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쉐보레 뉴-볼트 EV가 아니라 대우 뉴-볼트 EV.

미국산 대우 전기차의 이야기입니다.

 

개발 과정에서도 한국 GM의 영향력이 상당했고 대부분의 부품이 MADE IN KOREA인 대우차입니다만, 단지 미국 미시간주 오리온에 소재한 GM 공장에서 생산해서 넘어왔다는 이유만으로 쉐슬람들이 미국차라고 물고 빠는 이 미국산 대우 전기차에는 미쉐린의 전기차 전용 타이어인 '에너지 세이버 A/S (ENERGY SAVER A/S)'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아직 덜 깨진 쉐슬람들만 미국차라 생각하는 이 대우차에는 매우 과분하게 미쉐린의 전기차 전용이자 런플랫 타이어가 OE타이어로 장착되어 출고되었습니다. 말은 올시즌 타이어라고 하는데 비만 살짝 내려도 체감상 타이어가 쭉쭉 밀려서 겁이 나는 수준입니다. 찾아보니 젖은 노면 제동력은 4등급이고, 아무래도 이 타이어를 장착하고 겨울을 보내다간 수리비만 고오급인 미국산 대우차의 수리 견적서를 다시 한번 더 받아보곤 또 입에서 쌍욕이 나올 거 같아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해 알아보기로 합니다. 

 

휠은 먼저 올 뉴 크루즈용 16인치 휠과 타이어로 구매해 뒀죠.

 

 

볼트 EV, 같은 색 EUV 만남 + 올 뉴 크루즈 16인치 휠타이어 구매

이 미국산 대우 전기차에 순정으로 달려 나오는 타이어는 미쉐린 에너지 세이버 A/S. 형식상 사계절용 타이어라 합니다만 비만 내려도 쭉쭉 미끄러집니다. 그래서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를 끼울

www.tisdory.com

 

장착까지 25만원

 

마침 군산에서 19년 말 생산에 트레드가 98% 남은 제품을 장착까지 25만 원에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군산까지 다녀오기로 합니다. 그래도 충청도라 어중간한 수도권으로 올라가느니 거리도 비슷하고 길도 덜 막힙니다. 평일에 미리 전화를 한 뒤 토요일에 시간이 생겨 재고를 다시 확인하고 다녀왔습니다. 차고에 넣어뒀던 휠과 타이어를 챙기고, 미리 알리와 미국 아마존을 통해 구입해 뒀던 TPMS와 인식 장치를 챙겼습니다.

 

TPMS와 EL-50448

 

TPMS 네 개와 EL-50448

 

이 미국산 대우차의 TPMS는 멕시코산. 정품은 개당 8만 원선. 국산 대우차의 TPMS는 중국산. 정품은 개당 4만 원선인데, 해외직구로 중국산 비품 4개를 배송비 포함하여 국산 대우차 정품 하나 가격에 구매했습니다. 걱정 많이 했지만 별다른 문제없이 잘 인식하더군요. 대우차 부품값이 얼마나 거품이 심한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EL-50448이라 적힌 저 리모컨은 TPMS를 리셋 후 재학습시켜주는 장치입니다. 만원 안팎에서 구입 가능한 물건인데 타이어집에 있어서 제가 구입한 이 기기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군산에 찍어주는 주소지로 향했습니다.

 

타이어클럽

 

타이어클럽이라는 이름의 작은 타이어 가게네요.

 

신품 및 중고타이어를 취급하고 있습니다. 대충 도착시간을 알리고 간지라 바로 차량을 올리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타이어도 바로 준비되어 있었고요.

 

 

작업중

 

작업이 진행됩니다.

 

기존 순정 17인치 휠타이어는 탈거하고, 가져온 16인치 휠타이어의 타이어를 분리한 뒤 새로 스노우타이어를 끼워줍니다. 작업장이 협소한지라 사무실에 와서 대기합니다.

 

장착완료

 

미국산 대우 전기차에 국산 대우차의 휠을 끼웠습니다.

 

거의 팔리지 않았던 J400. 올 뉴 크루즈의 16인치 알루미늄 휠입니다. 큰 위화감은 없습니다.

 

장착 완료 후 TPMS 초기화중

 

휠의 장착을 마치고 TPMS 초기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존 휠과 타이어는 건드리지 않았고, 새로 사 온 비품 TPMS를 16인치 휠에 끼운지라 초기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국산 대우차들은 멀티펑션 스위치에 버튼이 있어 그걸 누른다던데 이 미국산 대우차는 핸들에 확인버튼이 있어 못하겠다고 하셔서 제가 눌렀습니다.

 

공기압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OK 버튼을 꾹 눌러주면 재설정 모드로 진입합니다.

 

타이어 설정중

 

'타이어 설정 중'이라는 문구가 뜨고, 아까 봤던 EL-50448 리모컨을 들고 네 바퀴를 쭉 돌면 됩니다.

 

가지고 계신 리모컨이 있어서 그 리모컨을 들고 쭉 돌았습니다. 한 바퀴마다 설정이 완료되면 경적이 빵~ 하고 울리는데 마지막 바퀴까지 설정을 마치면 경적이 한번 더 울리고 비상등이 점등됩니다. 비품임에도 문제없이 설정을 마쳤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표시

 

설정이 완료된 뒤 타이어 공기압이 표시됩니다.

 

설정된 직후인지라 표시되는 수치에 차이가 보이지만, 이후 고속도로를 타고 달리니 모두 비슷한 수치가 표시되었습니다. 괜히 비품이라 걱정했는데 전혀 문제 없었습니다. 비품 쓰십쇼. 두번 쓰십쇼. 자칭 미제 고급차 쉐보레는 이렇게 타는 겁니다.

 

출고완료

 

TPMS 설정까지 마친 뒤 결제를 하고 차량을 출고합니다.

 

휠 사이즈가 작아지며 어벙한 느낌이 들긴 하지만, 주행질감은 상당히 좋아졌습니다. 겨울용 타이어만 끼워도 나쁘지 않다고 느낄 정도면 기존의 출고용 OE타이어가 얼마나 별로였다는 얘기겠습니까. 2~3월정도까진 이 휠타이어 조합으로 다닐 예정입니다. 스노우타이어는 한번 구입하면 최소 2년은 사용하더군요. 내년 내후년까지도 끼울 수 있을겁니다.

 

기존 휠타이어는 차 안에 억지로 때려싣고 옴

 

기존 17인치 휠타이어와 16인치 휠에서 탈거된 타이어 4본은 차에 억지로 때려싣고 왔습니다.

 

새차인데 괜찮아? 싶지만... 애초에 한달도 못타고 정떨어진 미국산 대우차라 상관없습니다. 뒷좌석 시트를 접고 최대한 집어넣고 남은 타이어 두본을 보조석에 올려뒀습니다. 그렇다고 놓고 갈 수도 없고 별다른 방법도 없으니 이렇게 갔네요. 바로 가서 차고에 내려놓고 싶었지만 사촌 모임이 있어 이 상태로 사촌 모임에 갔다가 다음날 해산한 뒤 차고에 갖다 넣어뒀습니다.

 

여튼 겨울용 타이어를 생각보다 저럼한 가격에 장착까지 마쳤습니다. 무탈히 타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또 타이어 교체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지난해 겨울에 파업이 끝날 즈음 1,2축 타이어를 4축으로 보내고 새 타이어를 끼웠었는데 이젠 4축 타이어가 거의 다 닳아서 1,2축 타이어를 다시 4축으로 보내고 1,2축에 새 타이어를 끼웠습니다. 지난여름에는 5축 타이어를 중국산으로 교체했었는데 대략 여름 겨울 주기로 교체하고 있네요.

 

 

프리마 25톤 1축 2축 타이어 교체 (한국타이어 AH40)

사실상 파업이 끝났던 지난주 금요일. 편마모를 먹던 1축, 2축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1축은 엄청 많이 남아있고, 2축도 거의 4~50% 남아있습니다만, 편마모를 심하게 먹어 바꿔주고 얼라인먼트를

www.tisdory.com

 

프리마 트럭 중국산 타이어 교체 (더블스타 아오센 12R 22.5)

여름입니다. 승용차 타이어도 겨울 대비 더 많이 닳긴 하지만, 대형 화물차의 타이어는 승용차의 수십 배에 달하는 하중을 버티다 보니 닳는 모습이 눈에 보일 정도로 타이어가 마모되는 속도가

www.tisdory.com

 

사실 좀 더 버텼다가 12월 초 즈음에 교체하려 했습니다만, 교체 전날 갔던 세월교 현장에서 차가 빠져서 헛바퀴를 돌며 파먹은 부분들이 보이더군요. 그래서 눈도 온다고 하고 당일 하차도 어려워졌기에 조금 일찍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타이어집 입고

 

토요일 아침. 손님이 몰려오는 타이어집에 차량을 입고시켰습니다.

 

전륜 타이어는 상대적으로 좋은 제품을 써야 승차감도 좋습니다. 중국산 제품이 가장 저렴하고 그다음으로 국산과 일본 메이커 유럽 메이커 순으로 비싸집니다. 지난해 교체했던 한국타이어 AH40 같은 경우에는 국산타이어치곤 저가 라인업이었고 순정 OE타이어로 공급되었던 브리지스톤 R156 대비 승차감이 떨어지는 편이기도 했습니다.

 

이거 저거 가격을 듣다가 금호타이어에서 지난 10월 출시한 신제품이 있다고 하여 그 타이어를 끼우기로 했습니다. 브리지스톤 타이어 끼울 수준의 가격대였긴 한데 패턴이 미쉐린 타이어와 상당히 유사하더군요. 그래서 금호타이어를 끼워보기로 합니다.

 

 

탈거중

 

먼저 1축과 2축 휠타이어를 탈거합니다.

 

기존 타이어를 탈착하고 전륜 휠에 새 타이어를 끼어준 뒤 4축 휠타이어에 1,2축에서 탈거한 타이어를 끼워주면 되는 작업입니다. 뭐 이론상으론 간단한 작업이긴 한데 토요일 오전이라고 차들이 꽤 많이 몰려와서 작업의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뎠습니다.

 

새 타이어

 

이번에 장착하게 될 새 타이어입니다.

한국 지형에 맞춘 설계가 반영되었다며 K-REGIONAL을 타이어 사이드월에 강조하고 있습니다.

 

승용차 타이어는 그럭저럭 괜찮아도 대형차 타이어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하다고 하던 금호타이어입니다만, 요즘은 금호타이어도 18PR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금호타이어의 대주주인 중국의 더블스타는 TBR(Truck & Bus Radial)에서는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이기도 하고요. 이전에 5축 타이어에 끼웠던 아오센 역시 금호에서 수입하는 더블스타 브랜드였고, 금호 브랜드의 저가 라인업은 더블스타 공장에서 생산하여 수입하기도 합니다.

 

지난 10월 금호타이어에서 신제품 출시와 함께 뿌린 보도자료에서 KXA17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금호타이어, 대형카고 전륜용 ‘KXA17’ 등 신제품 출시 - 뉴스와이어

금호타이어(대표이사 정일택)가 신개념 지능형 설계를 적용한 트랙터 및 카고용 ‘KXA17’, 전기버스용 플랫폼 및 패턴을 적용한 ‘KCA31’ 등 신제품 4종을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신제품 ‘KXA17’

www.newswire.co.kr

 

신개념 지능형 패턴과 국내외 특허를 받은 RCB(Rigidly Connected Bridge) 및 3차원 사이프 설계로 기존 제품 대비 마일리지 및 연비 향상의 효과를 얻어냈다고 합니다.

 

KXA17

 

대형 카고 전 후륜용 타이어 KXA17

사이즈는 12R 22.5

철심은 18가닥(18PR). 하중지수/속도지수는 152/149L

 

금호타이어 곡성공장에서 생산하는 대한민국 생산품입니다. 한국타이어는 대형타이어 기준 라우펜 브랜드로 나오는 제품들만 중국산이고 한국타이어 브랜드로 판매되는 제품들은 모두 국내 공장 생산품인데 금호타이어는 금호 브랜드를 달고 있어도 저가형 제품의 경우 중국에서 생산하여 수입해오더군요.

 

그렇게 따지자면 브리지스톤도 미쉐린도 BF굿리치도 일부 품목은 태국산 중국산이긴 하지만 성능상의 이상은 없긴 합니다. 그럼에도 저렴한 중국산을 건너뛰고 국산 브랜드 타이어를 선택했는데 중국 생산품이면 좀 그렇겠죠...

 

KXA17 패턴

 

패턴을 보자마자 미쉐린 타이어가 생각나더군요.

미쉐린 X MULTI Z2와 패턴이 상당히 유사합니다. 그래서 선택했습니다.

 

내구성에 차이가 있을진 몰라도 미쉐린 타이어 대비 가격은 약 15만원 저렴합니다. 미쉐린이 비싼 만큼 다른 타이어를 두 번 교체할 동안 한 번밖에 교체하지 않는다던데 정말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미쉐린도 한번 끼워봐야죠.

 

 

지난여름 출시를 앞둔 시점에 성능 테스트 영상이 금호타이어 유튜브 채널에 올라왔었습니다.

 

어느 회사 타이어인지는 몰라도 타사 타이어를 벤치마킹 했다고 하는데, 현용 제품이나 타사 제품 대비 월등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공차상태의 트랙터 헤드의 1축 타이어만 교체한 상태에서의 시험 결과라는 조건 아래에서는 여튼 그렇답니다.

 

좌측 장착 완료

 

먼저 좌측 타이어의 교체가 끝났습니다.

 

우측 타이어의 교체가 계속 이어집니다. 한쪽에서는 탈거된 타이어의 공기압을 빼고 있고 한쪽에서는 새 타이어를 끼우고 밸런스를 보는 작업이 계속됩니다. 작업중에도 다른 손님들의 자잘한 펑크 수리나 오일교체가 있어 단독작업 대비 진행속도가 느리긴 했습니다.

 

3423

 

23년 34주차에 생산된 타이어입니다.

 

23년 34주는 8월 넷째 주네요. 여름휴가철이 끝난 뒤 생산된 타이어입니다. 공식적인 출시는 10월이지만 본격적인 생산은 8월부터 이루어지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8월 당시 기준으로도 지금 기준으로도 역시나 신제품인지라 Q/C에 좀 더 신경 쓰긴 했을 겁니다.

 

기존 타이어 상태

 

진흙탕에서 한번 고생하고 나오니 타이어 상태가 말이 아니네요.

 

이 수준까지는 아녔습니다만, 진흙탕에 빠져서 헛바퀴 한번 돌리니 거의 민무늬에 가까워졌네요.

 

뜯어진 자리 안쪽에 철심도 보인다

 

타이어가 뜯어져 나간 자리 안쪽으로 철심도 보입니다.

 

이 모습을 보고 바로 타이어집으로 달려왔습니다.

 

탈거된 타이어

 

상대적으로 나중에 장착했던 타이어는 트레드가 좀 남아있어 예비용으로 보관하기로 합니다.

 

2월인가 그랬을 겁니다. 멀쩡한 타이어가 갑자기 하나 터져버려서 예비용으로 놔뒀던 타이어를 조금 나중에 끼우긴 했는데 그 타이어의 트레드는 그래도 예비용으로 놔둘 수준까진 남아있어 버리지 않고 보관하기로 했습니다.

 

5축 펑크 발견

 

기존 타이어를 4축으로 옮기고 보니 5축 안쪽 타이어 하나가 바람이 빠져있네요.

 

작은 못이 박혀서 펑크가 났습니다. 3축을 제외한 1,2,4,5축 타이어를 모두 뜯어내게 되었으며 펑크 수리비까지 지불하게 되었습니다.

 

4축 타이어

 

1,2축에서 4축으로 옮겨온 타이어입니다.

 

트레드가 아직 많이 남아있습니다. 1,2축 대비 하중을 많이 받는 자리긴 하지만 1년 이상은 무난히 버틸 겁니다. 어느 날 갑자기 터져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빨라야 내년 겨울쯤에 다시 교체한다고 얘기하겠죠.

 

3,4,5축 타이어 브랜드가 모두 다르다.

 

좌측부터 5,4,3축입니다. 타이어 브랜드가 모두 다르네요.

 

5축은 중국산 더블스타 아오센. 4축은 한국타이어 AH 40. 가변축인 3축은 385 규격의 브리지스톤. 1,2축은 금호타이어입니다. 5축 타이어의 교체주기가 돌아오지 않는 이상 당분간은 이렇게 다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렇게 160만원 이상을 타이어에 태우고 왔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