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0건

반응형

 

대우를 부정하는 쉐슬람들의 주장에 의하면 국내생산이지만 튼튼한 미국산 고오급 세단인 대우 말리부.

 

현대차의 아성을 넘지는 못했지만 법인택시로도 개인택시로도 대우차는 택시시장에서도 사랑받았습니다. 택시 전용 카탈로그를 보면 기사님들의 정비편의까지 신경 쓴다는 문구도 존재할 정도로 택시시장에 큰 공을 들이기도 했고, 토스카 시절에도 택시사업자를 위한 서비스나 이벤트를 진행했다는 보도자료도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기아차 구매성향이 강한 광주광역시에서는 한 영업사원의 능력으로 토스카 택시의 상당한 보급이 이루어지기도 했었고 자신에게 토스카를 출고한 수백 명의 기사님을 위한 동호회까지 만들어 운영했었다는 기사도 찾을 수 있지요.

 

6단 자동변속기의 하자로 토스카 택시는 생각보다 빨리 도로 위에서 사라지긴 했어도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현대기아 말고 대우차 택시도 삼성차 택시도 많이 보이던 시절이 있긴 했습니다.

 

이후 한국 GM은 대한민국 토종 브랜드 대우가 판매부진의 원인이랍시고 자칭 미제 고오급 브랜드 쉐보레 출범시키며 대우를 부정하기 시작했고 감히 고오급 미제 세단 말리부로는 품격이 떨어지는 택시 따위를 판매할 생각이 없다며 MPV인 올란도에 택시 전용 모델을 만들어놓고 사실상 방치해 뒀다가 올란도의 단종 이후 택시 모델은 전멸했지요. 

 

LPG 엔진이 존재했던 8세대 말리부의 경우 택시전용모델이 없음에도 택시로 운용하는 경우를 간간히 볼 수 있었습니다. 올란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세단형 대우차로 택시 영업을 하고 싶다는 기사님들이 계셨기에 가능했던 일이지요. 그렇지만 9세대 말리부로 넘어오며 LPG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디젤 모델이 잠시 판매되긴 했었지만, 유가보조금이 나오더라도 LPG 차량을 선호하는 택시시장에선 디젤 차량을 선택하는 비중이 상당히 낮았죠. 쉐슬람들은 이전부터 말리부엔 택시가 없어서 품격이 산다고 택시로 넘쳐나는 쏘나타 K5와는 급이 다른 고급 중형 세단이라고 환호했습니다. 그럼에도 9세대 말리부 택시는 존재합니다.

 

2019 DAEWOO THE NEW MALIBU DIESEL

19년형 디젤입니다. 예전부터 홍성 시내에서 간간히 마주쳤고 타보고 싶었는데 타 볼 기회는 없었네요.

 

저 택시 타보려고 별짓을 다 했던 기억이 있었지만 실패했었습니다. 왜 택시로 많이 돌아다니는 게 품격이 떨어지는 일인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도 않고요. 오히려 택시로 많이 선택되고 오래 돌아다니는 차량들이 장시간 운행해도 편안하며 내구성도 월등하고 유지비 측면에서도 유리한 차량이라는 반증인데 말입니다.

 

언젠가는 꼭 탑승해 볼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대우를 부정하는 쉐슬람에게 미래는 없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만 km의 벽을 넘어선 지 며칠 지나지 않았습니다만, 또 엔진체크등이 들어오네요.

 

주행거리 앞자리가 바뀌고 나니 그간 한 번도 내리지 않고 잘 탔던 DCT는 물론이요 이젠 혹시 연료계통 혹은 배출가스 계통으로 큰돈 들어가는 건 아닐지 걱정부터 됩니다. 새 차가 나오려면 1년은 더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니 어르고 달래 가며 타야 하네요.

 

수출은 얼마나 주나 알아보니까 외판 교체가 너무 많아서 매입이 안된다고 하네요. 무과실 사고에 감가상각비 50만 원 받고 손해는 손해대로 봅니다. 중간에 차를 사겠다는 사람이 나타난다면 팔아버리고 카렌스를 타고 다니겠지만 임자도 없고 새 차 나와도 막상 처분될 가격이 똥값이면 더 타고 다닐까 싶기도 합니다. 그런 상황입니다.

 

또 엔진체크등

집에 가는 길에 또 엔진체크등이 점등되었습니다.

 

 

더 뉴 아반떼 엔진체크등 점등 + 엔진오일 교체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0304 더 뉴 아반떼 펑크수리 + 엔진오일 교환 2019.05.28 - [

www.tisdory.com

 

지난 5월 16일에 보고, 또 보게 되었습니다. 그나마 다그게이지가 달려있고 고장코드를 볼 수 있으니 일단 무엇이 문제인지 확인해 보기로 합니다. 오일압력센서는 교체했고 이후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았습니다.

 

P2471

또 P2471이네요.

P2471 배기가스 온도 센서 회로 뱅크 1 센서 4 높음

 

지난번엔 소거시키고 다시 뜨지 않아 그냥 타도 된다고 했던 오류코드인데 약 3,000km만에 다시 떴습니다. 그냥 가서 센서를 교체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 괜히 고장 난 상태로 타다가 DPF에 과도한 매연이 포집된다면 DPF까지 말아먹으니 말이죠. DPF는 부품값만 150만 원에 육박합니다.

 

배기온도 고정

실제 배기온도가 554도인지는 모르겠지만, 한참 554도에 고정되어 있더군요.

 

DPF 재생이 이루어지는 시점도 아니고, 일반적인 주행상태임에도 저 온도에서 그냥 고정되어 있습니다. 내리막길에서 액셀을 떼고 가도 한참 동안 배기온도가 고정된 상태로 운행되더니 다시 정상적으로 배기온도가 찍혀 나옵니다.

 

마침 퇴근길이라 정비소에 들려 스캐너를 물려보고 배기 온도 센서를 주문했습니다. 혹시 절어 붙어서 빠지지 않을 경우 디젤차 전문점이나 공업사에 가야 한다고 하네요. 바로 다음날 부품이 도착했습니다.

 

39232 2A600

39232 2A600 센서-배기온도(SENSOR-EXH.TEMPERATURE)

모비스 가격은 31,570원

 

람다센서가 10만 원이 넘어가서 비싼 축에 속하고 배기온도센서는 저렴한 축에 속한다고 합니다. 20만 km를 탔으니 그러려니 하고 갈아줍니다. 유로 6 기준을 충족하는 U2 디젤엔진이 적용된 LF쏘나타, 아반떼 AD, 엑센트, i30, i40, 코나, 투싼(TL)도 품번이 동일합니다.

 

여기 어딘가에서 교체

다행히 고착되지 않고 잘 빠졌다고 합니다.

 

순식간에 교체작업이 끝나 정확히 어디서 뭘 어떻게 뺐는지 보진 못했습니다. 대신 탈거된 센서의 모습은 볼 수 있었네요.

 

탈거된 배기온도센서

신차시절부터 지금까지 고생해 준 배기온도센서입니다.

 

검게 그을렸네요. DPF 클리닝도 한번 해주지 않고 탔는데 이거 보고 동네에 유명한 디젤차 크리닝 전문점에 예약을 걸어두었습니다. 차를 매각한다 치더라도 1년은 더 타야 하는지라, 한번 하고 타야죠. 인젝터 동와셔도 그간 안 갈고 탔습니다. 다음 주에 차량 입고시키라고 하네요.

 

스캐너를 물리고 악셀을 밟으며 배기온도센서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잘 작동하네요.

 

72,600원

센서와 공임 부가세까지 72,000원을 결제하고 왔습니다.

 

더 큰 고장이 없기를 바래야겠습니다. 막상 돈 들어가기 시작하는 시기가 오니 암담하네요. 그냥 빨리 나오는 승용차 아무거나 계약하고 바꿔버릴걸 싶기도 합니다. 그래도 뭐 어쩌겠어요. 타야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