 끼우기 전 핸들부터 분해하여 수리하면 되겠습니다.

 

대충 이런 상태

 

대충 본넷이 열려있는 상태로 약 일주일간 세워져 있었답니다.

 

목장갑도 보이고요. 배터리의 '-' 단자만 빠져있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먼저 만질 것은 없기에 운전석 문을 열고 핸들의 혼캡부터 뜯어내기로 합시다.

 

핸들 뒷편 볼트만 풀어주면 빠짐

 

핸들 뒷편의 볼트만 풀어주면 혼캡은 아주 쉽게 빠집니다.

 

작은 드라이버로 잘 돌려주니 볼트가 빠지고 혼캡이 떨어져 나옵니다. 크락션 배선 커넥터까지 분리하면 혼캡은 쉽게 떼어 낼 수 있습니다.

 

이미 실리콘 떡칠

 

떼어낸 혼캡을 확인합니다. 이미 실리콘이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이전 주인이 한 번 보수공사를 진행했었다고 합니다. 혼캡 커버 안쪽의 피스를 모두 풀어주고 실리콘까지 살살 제거해줘야 혼캡 안에 있는 동판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혼캡이 탈거된 핸들

 

혼캡이 탈거된 핸들입니다.

 

이 상태로 배터리를 연결하여 차를 차고 밖으로 빼놓습니다. 그리고 에어컨이 빵빵하게 가동되는 방 안에서 혼캡의 분해작업을 마저 진행하기로 합니다.

 

실리콘 뜯어내기

 

실리콘을 조심스럽게 뜯어줍니다.

 

마침 혼캡의 배선 역시 검정색이라 혹여나 배선을 자르지 않을까 확인해 가며 실리콘을 제거해 주고 절개선을 따라 조심스럽게 분리해냈습니다.

 

분리완료

 

혼캡 커버와 동판이 분리되었습니다.

 

커버 안쪽에 있습니다. 분리된 스위치 부분을 반대로 엎어보면 동판이 나옵니다.

 

동판

 

동판 두 개 사이에 스펀지가 붙어있고, 각 동판에 배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즉 평소에는 스펀지로 인해 떨어져 있다가 클락션 스위치를 누르면 동판이 서로 붙어 전류가 흐르며 경음기가 울리는 원리입니다. 손만 살짝 가져다 대도 경적이 울어서 불편했는데 아마 스펀지가 오래되어 생긴 문제였을 겁니다.

 

이제 과감하게 반을 갈라 두 동판 사이에 붙어있는 스펀지를 제거해 줍니다. 

 

동판과 동판 사이

 

대충 구조는 이렇습니다.

 

동판과 동판 사이 스펀지가 붙어있어 평소에는 떨어져 있지만 경적을 누르면 동판의 튀어나온 부분이 닿아 전류가 흐르는 방식이더군요. 스펀지가 완전히 삭아있지는 않았습니다.

 

일단 구조도 확인했으니 도보로 1분 거리의 문구점에서 문풍지를 구입하여 돌아왔습니다.

 

문풍지

 

문풍지와 본드를 구입했습니다만, 본드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문풍지의 두께가 기존 스펀지 대비 조금 두껍긴 했습니다만, 어차피 눌렀을 때 전류만 흐르면 됩니다. 그래서 문풍지를 잘라 위에 한 줄 아래에 한 줄을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살짝 피해가며 붙이고 다시 조립했습니다.

 

재조립

 

조립은 분해의 역순인지라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문풍지도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았고요 많이 잡아야 한 20cm 정도면 충분했습니다.

 

다시 조립

 

미리 차고에서 빼놓았던 차량에 가서 다시 핸들을 조립합니다.

 

문제 없다

 

종전에는 손만 살짝 가져다 대도 울렸던지라 잘못 누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 그런 문제도 사라졌네요.

 

일반적인 다른 차량들의 경적을 누르는 수준의 힘을 줘야 경적이 울립니다. 아마 앞으로 30년은 더 타야 한번 더 뜯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구형 핸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차가 과연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지만, 쉽게 구할 수 있는 문풍지만으로도 수리가 가능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원래 그냥 6개월 정도 굴리면서 기간만 채운 뒤 조기폐차나 시킬 생각이던 차라 그냥 타려 했습니다만, 미국산 대우 전기차보다 더 정이 붙고 최소 1~2년은 탈 예정인지라 평소 거슬리던 퓨즈박스 커버를 구입했습니다.

덩달아 지난번데 에어혼을 제거한 뒤 깨지거나 사라져서 그냥 비워뒀던 헤드라이닝 핀도 두개 사다 끼워줬네요.

품번


이거 가져다 끼울 사람이 있겠나 싶지만 품번입니다.

84755 4F010 커버 어셈블리 - 퓨즈 박스 ₩1,265
85326 4F00FI 플러그 ₩110

현대차답게 매우 착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퓨즈박스 커버의 경우 년식마다 퓨즈박스 배치도가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 품번이 상이하긴 합니다만 04년 초기형부터 유로5 이전 11년형까지의 품번은 동일합니다.

퓨즈박스


다른 커버는 뒤져보면 다 나오는데.. 저것만 없네요.

보기 흉하게 저 모습으로 여지껏 다녔습니다. 1265원짜리 기름값보다 저렴한 커버를 끼워주도록 합시다.

퓨즈박스 배치도


퓨즈박스 배치도와 함께 퓨즈를 뽑을 수 있는 핀이 들어있네요.

현대차 다운 혜자스러운 구성입니다. 영어 한글 아랍어로 경고문이 적혀있네요. 신차도 아랍권으로 수출이 나가나 봅니다.

장착완료.


퓨즈박스 커버는 그냥 잘 끼워주면 됩니다.

2008년 10월부터 사용되어온 대시보드와 새로 끼워진 퓨즈박스 커버 사이의 약간의 틈이 보입니다만, 그냥 속이 훤히 보이는 모습보다야 훨씬 낫지요. 저렴한 가격에 좀 더 깔끔해졌습니다.

정식 명칭 플러그


정식 명칭이 플러그인 헤드라이닝 핀도 달아줍니다.

재질은 플라스틱이지만 십자 피스가 걸려있는 이중 구조입니다.

빈 공간


가운데 하나만 걸고 잘 버텼습니다.

하나는 사라졌고 하나는 깨졌음에도 잘 붙어있어 굳이 걸지 않아도 되겠습니다만 비어있는 모습이 싫어 새 핀을 꼽아줍니다.

완료


헤드라이닝이 매우 더럽지만 새 플러그가 잘 꼽혔네요.

역시 자리를 잡은 뒤 십자 피스를 꾹 눌러서 끼워주면 죕니다. 저 더러운 헤드라이닝을 볼 때 마다 떼어낸 뒤 세척하고 싶어지네요. 조만간 싹 다 떼어내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