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올도색 이후 레터링 스티커가 다 떨어져 있는 티코에 레터링을 붙여줬습니다. 물론 저도 한 세트를 챙겨놓고 있었지만, 승한님께서 좀 밝은 톤이라고 하나 더 가지고 오셨더군요. 제가 가지고 있던 스티커와 비교해보니 사실상 같은 밝은톤이긴 했지만 한 세트 붙여주기로 합니다.
DAEWOO
TICO SX(트림명) DAEWOO 그리고 앞범퍼에 붙는 TICO 스티커 총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솔직히 순정 자리에 그대로 붙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칠을 까내고 새로 전체도장을 올렸음에도 트렁크에 이전 스티커가 붙어있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어 그 흔적대로 붙여주기만 하면 출고 당시 붙였던 자리에 그대로 붙일 수 있습니다.
자리를 잡아주고부착완성
이런 방식으로 붙여주면 됩니다.
자세히 보면 DAEWOO 흔적이 보임.똑같이 붙여주고조금 위로 가긴 했다만 크게 티는 안남
뒤는 일단 모두 부착 완료.
멀리서 보면 이런 느낌
부착 후 멀리서 보면 이런 느낌입니다.
붙이는 김에 앞으로 가서 범퍼에 붙는 레터링도 붙여주기로 합니다.
이 자리
끝에서 좀 떨어져서 붙는다고 하네요.
부착될 레터링 스티커부착
붙였습니다. 너무 바깥으로 갔네요.
좀 더 안쪽으로 가야 순정 제치 자리입니다만, 크게 티는 나지 않으니 그냥 타기로 합시다.
오펠 카데트를 대충 국내 실정에 맞게 판매했던게 르망. 그 르망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인 씨에로. 씨에로의 해치백 모델입니다. 르망과 병행하여 잠깐 판매하고 사라진 차량인지라 이 차량을 기억하는 사람도 드물고, 대부분 수출길에 올라 보기도 어렵습니다만 얼마전부터 당진에 흰색 씨에로가 돌아다닌다고 하더군요. 얘기만 듣고 사진으로만 봤는데, 그 귀한 자태를 실물로 도로변에서 목격했습니다.
1996 DAEWOO NEXIA 5DR
96년 4월 최초등록. 순백색의 넥시아 5도어 모델입니다.
이전에 목격했던 빨간 차량은 3도어 모델, 이번에 목격했던 차량은 일반적인 5도어 모델입니다. 사실상 르망의 부분변경 모델 수준이었지만, 자잘한 요소에서 르망과의 차이점이 보입니다. 과연 부품이나 잘 구해지련지 모르겠습니다만, 매우 깔끔한 상태로 도로를 활보하고 있었습니다.
알파벳 D를 양쪽으로 붙여놓은 느낌의 엠블렘을 사용했었던 것으로 잘 알려져 있기도 하죠. 90년대 중반까지 잠시 달려 나왔고, 사실상 사라진지 오래인 현 시점에서 나고 자란 요즘 애들은 아마 생소한 수입차라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르망 해치백과 넥시아에서 이어지던 대우의 소형 해치백 계보는 독자모델인 라노스 로미오,쥴리엣과 칼로스V, 젠트라X를 거쳐 아베오(T300)까지 이어졌습니다.
1996 DAEWOO NEXIA 5DR
휠만 바꿨지 전반적으로 순정의 외관을 매우 깔끔하게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도장을 새로 해서 깔끔하게 보일지는 모르겠어도 뭔 리스토어니 레트로니 합판쪼가리 박아둔 빈티지룩 튜닝카를 만들어 놓고 언론이니 인기있는 유튜버 영상에 한번 출연하겠다며 온갖 관심을 갈구하는 관종들이 참 많습니다. 전반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아지며 구형 자동차에 대한 관심도 늘어났고 그에 따라 순정차로도 관심을 갈구하는 관종들도 많이 늘었습니다만, 오래된 차를 타는 관종들이라 하면 대부분 그런 부류들입니다. 그러곤 언론매체나 유명 유튜브 채널에 출연했다는 이유로 투자비 이상에 차를 팔아먹고 나가죠. 상종도 하기 싫은 역겨운 개새끼들이 참 많습니다.
순정 상태에 원복이 용이한 휠만 바꿔도 이렇게 감탄사를 자아내는 차량이 될 수 있는데 말이죠.
1996 DAEWOO NEXIA 5DR
그렇게 넥시아는 자신의 목적지를 향해 힘차게 달려갔습니다.
이 지역에서 움직이는 차량이니 언젠가 다시 마주칠 일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르망과 씨에로는 알아도 넥시아라는 차량의 존재에 대해 모르는 사람도 많고, 3도어 5도어 모두 합산하여 서류만 남은 차량을 제외하고 국내에 실존하는 개체는 100여대 미만으로 추산됩니다. 많이 팔리지도 않았지만 그마저도 한 때 수출길에 올랐으니 말이죠. 앞으로도 좋은 주인과 함께 무사고 무빵으로 오랜 세월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