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원도 그리고 저쪽 이북지방은 이미 첫눈이 내렸지만 제가 살고있는 당진. 

충청도 서해안 권역은 오늘 드디어 첫눈을 봤습니다.



진눈깨비 비슷한 함박눈이 쏟아집니다.


갑작스러운 폭설과 함께 강추위가 찾아온 바람에 다들 옷을 단단히 입고 나왔습니다. 전 그래도 열이 많은 사람인지라 간단한 바람막이 하나만 입고 나왔습니다. 당장 내일부터는 조금 두텁게 입고 나가야 할 듯 하네요. 


11월 말, 그리고 곧 12월을 향해 가는 시기가 왔으니.. 2015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신발이 쭉쭉 밀리는걸로 보아 노면도 상당히 미끄럽습니다.


물론 얼지 않는다면야 괜찮겠지만.. 날이 더 추워지고 눈이 녹고 하다보면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새벽시간대에는 노면이 얼기도 합니다. 그래도 눈이 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약 10여분 일찍 집에서 나온지라.. 조금 서행을 하더라도 그냥저냥 매번 도착하던 시간대 즈음에 도착하겠지 싶었답니다.



차를 지하주차장에 넣어둔지라 다행히 눈을 맞지는 않았습니다.


지하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니 비교적 따뜻한 곳에 있다 나온 차량 유리에 닿는 눈들이 그냥저냥 녹는군요. 지난 일요일 클럽데이때 와이퍼 바꾸길 정말 잘했습니다. 비록 순정부품 딱지를 붙이고 나와서 비싸게 주고 산 와이퍼였지만, 그 흔한 와이퍼 하나 바꿨다고 그렇게 잘 닦이더군요



설원이 된 32번 국도. 정말 오랜만에 봅니다.


그나저나 아직도 지난 봄에 교체한 난강 스포츠타이어 끼고 다니는데 말입니다.. 평지에서도 숙숙 밀리는 느낌이 느껴집니다. 뭐 사계절타이어도 스노우타이어도 빙판길에서 밀리지 않는다는건 구라입니다만, 그래도 여름용 타이어인지라 슥슥 밀리는게 사계절 타이어를 끼고 다녔던 작년과는 달리 느껴지는군요.


뭐 여튼 빠른 시일 내로 스노우타이어나 사계절타이어를 알아보던지 해야겠습니다.



잘 가다가 도로가 끝나는 지점에서 갑자기 차들이 비상등을 켜고 정차합니다.


무슨 일이 있나 싶더군요. 눈이 많이 와서 급커브와 경사가 있는 이 막다른 길을 올라가지 못해서 그러는건지. 아니면 사고가 난건지.. 일단 기다려 보기로 했습니다.


기다림은 기다림을 낳고. 약 십분이 경과했습니다.



옆 차선 역시 차들이 늘었고, 눈은 더 쏟아집니다.


슬슬 왜 막히는지 궁금해 합니다. 과연 무슨 이유 때문인지.. 쭉 걸어가보는 운전자도 있었고, 걸어갔다가 돌아오는 운전자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를 묻는 운전자들도 보였습니다.


그리고 사진 찍고 전화들 하고 난리가 났더군요. 뭐 여튼 그러합니다.



로드뷰로 바라본 이 교차로입니다.


정식 명칭은 거산2교차로. 34번 국도의 시점이자 32번국도가 돌아서 나가는 구간입니다. 신례원에서부터 합덕을 거쳐 신평 거산리까지 이어지는 길이고.. 당진 방향과 삽교호 아산 방향으로 나뉩니다. 양쪽 차선에서 차들이 움직이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것이죠.



일단 오늘 출근이 좀 늦어질거 같다 미리 연락은 해두었습니다.


빨리 차가 빠지기만을 기다려야 하는데.. 차들이 갈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당진방향으로 빠지는 길은 확 내려갔다가 급커브를 거쳐 다시 언덕을 올라가는 구조이고, 삽교호 방향으로 가는 길은 그닥 경사나 커브가 심하지 않은데 왜 가질 못하는지 궁금하기만 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삽교호 방향 역시나 언덕을 넘지 못해서 차들이 막히던 상황이랍니다.



눈빨은 더 강해지고.. 이 자리에 고립된지 한시간이 지났습니다.


기다림에 지친 운전자들은 나와서 다른 운전자들과 이야기를 하며 사태를 파악하며 해결책을 논의합니다. 그렇게 한시간이 지나고.. 도저히 참다 못한 몇몇 아저씨들은 차를 돌려 역주행을 하기로 한답니다.



사방으로 막혔습니다만, 오봉저수지 근처 나들목을 통해 나가보겠다고 역주행을 감행합니다.


물론 그쪽에서도 올라오는 차들이 빼도박도 못하고 갖혀있는 상황인지라 결국 성공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마 저 끝에까지 가셔서라도 돌려서 나가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양 차선에 정차중인 차들이 결국 조금씩 길을 터주고... 그렇게 댓대정도가 차를 돌려 나갔습니다.


무모한 짓이긴 합니다만.. 옆으로 보이는 구길 역시나 상황은 비슷하더군요. 그냥 이 일대 교통이 마비가 되었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하다하다 아저씨들과 이야기를 하다가 교통정리좀 해달라고 경찰에 신고까지 했네요. 사실상 신례원 혹은 합덕에서 당진이나 삽교천 인주방면으로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이 이번 정체의 피해자들이고 중간중간 화물차 기사 아저씨들도 끼어있었습니다만.


신평파출소에서 경찰이 출동했다는 문자가 오긴 했습니다만.. 뭐 이거 경찰 할아버지가 와도 손도 못쓸 상황이라면 상황이겠지요. 나중에 알고 보니 당진방향의 정체 이유는 후판을 적재중인 스카니아 트랙터가 올라가질 못하고 지체중인 상황이였답니다.



기다리다 지쳐 노래방기계를 가동했습니다. 마이크까지 꺼냈습니다.


트로트그룹 오로라(Aurora)의 노래입니다 따따블. 

음정좀 낮추고 템포만 조금 빠르게 해서 신나게 불러봅니다.


따따블로 따따블로 사랑해줘. 따따블로 따따블로 안아줄게.

사랑하는 너를위해 전부 다줄거야. ye~ ye~ ye~


따따블로 따따블로 사랑해줘. 따따부따 따따부따 하지 말고

아름다운 오늘밤에 따따블로 사랑하고 싶어. 


뭐 참 좋은 노래입니다. 여담으로 박원순 서울시장이 처음 정치권에 이름을 알렸던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당시 선거로고송으로도 쓰였고 적당히 슬프면서도 신나는 노래입니다. 전 그런노래 참 좋아하거든요. 뭐 여튼 그러합니다.




어느정도 차가 조금씩 빠지기 시작하고.. 화물차들이 길을 터줍니다.


작은 승용차 수준이면 충분히 빠져나갈수 있단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조심조심 당진방향으로 진행해 봅니다. 5톤 카고차, 윙바디 츄레라 할거 없이 길을 터주고.. 마지막 언덕과 커브를 지나 겨우겨우 올라왔습니다.


이게 열시가 넘은 시간. 근 두시간을 도로 한복판에서 영문도 모른체 갖혀있던 상황이였습니다. 스노우타이어도 스노우타이어지만 군용 야전삽같은 삽이라도 하나 가지고 다니고, 모래주머니라도 하나 가지고다니던지 해야겠습니다. 


첫 눈이 내리던 11월 26일.. 눈이 상상 이상으로 올지 어떻게 알았겠습니까. 나름 그래도 진귀한 경험 했다 생각하고 넘어가보려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개인적이라기보단 본인이 현재 운영중인 동호회의 운영자로서의 입장을 밝히는 글이라 블로그에 맞지 않겠습니다만, 블로그에 게시합니다. 


코믹마트라는 행사를 개최한답니다. 7월인지 8월인지 여튼간에 여름에 열렸던 서울코믹월드 행사에 차량을 주차해 놓은 뒤 밥을 먹으러 학여울역 방향으로 내려가던 길에 전단지를 받았던 일이 문득 기억납니다. 그냥저냥 저기도 이타샤 차량이 들어갈 수 있었음 좋겠다 싶었습니다만, 그게 현실이 되었습니다.



서울,부산 코믹월드와 비슷한 성격의 행사인데 2016년 1월 9일 첫 발을 내딛는다 합니다. 


양재동 농수산물유통센터(aT센터)에서 제 1회 행사를 개최하면서 전시를 희망하는 이타샤 차주를 모집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네요. 상당히 좋은 조건입니다.


http://www.comicmart.co.kr/xe/board_YteL09/1619


평소 이타샤 차주들이나 공감할법한 요구사항을 전부 다 들어주고, 비용 역시 주최측에서 전액 부담을 해준다 합니다. 주차비 아니 그냥 실내 전시장에 공식적으로 차를 넣어준다는 사실 단 하나만으로도 정말 황송하고 감사한 일이며, 얼마 전 코리아튜닝모터쇼에 참가했던 상황 처럼 참가비를 내고라도 나갈만한 일인데 말이지요.


공지를 확인한 이후, 행사 주최측에 문의겸 전화를 하고.. 전시장소가 한정되어 있다는 소식과 함께 몇대대의 참가가 가능한지를 문의했고, 심사숙고한 뒤 미리 일정수준의 자리를 선점해 두었습니다. 대규모 행사를 기획하고, 흥행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이타샤 차량 초대를 위해 온갖 당근을 준비해둔 정말 좋은 기회에 이것저것 따지고 들어갈게 대체 무엇이 있을지 싶었습니다.


후발주자 입장이라면 을(乙) 아니 병(丙)이 되더라도 자리를 잡아서 이름을 알리고,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기회고 중요한 결단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 행사에 대한 소문이 좋지 못하답니다.


개최라도 한번 했던 행사고 운영미숙이 여실히 들어났더라면 모르겠지만, 이제 막 시작하는 행사에 대한 소문이 영 좋지 못한건 사실입니다. 직원의 사적인 논란과 운영 및 관리 미숙으로 벌어진 일들을 뛰어넘어 지금은 그저 까이니 까이는, 모두까기 인형처럼 까이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입니다. 막상 현재 관련 업계를 독점하고 있는 모 행사 주최측의 횡포가 지나치고 매번 대체할만한 다른 무언가를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면서도 새롭게 도전하는 이들에게 격려해주고 응원해주기 보다는 일단 색안경부터 끼고 바라본다는 사실 자체가 어찌보면 정말 안타깝게 느껴지더군요.


처음에 천여개의 부스를 모집한다던 행사였지만, 현재는 780개의 부스를 모집하는걸 목표로 삼고 있다 합니다. 이 점에서 처음에는 반신반의 했지만 780개의 부스가 들어가고, 이타샤 차량까지 들어가고도 공간이 남는지 계산을 한번 해 보았습니다.



코믹마트측에서 아이러브이타샤 동호회 운영자인 제게 전송해준 도면입니다.

현재 등기관련 업무에 종사중인지라 건물의 전용면적과 관련해서는 상당히 익숙합니다.


이타샤를 위한 공간으로 부스 후열 공간을 내주겠다고 합니다. 가로 길이가 106.6m, 세로 길이가 14.2m라고 합니다. 차량이 약 열대 가까이 전시가 된다고 가정을 한다면 각 차량별 9m 간격으로 배치가 된다고 보면 되겠지요.


이 도면을 믿는게 가능할지 싶어, aT센터 홈페이지에서 제1전시관 도면을 직접 내려받았습니다.



출처는 aT센터 전시장 임대 안내 페이지 (http://atcenter.at.or.kr/contents/acko322100/view.action)


A홀과 B홀 모두를 대관했다고 합니다.


전시장의 면적은 108*33.7=3639.6

도면상 우측에 보이는 조금 튀어나온 다목적실만의 면적은 10.5*14.6=153.3

합계 3792.9 반올림 해서 홈페이지상 전용면적은 다목적실을 포함한 3,793평방미터.


다목적실의 면적을 제외하고 약 천 백평정도의 면적이 나옵니다.


코믹마트측에서 건네준 도면과 면적에서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 이타샤를 위한 공간을 할애하고도 이 행사에서 강조하는 780개의 부스 설치가 가능할까?



출처는 코믹마트 홈페이지의 서클 참가신청 게시판입니다.

(http://www.comicmart.co.kr/xe/board_NqCi20)


원체 논란이 많아 고육지책으로 부스비를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sp란 단위가 익숙하지 않은지라, 1sp를 '부스 한 개'라 칭하겠습니다.


부스 한개의 면적은 60cm. 1.2m 책상 하나에 부스 두개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코믹마트측에서 건네준 도면을 본다면 두 열이 한 블럭이 되는군요..


블록이 열 세개입니다. 780/13=60


한 블록에 60개의 부스가 입점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고 두 개의 열로 한 블럭이 구성되니

한 열에 부스가 30개, 부스 두 개에 1.2m 테이블 하나씩.. 


한 열은 15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 볼 수 있겠군요. 1.2*15 해봐야 18m정도 나옵니다.


차량 전시를 위한 공간 14m 그리고 18m 32m정도 됩니다. 어느정도 오차를 감안하고 이타샤를 위한 세로 넓이를 조금 줄인다면 충분히 공간이 나오고도 남습니다. 주최측에서 추후 신청 상황을 봐서 공간의 여유를 주던지 할 수도 있겠지요. 



일각에서 나오는 몇가지 이야기만으로 뚜껑조차 열어보지 않은 행사를 폄하할 자격은 그 누구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주최측에서 행사의 흥행을 도모하기 위해 자구책을 마련한다는 일은 어찌보면 당연한 사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개인주최 행사와 공기업 사기업 하다못해 지자체와 국가기관을 막론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흥행과 부흥을 위해 계획을 수정해서라도 성공적인 행사를 만들어 내는게 주최자 입장에서 최선의 선택이지요.


트러블은 있었지만, 이미 독점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는 바닥에서 새 출발을 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높이 평가를 해 주고 싶습니다. I LOVE ITASHA (아이러브이타샤)는 코믹마트 행사를 적극 지지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