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랜만에 젠트라 3도어 이야기입니다.

특별한 건 없습니다만, 내캐치 주변 링을 메탈그레인으로 교체했습니다.

 

2002년 출시된 칼로스는 2005년 세단 모델이 젠트라로, 2007년 말 해치백 모델이 젠트라 X로 변경되기 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05년형부터 계기판 링이라던가 에어덕트에 은색으로 포인트를 주기 시작했으며, 내장재 컬러가 칙칙한 회색에서 진한 검은색으로 바뀌며 오늘 교체한 내캐치 커버에도 은색으로 포인트가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칼로스의 부분변경 모델인 젠트라X의 출시 이후에도 3도어 모델의 도어트림의 내캐치는 사각형 모향의 세단과 5도어와 달리 둥근 모양의 칼로스 부품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06~07년형 칼로스까지 적용되었던 메탈그레인 내캐치 커버가 빠지고 초기형에 들어가던 검은색 커버가 다시 사용되었습니다.

 

한참 칼로스가 현역으로 돌아다니던 시절에는 교체하기도 쉽고 부품도 저렴해서 필수품처럼 여겨지던 DIY였습니다만, 젠트라 3도어를 사 오고 한쪽 내캐치 커버가 떨어져 있어 은색으로 바꿔야지 싶었다가도 자료와 품번이 남아있지 않아 한참을 찾아 헤맸습니다. 그러던 와중 성원상사에 한참 DIY로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아 하나의 품목으로 판매 중인 내캐치 커버를 보고 구매했습니다.

 

칼로스 07년형 내케치 카바(메탈그레인)

2개에 1800원. 매우 저렴한 가격에 판매중입니다.

 

은색으로 도색된 부품이 저 가격이고 일반적인 검정색은 2개에 1400원입니다. 가격차이가 크거나 부담가는 가격이라면 그냥 검정색으로 구입해서 한쪽만 끼웠을텐데, 저렴하기도 하니 은빛 메탈그레인으로 주문했습니다. 

이스커천-도어 인사이드 핸들

96419498 이스커천-도어 인사이드 핸들(ESCUTCHEON-DR I/S HANDLE)

 

정식 명칭은 매우 어렵습니다만, 그냥 칼로스 내캐치 커버라고 얘기하면 쉽게 알아듣고 쉽게 구매가 가능합니다. 한 10년 전에는 그럭저럭 찾는 사람들이 있었겠지만, 지금은 칼로스도 다 수출길에 오르고 폐차장에 가는 시기이니 굳이 이걸 찾아 DIY하는 사람도 없을 겁니다. 예전에는 이것을 교체했다거나 품번을 공유하는 자료도 꽤 흔했는데, 지금은 찾으려고 해도 쉽게 찾을 수 없네요.

 

검정색과 은색

기존에 장착되어있던 검은색 커버와 메탈그레인 커버를 같이 놓고 비교해봅니다.

 

탈거도 쉽고 장착도 쉽습니다. 헤라나 일자 드라이버로 뜯어내고 그냥 홈에 맞춰 잘 끼워주면 됩니다. 초등학생도 쉽게 할 수 있는 난이도입니다. 제 차는 이미 한쪽은 깨져서 뜯어져 있고, 한쪽만 기존 커버를 뜯어주면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내캐치 커버가 탈거된 자리

내캐치 커버가 탈거된 모습입니다.

 

그냥 저 홈에 맞춰 새 커버를 끼워주면 됩니다. 물론 기존 커버를 원하는 색상으로 도색해도 무방합니다. 젠트라 세단과 5도어에는 새롭게 디자인한 크롬코팅 내캐치가 적용되었는데 3도어만 왜 칼로스시절 도어캐치를 그대로 우려먹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장착완료

장착완료. 검정색 도어캐치를 감싸는 커버에 포인트가 생겼습니다.

 

애초에 도어캐치 재질이나 디자인 자체가 싸구려틱해보이는 모습입니다만, 그래도 포인트가 생기니 덜 싸구려틱해보입니다. 문을 열고 닫는데도 전혀 간섭이 없습니다. 반대편도 같은 방법으로 도어캐치 커버를 교체해줬습니다.

 

멀리서 본 모습

멀리서 본 모습입니다. 칼로스보다도 더 잘 어울리는 느낌입니다.

 

에어벤트의 크롬 테두리와, 대시보드의 포인트 그리고 도어트림 손잡이까지 메탈그레인 계통이니 진작 이렇게 판매했어야 할 차가 아녔나 싶은 생각입니다. 신차 시절부터 이런 모습으로 판매했더라면 더욱 좋았을텐데, 혼자만 튀는게 아니라 주변과도 조화를 이루는 포인트가 되었네요.

 

소소한 DIY는 항상 재밌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대우가 개발하고 GM이 전 세계로 팔아먹었던 젠트라X 이야기입니다.

 

실내등에 전구가 끼워져 있었는데, 마침 갈아야지 갈아야지 하다가 투싼 트렁크등으로 사용하려다 놔뒀던 LED를 끼워줬습니다. 규격은 31mm. 젠트라와 같은 실내등이 최초로 사용된 칼로스도 2005년 풀체인지 이후 이 실내등이 적용된 올뉴마티즈도 동일한 규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31mm LED 

31mm LED입니다. 이보다 작거나 큰 LED도 소켓을 좀 늘리거나 줄이면 쉽게 쓸 수 있습니다.

 

이런 규격의 전구들의 장점이라면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소켓을 늘리거나 구부려서 조금 작거나 큰 전구도 쉽게 끼울 수 있으니 말이죠. 물론 젠트라 실내등으로 31mm 규격의 전구가 들어간다고 알고 있었습니다만, 제 차에 끼워진 전구는 훨씬 더 큰 36mm로 추정되었습니다.

 

실내등 커버 탈거

실내등 커버를 탈거했습니다. 조금 뚱뚱해보이는 전구가 자리잡고 있네요.

썬루프가 적용된 차량이라 버튼이 하나 더 있습니다.

 

썬루프가 없는 차량은 가운데에 실내등을 조작하는 스위치 말곤 없지요. 제가 신차를 출고하는 입장이라면 흡연자도 아니고 썬루프가 있어도 그닥 기분내는 용도 말곤 좋은게 없어보이는 물건인지라 추가하지 않았겠지만, 신차 출고 당시 썬루프가 포함되어 있어 그냥 겸사겸사 쓰는 수준입니다.

 

여튼 기존 전구를 손으로 잡아 탈거합니다. 실내등이 켜져있었더라면 뜨거워서 맨손으로 잡지 못했겠지만, 대낮에 켤 일은 당연히 없으니 그냥 잡아서 탈거합니다.

 

기존 전구와 비교

기존 전구는 36mm. 새로 장착될 LED는 31mm입니다.

 

중간에 어떤 차주가 차량을 매각하며 LED 대신 전구를 끼워놓으며 그냥 불만 들어오게 만들었을지 원래부터 36mm로 조립되었을지는 모르겠지만, 전구를 잡아주는 양쪽 소켓을 좀 안쪽으로 구부려서 LED를 거치만 할 수 있으면 됩니다. 두 등화의 규격이 달라도 상관없습니다.

 

장착완료

소켓을 조금 구부려서 LED를 거치해줍니다. 불이 잘 들어옵니다.

 

초딩도 쉽게 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전구대비 환하게 비쳐줍니다. 확실히 지하주차장에서 실내등을 켜보니 그 차이를 확실히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형광등을 켜둔 것 처럼 매우 밝습니다.

 

커버를 닫아준다.

모든 작업을 마쳤으니 다시 커버를 닫아줍니다.

 

빛이 고르게 퍼집니다. DIY라고 하기도 뭐한 내용이지만, 생색도 내고 남겨 둘 겸 이렇게 포스팅으로 기록해놓기로 합니다. 사실 예전부터 교체하려고 커버만 뜯어놓고 다녔는데, 약 2개월만에 교체하고 덮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