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해로 10회 연속 참여하는 비스토 아토스 동호회 전국정모에 다녀왔습니다.

비스토 없이 참여했던 세월이 더 길지만, 2020년부터 다시 비스토를 가지고 참여하고 있습니다.

 

2013.10.2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131019~20 [간단] 비스토 동호회 전국정모.

2013/10/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차량사진 모음

2013/10/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풍경/사물/기타사진모음

2014/10/26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141025~141026 비스토동호회 전국모임 (1) 제천 덕동계곡 이야기

2014/10/2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141025~141026 비스토동호회 전국모임 (2) 단체사진 촬영, 식당이동

2015/10/1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151017-18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대전 장태산휴양림) - 1

2015/10/22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151017-18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대전 장태산휴양림) - 2

2016/10/22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2016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2016/10/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161022-23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충주 계명산휴양림)

2017/10/29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171029 비스토동호회 총회

2018/10/1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181013-14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2019/10/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2~13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1) 1일차. 문경 해돋이쉼터.

2019/10/1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2~13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2) 문경사과축제 

2020.11.0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201107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군산 새만금 일원)

2021.11.2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211120-21 비스토동호회 전국정모 (태안 안면도)

 

2013년부터 비스토 동호회 모임에 참여했던 기록을 돌아봅니다. 전국정모라고 다녀왔던 지역들도 다양했습니다. 금산,제천,대전,충주,당진,옥천,문경,군산,태안까지. 매년 다른 지역을 찾아다녔습니다.

 

이번에는 최근 대구 근교 지역에서 활동하는 회원님들이 늘어 참여율을 높여보고자 대구에서 진행했는데, 저조했던 참여율 대비 절반은 성공했습니다. 하필이면 토요일 오후에 카카오 서버에 불이 나서 다음 카페도, 카카오톡도 볼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지만 레귤러 멤버라 볼 수 있는 운영진 외 다른 회원들이 오셔서 그래도 절반의 성공은 거뒀습니다.

 

VISTO TURBO

장거리를 뛰는 비스토 터보입니다.

 

그간 잠시 제 손 바깥에 있어 얘기가 없었습니다만, 수동 스왑 하려다가 터보용 신품 수동변속기가 그나마 재고로 잡히던 물건 역시 가라재고라는 사실을 깨닫고 자동변속기를 오버홀 했습니다. 그래서 변속충격도 없고, 미션오일 유온 역시 75도 이상 올라가지 않네요.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170,000km 돌파!

주행거리 17만km를 넘겼습니다.

 

2020년 10월에 16.2만km를 탄 상태에서 처음 봤고, 16.7만km 정도 타고 내려보냈고 16.9만km에 다시 올라왔습니다. 20년 넘은 차량 치곤 매년 1만km 이하로 타서 계기판에 이 수준의 적산거리가 찍혀있을테니 많이 타지 않은 차량이지요.

 

비슬산을 올라간다

목적지는 비슬산 유스호스텔(호텔 아젤리아)

 

그간 민박이나 펜션 위주로 방을 잡았습니다만, 이번에는 유스호스텔로 잡고 밥은 식당에 나가서 먹기로 결정했습니다. '호텔 아젤리아'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유스호스텔이 있었던 자리라 아직도 비슬산 유스호스텔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대구 달성군 남단의 현풍읍이 테크노폴리스라는 신도시로 개발되며 올라가는 길 근처는 도심의 느낌이 물씬 풍겨옵니다만, 비슬산 자락에 위치하여 올라가는 길이 꽤나 험악합니다. 

 

호텔 아젤리아

달성군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호텔 아젤리아.

 

지자체 산하 공단에서 운영하는 호텔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작은 유스호스텔이 있었던 자리에 2017년 새로 건물을 올려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여타 중소규모 관광호텔처럼 웨딩홀도 함께 운영하고 있고, 유스호스텔이라 생각하고 갔더니 시설이 매우 깔끔하고 현대적이라 놀랐습니다.

 

 

비스토 레이 아토스 비스토

아토스 옆 주차공간에 차를 세웠습니다.

그래도 비스토도 왔고 아토스도 왔습니다. 

 

중간에 두 차량만 처음 봅니다. 레이는 이전까지 노란색 비스토를 타셨던 운영진께서 지난 여름 차량 검사에 통과하지 못해 교체하신 차량이고, 아토스는 대구에 계신 회원님 차량입니다.

 

호텔 아젤리아 로비

유스호스텔 생각하고 왔더니 시설이 매우 좋습니다.

네 그럼요. 관광호텔인데요.

 

호텔 로비입니다. 로비층 위로 1,2,3층까지 숙박시설입니다. 결혼식이 열리는 모습은 볼 수 없었습니다만, 예식장은 로비 안내데스크 옆에 자리하고 있더군요. 단순히 예식을 보기 위해 오신 분들이라면 1,2,3층까지 올라갈 일은 없을겁니다.

 

매점도 있다

매점도 존재합니다.

 

간단한 컵라면이나 술안주같은 요깃거리를 판매하네요.

 

2001 VISTO TURBO

잠시 후 오셨던 회원님의 차량.  1인신조 비스토 터보 수동.

 

2001년 여름 출고 이후 20년 넘는 세월을 보유하고 계신 차량이라고 합니다. 강남구에서 발급된 서울 55 번호판이 세월을 증명합니다. 이거저거 많이 만져놓으셨고, 지금은 보기 어려운 용품들의 모습도 보이지만 차생의 대부분을 지하주차장에서 보내 엄청 깔끔하네요.

 

카카오가 터져서 연락이 어렵지만 모일 사람들은 얼추 다 모였고, 밥을 먹으러 테크노폴리스로 나갔습니다.

 

황제무한화로구이

황제무한화로구이라는 대구 근교에 체인점이 존재하는 무한리필 고기집에 왔습니다.

 

1인당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삼겹 갈비 막창 등 다양한 메뉴가 나옵니다. 밥은 무한리필, 불판은 직접 교체해야 합니다. 대기가 좀 있었지만, 약 2시간을 배터지게 먹고 올라왔네요.

 

 

비스토 터보 본넷

겉은 거의 순정이지만, 속은 지금은 보기 어려운 용품들의 모습이 많이 보이네요.

 

신차 출고 이후 20년을 한 주인과 함께 하고 있는 비스토입니다. 서울로 다시 올라가셔야 한다고 해서 차량 구경을 하고 있네요. 이런 괴물 비스토 터보가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그럭저럭 보였습니다만, 지금은 꽤나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만큼 세월이 꽤 많이 흘렀다는 이야기겠죠.

 

서울 55

작별 인사를 나누고 들어갑니다.

영업용이 아닌 녹색 지역번호판이 달린 차를 가지고 싶습니다.

 

여튼 들어가서도 느지막에 오는 회원을 맞이하고, 총회를 진행했습니다. 총회래봐야 운영진 재배치 말곤 딱히 안건도 없었으니 간단히 마무리 하고 잠을 잤다고 봐야 맞겠죠.

 

조식

아침에 일어나 호텔 조식을 먹고 2일차 일정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조식 쿠폰에 인원수대로 도장을 찍어주네요. 그냥 적당히 먹을만 했습니다.

 

비슬산 너머 현풍

비슬산 너머 현풍 시내의 모습이 보입니다.

 

11시쯤 나와서 본격적인 대구 근교를 구경하러 다니기로 합니다.

아토스 대신 스파크

2일차 일정은 아토스 대신 1대 주인이나 2대 주인이나 다 아는 익숙한 스파크가 함께 합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현풍에 왔으니 일명 근혜네.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앞도 들려봅니다.

 

 

태극기

대부분 고령층인 지지자들.

 

으리으리한 저택 근처로 경찰들이 근무를 서고 있습니다. 근처에 상가도 생기고 카페도 생기고 임시주차장과 화장실도 생겼네요. 관광지는 아닌지라 관광지임을 알리는 표시는 없습니다만, 관광지처럼 찾는 사람들이 좀 있으니 다들 알음알음 오나 봅니다.

 

도동서원 근처 주차장

도동서원 근처 주차장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도동서원으로 이동합니다.

 

도산서원을 중학생 시절 수학여행으로 가보고 약 15년만에 처음 방문하는 서원입니다. 도산서원급 규모를 생각하고 갔더니 그렇게 크지는 않더군요. 서원 앞 주차장은 복잡하고요. 

 

도동서원

낙동강변의 도동서원. 다른 서원들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조선 초기 비슬산 자락에 세워진 서원으로 병산서원,도산서원,소산서원,옥수서원과 함께 5대 서원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흥선대원군의 문화대혁명급 서원 철폐령에도 살아남아 지금껏 유지되고 있습니다.

 

환주문

수월루와 환주문을 거쳐 중정당으로 들어갑니다.

 

수월루는 조선 말기에 와서 세워졌고, 창건 당시부터 존재했던 환주문의 모습입니다. 도동서원의 경우 담장의 구조가 특이하여 담장까지도 보물로 보존되고 있다고 합니다.

 

중정당

중정당 마루 위에 앉아있으니 낮잠을 자고 싶어지네요.

 

사당은 출입이 통제되어 있고 중정당까지 갈 수 있습니다. 나름 중정당에서 낙동강이 보이는 그런 뷰를 생각했습니다만, 비슬산 자락에 그리 높지 않은 곳에 자리잡고 있어 낙동강이 눈에 들어오지는 않았습니다. 이후 달성보로 이동했습니다.

 

달성보 전망대

이명박 정부 당시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전국에 많은 보가 생겼습니다.

보 옆으로 전망대까지 건설하여 지금은 그냥저냥 관광지로 굴러갑니다.

 

대운하 사업의 좌초로 얼떨결에 밀어붙였던 치수사업이고 지금도 꽤 많은 논란이 있습니다만, 완공 이후 10년이 지난 뒤 보니 가뭄에 유용하게 사용하기는 했습니다. 당시 민주당 소속 지자체장들도 잘 써먹었고요. 효과만 놓고 보면 그렇습니다만, 아직도 자칭 깨시민들과 자칭 애국보수들이 보를 개방하니 철거하니 유지하니를 가지고 싸우고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합시다.

 

달성보 전경

달성보는 개방되어 있습니다. 개방을 해도 물 색은 녹색입니다.

 

 

달성보 이후 송해공원을 거쳐 회원님께서 운영하시는 계명대 앞 떡볶이집에 들렸습니다.

 

떡볶이 만두 김밥 등등

떡볶이를 점심으로 먹고 해산했습니다.

 

 

집에 돌아오니 7시. 뻗었습니다. 그렇게 2013년부터 빠짐없이 참석했습니다. 햇수로 10년차가 넘어가네요.  다음카카오의 복구작업이 늦어지며 후기 작성도 꽤 늦어졌습니다. 연말 송년모임과 내년 전국정모를 기약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12월 1일 보령시 오천읍 원산도와 대천항을 잇는 보령해저터널이 개통되었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해에는 안면도 남단 고남면 영목항 근처에서 원산도를 잇는 원산안면대교가 개통했지요. 지난 2013년 개통한 거가대교와 가덕해저터널 2017년 개통한 인천김포고속도로의 북항터널 이후 국내에서는 세 번째로 개통된 해저터널입니다.

 

거가대교는 꽤 비싼 요금을 받습니다만, 국도 77호선의 원산안면대교와 보령해저터널은 무료입니다.

 

일요일 방문 당시 상행선으로는 정체가 예상되어 AB지구를 거쳐 안면읍을 지나 해저터널을 타고 대천방향으로 나왔습니다. 예상대로 반대방향은 꽤 막히더군요.

 

안면읍 우회도로

국도 77호선은 안면읍 창기리부터 왕복 2차선으로 차선이 줄어듭니다.

 

통행량 증가가 예상되는만큼 미리 왕복 4차선 확장공사를 진행했으면 좋았을텐데 고남까지 쭉 2차선 도로가 이어집니다. 안면읍 우회도로를 타고 고남 방향으로 향합니다.

 

고남면 소재지

국도 77호선은 고남면 소재지를 그대로 가로질러 갑니다.

 

고남을 지나면 영목항. 영목항 즈음부터 원산도로 연결되는 도로가 건설되어 왕복 4차선으로 차선이 늘어납니다. 그 전까지 이런 왕복 2차선 도로를 타고 가야 합니다. 멀리 보면 차량 통행량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요.

 

고남교차로

고남교차로 이후부터 차선이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영목항과 고남6리, 7리 방향이 아닌 직진하여 원산도 방향으로 들어갑니다.

 

원산안면대교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와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리를 잇는 왕복 3차선 교량입니다.

 

안면도 방향의 상행은 1차로, 원산도 방향의 하행은 2차로네요. 이 교량을 지나도 왕복 3차로는 계속됩니다. 원산도 중간쯤 가야 4차로로 늘어나더군요.

 

보령시 오천면

다리를 건너기 무섭게 보령시 오천면을 알리는 표지판이 보입니다.

 

교량에 자전거도로가 잘 건설되어 있습니다. 영목항 근처에서 자전거나 전동킥보드를 타고 원산도 한바퀴 돌고 오는것도 나쁘지는 않아보이네요. 다만 해저터널을 갈 수 없습니다.

 

원산도 통과중

원산도를 통과합니다. 나름 면사무소 출장소도 있는 꽤 큰 섬입니다.

 

원산안면대교 개통 이전까지 태안군에서 육로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나가려면 무조건 서산시를 거쳐야만 했습니다만, 원산안면대교의 개통으로 서산을 거치지 않고 육로를 통해 보령시로 나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해저터널까지 개통된 지금은 보령시청 소재지인 대천까지 쉽게 나갈 수 있지요.

 

안면읍에서는 태안군청으로 가는 거리가 그래도 가깝겠지만, 안면도 남단 고남면에서는 태안군청보다 보령시청이 훨씬 더 가까울겁니다.

 

원산도 통과중

원산도를 통과합니다.

 

그냥 요즘 양식대로 지어진 평범한 도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선박을 타고 올 수 있는 섬에서 자동차를 타고 올 수 있는 섬으로 바뀐 원산도 역시 이전보다 많은 관광객들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원산도해수욕장 방향

그래도 원산도를 그냥 지나치기는 뭐해 원산도해수욕장을 보고 가려고 했습니다만.....

 

입구부터 대기줄이 엄청 길어 그냥 차를 돌려 나왔습니다. 국내 최장 해저터널의 개통으로 겸사겸사 들어온 관광객들이 대부분일겁니다. 앞으로 서너달은 이런 관광객들이 꽤 많이 원산도를 찾아오겠죠.

 

해저터널 표지판

해저터널을 앞두고 통행금지 표지판이 보입니다.

 

이륜차와 농기계의 통행이 금지됩니다. 기존의 다른 터널들이 고속도로나 지방도임에도 자동차전용도로로 분류되는 도로상에 존재하지만 보령해저터널만 일반 국도에 소재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유독 다른 터널보다 통행금지를 알리는 표지판이 큼지막하게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대천여객 버스

해저터널의 개통으로 원산도에도 시내버스가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시내버스의 시점인 구 대천역과 원산도 선촌을 잇는 버스가 12월 6일부터 일 5회 왕복한다고 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대천해수욕장을 경유하면 70분(102번), 해수욕장을 경유하지 않으면 50분(102-1번)이라고 하네요. 버스로 들어왔다가 구경을 마치고 버스를 타고 나가는것도 나름 괜찮게 느껴집니다.

 

해저터널을 타는 시외버스 개념의 직행좌석버스가 부산과 거제에 있긴 합니다만, 일반 시내버스는 최초가 아닐까 싶습니다.

 

해저터널 입구

해저터널 입구에 거의 다 도착했습니다.

 

군산까지 62km, 서천 50km, 보령은 17km입니다. 대천항 부근으로 나오기에 대천 시내에서도 외진곳에 자리잡은 보령시청까지는 약 10km 이상 나가야 합니다. 이정표만 보면 꽤 멀어보입니다만, 이전에 AB지구로 돌아서 다니던 거리를 생각하면 전혀 먼 거리가 아닙니다.

 

보령해저터널 입구

아직 공사가 덜 끝난 모습입니다.

 

해저터널은 편도 2차선 왕복 4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저 80M까지 내려간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국내 3대 해수욕장으로 통하는 대천해수욕장과 안면도의 접근성이 매우 좋아져 아마 내년 여름이면 본격적으로 이 터널로 인한 긍정적인 경제효과가 나타나리라 생각됩니다.

 

해저터널 내부

평범한 해저터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긴 합니다.

 

하행 기준으로 터널 초입에는 완만한 경사를 타고 내려갑니다. 70km/h 구간단속 카메라가 설치되어 속도를 내기에는 어렵습니다.

 

해저깊이 80m 지점

해저 80m 지점입니다. 이 위로 바닷물이 흘러가고 있겠죠.

 

그럼에도 솔직히 별 느낌 없습니다. 근처 관광지에 가거나 최단거리 도로를 통해 가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솔직히 얘기해서 그냥 오기엔 너무 평범합니다.

 

 

대천해수욕장 부근

말이 대천항이지 출구는 해수욕장 부근입니다.

 

가뜩이나 주말마다 관광객들로 붐비는 도로에 해저터널을 타겠다고 온 차량들까지 몰려 극심한 정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수도권으로 올라가는것이 목적지라면 차라리 해저터널 말고 고속도로를 타고 가는게 빠르고 편리한데 기여코 타겠다고 오는 차들이 참 많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10년의 공사 끝에 완공된 해저터널. 조금 더 일찍 뚫렸더라면 좋았겠지만, 그래도 이전처럼 한참 돌아서 갈 일은 없어졌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