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2월 사가현 여행 (7) 타라초(太良町) / 다케자키 성지 전망대(竹崎城址展望台), 오우오 신사(大魚

여행기 7부. 2일차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이전 이야기 먼저 보고 오시죠. 12월 사가현 여행 (1) 인천공항에서 후쿠오카 공항까지. 지난주에 다녀왔던 사가현 여행기를 본격적으로 풀어보려 합니다

www.tisdory.com

 

다녀온 지 벌써 두 달이나 지나갑니다만, 이제 8부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1부부터 7부까지 다 링크를 걸기엔 이제 힘들어지는지라 직전회차 링크만 걸도록 하겠습니다. 신사와 바닷속에 세워진 도리이 근처로 오래된 트럭들이 좀 있어 그걸 다 보고 다음 목적지로 넘어갔습니다. 생각보다 이 구닥다리 트럭들의 사진을 많이 촬영해 왔기에 7부에서 다 다루기 뭐해 8부까지 넘어와서 다루고 있네요.

 

히노 레인저 데이캡, 미쓰비시후소 파이터 FK4

 

좌측의 히노 레인저의 데이캡 사양 차량과 우측의 미쓰비시후소 파이터입니다.

 

2세대 데이캡 차량은 익숙치 않지만 우측의 파이터는 현대자동차에서 라이선스 생산을 했던지라 익숙하게 보일 겁니다. 둘 다 카고크레인 형태의 차량으로, 어망과 같은 어구를 들어 올리거나 소형 선박을 들어 올리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한국의 작은 어항(漁港)에서도 오래된 카고크레인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상호가 산파무 미세?

 

유한회사 산파무 미쓰세(サンファーム 三瀬)

 

サンファーム가 SUN FARM이라고 합니다. 미쓰세(三瀬)는 사가현 동북부 후쿠오카현과 맞닿은 지역의 지명이라고 하고요. 물론 이곳에서는 한 시간 반은 가야 할 정도로 멉니다. 촌(村)으로 존속했었지만 2005년에 사가시에 합병되었다고 합니다. 법인 정보를 확인하니 2015년 이후 따로 등기상의 변경이 없었던 듯하네요. 아니면 상호나 법인번호의 변경이 없어 2015년 정보에서 갱신이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본의 부동산 및 법인등기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온 한국의 법인등기 역시 5년간 등기사항의 변경이 없다면 해산간주 후 계속등기를 하지 않는다면 직권으로 해산시켜 버리는데 일본의 등기시스템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익숙한 실내

 

역시 현대에서 라이선스 생산을 했었기에 모든게 다 현대트럭과 동일합니다.

 

핸들의 위치만 다를 뿐 사실상 현대트럭이랑 같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일본시장에서 84년부터 92년까지 판매되었는데, 대략 80년대 후반에 출고된 중기형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마쯔다 타이탄

 

카고크레인과 조금 떨어진 곳에 2세대 타이탄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1세대 타이탄에 이어 88년부터 기아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며 트레이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던 차량입니다. 80년부터 89년까지 일본시장에서 판매되었고 이 차량은 외관상 84~87년형의 중기형 모델로 보입니다. 초기형 모델은 이 차량을 기반으로 하는 미니버스 콤비의 초기형 모델과 동일한 프론트 마스크를 지니고 있습니다.

 

익숙한 실내

 

역시 트레이드와 콤비에서 사용했던 대시보드와 핸들이 대칭만 되어있을 뿐 거의 동일합니다.

 

 

1990 기아자동차 트레이드 (1990 KIA TRADE 2.5t TRUCK)

천안의 한 철길 아래 공영주차장. 눈에 띄는 트럭이 한 대 보입니다. 라이노처럼 생겼지만 좀 더 작은. 기아자동차의 2.5톤급 준중형 트럭인 트레이드입니다. 1988년 흔히 알고 있는 타이탄의 후속

www.tisdory.com

 

1994 기아 트레이드 2.5t 저상 (KIA TRADE 2.5t WIDE LOW)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양평의 국도변에서 목격한 트레이드 2.5톤 저상차량입니다. 사진은 가을에 촬영하였으나, 느지막에 올려봅니다. 1990 기아자동차 트레이드 (1990 KIA TRADE 2.5t TRUCK) 천안의

www.tisdory.com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자주 다뤘던 익숙한 차량이죠. 머나먼 타국에 와서 익숙한 모습을 보고 있으니 새로운 느낌입니다.

 

마쯔다 타이탄

 

사이드미러는 어디로 갔는지 사라졌고, 번호판도 없습니다.

 

어촌에서 이렇게 차생의 마지막을 보내고 있습니다.

 

FRP 적재함과 물탱크

 

FRP 소재로 보이는 적재함과 해수를 담던 것으로 추정되는 물탱크 두개가 적재되어 있었습니다.

 

2웨이시프트

 

2웨이 시프트(2ウエイシフト)

 

당시 다이나믹 타이탄의 세일즈 포인트였습니다. 

 

 

 

3.5리터 직분사 엔진과 2웨이 시프트로 고속도로에서도 잘 달린다는 내용입니다.

 

미쓰비시후소 캔터

 

타이탄 뒤로 캔터의 모습도 보입니다.

 

78년부터 85년까지 생산되었던 4세대 모델에 1.5톤 모델이네요. 후기형으로 추정됩니다만, 그래도 80년대 초반 연식이라 40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타이탄과 함께 작은 어촌마을에서 말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다자이후 텐만구?

 

후쿠오카의 학문의 신을 모시는 신사 다자이후 텐만구에서 교부한 교통안전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그리고 지역 딜러인 큐슈미쓰비시(九州三菱) 스티커까지도 잘 살아있네요.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던 차량을 중고로 구입했던 게 아니라 큐슈지역 딜러에서 출고하여 차생의 말년 역시 큐슈지역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자가용

 

차생의 처음부터 끝까지 자가용으로 사용되었나 봅니다.

 

운전석 문짝에 자가용 스티커가 붙어있네요.

 

70년대 느낌 그대로.

 

시트의 천이 찢어진 부분도 보입니다만, 70년대 느낌을 온전히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 차량이 판매되던 시절에 현대에서는 바이슨이라는 독자모델을 판매했었지만, 신군부의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단종되었고 이 조치가 해제된 이후 미쓰비시의 라이선스를 받아 이 차량의 후속모델인 5세대 캔터를 생산했었습니다.

 

외판 상태

 

일부 퍼티가 갈라지고 녹이 생긴 부분은 보이지만 차량 상태는 상당히 준수했었습니다.

 

다시 번호판을 달고 달릴 수 있을지, 그렇게 어촌마을에서 차생을 마감할지는 모를 일이죠. 구닥다리 트럭들의 구경을 마치고 바로 다음 목적지로 이동합니다.

 

카시마시(鹿島市) 방향으로

 

계속 해안선을 따라 카시마시(鹿島市)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인구 2.4만명 수준의 카시마시는 1954년 발족된 상당히 오래된 도시입니다. 지역의 특산품으로 개소겡과 갯벌을 밀고 있는데, 한국의 보령 머드축제처럼 갯벌에서 다양한 경기를 펼치는 '카시마 가타림픽(鹿島ガタリンピック)'이라는 행사를 매년 5월에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바닷가와 조금 떨어진 곳에 3대 이나리 신사로 불리는 유토쿠 이나리 신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카시마시에 좀비 랜드 사가 맨홀이 두 개가 있는데, 하나는 카시마시 갯벌 교류관 앞에, 하나는 유토쿠 이나리 신사에 있다고 합니다. 둘 다 경유하고 넘어가기로 합니다.

 

휴게소

 

갯벌교류관을 내비게이션에 찍었습니다만...

진입로가 막혀있고 국도 207호선 도로변 휴게소로 안내하네요.

 

국도변 휴게소입니다. 일본의 국도변 휴게소는 이렇게 특산품이나 로컬푸드를 판매하는 개별적인 매장들이 주를 이룹니다. 이곳 역시 직역하면 길의 역 카시마(道の駅鹿島)라는 이름의 휴게소가 운영되고 있고 그 옆으로 갯벌 교류관이 소재하고 있습니다.

 

 

道の駅 鹿島

九州の佐賀県鹿島市七浦にある. ガタリンピック会場の有明海が一望できる「道の駅 鹿島」!! 『道の駅鹿島』の旬な情報をチェック☆

michinoekikashima.jp

 

로컬푸드 판매점

 

한국으로 따지자면 로컬푸드 판매점입니다.

 

장을 보러 오는 현지 주민들도 찾고 있고, 지나는 길에 휴식을 취하러 들어오는 운전자들도 찾아오고 있습니다. 입구 앞에서 어린아이들이 직접 농사지은 토마토를 팔고 있더군요. 건물 내부에도 지역에서 나오는 농산물들로 가득했습니다.

 

차량 통행금지

 

차량의 진입이 막혀있어 휴게소에 차를 세우고 걸어 들어갑니다.

 

일본어로 갯벌을 히가타(干潟)라고 읽는다고 합니다. 교류관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지만 전시관 박물관에 가까운 시설입니다.

 

카시마시 갯벌 교류관(鹿島市干潟交流館)

 

 카시마시 갯벌 교류관(鹿島市干潟交流館)

 

2층 건물 규모의 전시관과 미니 수족관이 있고, 입장료는 무료라고 합니다. 참고로 갯벌 체험까지 이 교류관에서 주관하는지라 샤워장도 있다고 하네요. 샤워장 이용료는 1000엔입니다. 입장은 하지 않았고, 간단히 사진만 촬영하고 넘어가기로 합니다.

 

좀비 랜드 사가

 

‘좀비 랜드 사가’ 맨홀뚜껑 성지순례 10/30

카시마시 갯벌 교류관(鹿島市干潟交流館) 야마다 타에(山田 たえ)

 

갯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망둥어와 카시마시의 특산품 개소겡이 배경으로 등장합니다. 등장하는 캐릭터는 야마다 타에. 좀비 랜드 사가 애니메이션 1기 5화에서 카시마시의 대표 축제인 가타림픽에 프란슈슈 멤버들이 참여하는 에피소드가 진행되는데 해당 에피소드에서 타에가 말린 개소겡을 먹는 씬이 등장합니다. 그래서 개소겡을 보고 침을 흘리는 타에가 낙점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역시 실제 사용하는 맨홀로 오수가 흐르고 있네요.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맨홀은 교류관 건물이 아닌 바다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물이 빠지면 갯벌이 보이고 개소겡도 망둥어도 보일 겁니다.

 

카시마시 갯벌 교류관(鹿島市干潟交流館)

 

카시마시 갯벌 교류관(鹿島市干潟交流館)

 

일반 차량의 출입은 금지되지만 업무용 트럭의 출입은 가능합니다. 교류관은 패스하고, 바닷바람이나 좀 쐐다가 다음 목적지로 이동했습니다.

 

유토쿠 이나리 신사(祐徳稲荷神社)

 

유토쿠 이나리 신사(祐徳稲荷神社)로 향합니다.

 

일본의 3대 이나리 신사라고 합니다. 이나리(稲荷)는 농경과 곡식 풍요 더 나아가 성공을 관장하는 신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이나리 신을 모시는 신사가 일본 전역에 있지만, 그중 이 신사는 3대 신사에 꼽힌다고 하네요. 특히 신사의 본전이 지상 18m 위에 소재해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나무 기둥으로 받쳐져 있는 아슬아슬한 느낌입니다.

 

신사를 찍으니 이런 상점가가 있는 길로 안내하네요. 조금 떨어진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걸어가기로 합니다. 나름 규모가 있는 신사입니다만, 비도 내리고 한산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습니다.

 

신사로 가는 길

 

도로 건너편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신사로 향합니다.

 

따로 입장료는 없습니다만, 신사 내부의 정원에 출입하거나 계단 대신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경우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신사 주변은 민가가 소재한 평범한 시골마을 느낌입니다.

 

작은 강

 

작은 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산에서부터 내려오는 작은 물줄기인지라 유속이나 수심이 그렇게 빨라보이지는 않네요.

 

유토쿠 이나리 신사(祐徳稲荷神社)

 

도리이를 지나 신사로 진입합니다.

 

비가 솔찬히 내리는 오전인지라 관광객이 그리 많지는 않았습니다.

 

일본식 정원이 있다고 한다.

 

신사 본전보다도 눈이 가는게 있었습니다. 철갑상어가 있는 정원이라네요.

 

왠 철갑상어가 있지? 싶어 본전 대신 정원에 들어가는 것을 택했습니다.

 

일본식 정원

 

지난해 6월 여행에서도 일본식 정원의 아름다움을 만끽했던지라 입장에 거부감이 없었습니다.

 

 

후쿠오카(福剛), 아소산(阿蘇山) 여행기 (3) 오호리공원(大濠公園) - 2, 일본 정원(日本庭園)

후쿠오카(福剛), 아소산(阿蘇山) 여행기 (1) 인천공항에서 후쿠오카로.. 오늘부터 6월 후쿠오카 및 아소산 여행기의 포스팅이 시작됩니다. [프롤로그] 6/16~1/18 후쿠오카(福剛),구마모토(熊本) 여행

www.tisdory.com

 

입장료는 100엔. 근데... 12월이라는 사실을 간과했습니다.

 

12월이니 뭐 있나

 

아무리 잘 꾸며놓은 정원이라 할지라도 12월에 뭐가 있겠습니까.

 

그나마 따뜻한 남쪽나라라 푸른 빛을 띄는 나무들은 좀 보이지만 나무들은 모두 낙엽을 떨어뜨렸습니다.

 

100엔 아깝다

 

솔직히 겨울엔 입장료 받지 말아야죠....

 

황량한 땅이 그대로 보입니다. 이런 모습을 보기 위해 100엔을 투자한게 아닌데 말입니다..ㅠㅠ

 

철갑상어가 있다고?

 

아무래도 입장료를 받으신 직원 아저씨께서도 미안하신지 철갑상어가 있는 연못으로 안내해줍니다.

 

잘 보이지 않습니다만, 화려한 색의 잉어들 사이로 검은 물고기가 있었는데 그게 철갑상어라고 합니다.

 

철갑상어

 

그래도 철갑상어를 보긴 봤습니다.

 

애초에 동아시아권의 철갑상어는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잉어와 비슷한 크기라 잘 어울리네요. 그렇게 철갑상어 구경을 좀 하다 나왔습니다. 이 철갑상어만 보고 나오기엔 100엔이 많이 아까웠네요.

 

한국어 팜플렛

 

직원 아저씨께서 한국어 팜플렛을 같이 주셨습니다.

 

사계절 신사의 사진과 꽃이 피는 시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다만, 겨울에 대한 안내는 딱히 없었습니다.

 

정원 바깥 잉어가 더 크다

 

일본식 정원 바깥 연못의 잉어가 훨씬 더 큽니다.

 

그 안의 잉어 아니 철갑상어보다 더 커요. 차라리 잉어 먹이주기 체험까지 같이 해서 잉어밥까지 100엔에 함께 줬더라면 그나마 나았을 겁니다. 정원에서 나와 본관 방향으로 가다 보니 맨홀이 있네요.

 

좀비 랜드 사가

 

‘좀비 랜드 사가’ 맨홀뚜껑 성지순례 11/30

유토쿠 이나리 신사(祐徳稲荷神社) 유우기리(ゆうぎり)

 

유우기리가 생몰했던 시기보다 한참 전인 17세기 말에 건축된 신사이지만, 쿠넨안도 그렇고 이런 아름다운 건축물에는 유우기리가 등장합니다. 배경은 쿠넨안. 기둥 위에 떠있는 본전이 아닌 신사 입구의 누문(楼門)이 배경으로 그려져 있네요. 30개의 맨홀 중 유일하게 바닥이 아닌 곳에 있는 맨홀입니다. 신사 경내 바닥에 맨홀을 박을 자리가 없었는지 몰라도 나무로 제작된 상자에 올려져 있었습니다. 

 

누문(楼門)을 바라보고 있다.

 

배경이 된 신사의 누문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여름에 왔더라면 더 좋은 그림이 될 수 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본전에 올라가보지 않아 다음에 한번 더 오긴 해야할 겁니다.

 

누문(楼門)

 

다리를 건너 신사 누문으로 진입합니다.

 

유토쿠 이나리 신사(祐徳稲荷神社)

 

이 신사의 랜드마크. 지상 18m 위에 있는 본전입니다.

 

엘리베이터를 탈까 하다 비싸서 포기. 계단을 탈까 하다 날 좋을때 다시 오기로 하고 일단 패스합니다. 농업 더 나아가 성공을 관장하는 신을 모시는 신사인지라 오미쿠지는 하나 뽑아보고 가야지 싶어 오미쿠지만 하나 뽑고 나가기로 합니다.

 

오미쿠지 100엔

 

100엔을 넣고 오미쿠지 자판기에서 오미쿠지를 하나 뽑아봅니다.

 

12번

 

12번이네요.

 

바로 펼쳐서 읽어봅시다. 아 물론 일알못인지라 번역기의 힘을 빌려야 합니다^^

 

신의 가르침

 

뒷장 먼저 봤네요. 신의 가르침을 적어뒀습니다.

 

긍정적으로 신의 뜻에 맞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합니다. 나쁜 얘기는 아닙니다. 그러니 카미노마니마니(神のまにまに)나 듣고 가시죠. 이 노래가 아녔더라면 이렇게 툭하면 비행기 타고 나가진 않았을 겁니다.

 

 

대길(大吉)

 

뽑기는 성공했습니다. 대길(大吉)입니다.

 

봄에 입신출세 한다는데 마음이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된다고 합니다. 번역기의 힘을 빌려 확인해본 바, 대부분 좋은 내용들입니다. 사업도 손해 없이 이윤을 남길것이고, 학업도 안심해도 되고, 애정은 믿으랍니다? 대충 좋은거라 생각하고 그냥 들고 왔어야 하는데.. 이걸 묶고 와버렸네요.

 

묶었다.

 

흉(凶)이나 마음에 들지 않는 문구가 나왔을 때 묶고 간다고 하는데.. 이걸 묶고 왔습니다.

 

그래서 올해도 억까가 끊이질 않나 봅니다.. 그렇게 신사를 나와 다음 목적지로 이동합니다. 9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하나는 설 명절이 있던 주에, 또 하나는 설 명절이 끝난 며칠 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2주 연속으로 서비스센터에 입고했습니다. 특히 설 전에 들어갔을때는 상차도 더럽게 안됐는데 지게차까지 불러 이적작업까지 해줬습니다. 역시 하위 10% 도태남 답게 풀리는 일이 없음을 보여주는 반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설 연휴를 며칠 앞두고 있던 시점 상차는 더럽게 안되고 있었는데 차를 살피다 4축과 5축 사이에 무언가가 빠져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이날 아침에 시동을 걸고 보니 갑자기 에어도 거의 다 빠져있었던지라 다녀와서 센터에 입고해야지 했었는데 급히 입고를 시켰습니다.

 

4축과 5축 사이 무언가가 빠져있다.

 

4축과 5축 사이에 무언가가 빠져있습니다.

 

분명 하체 부속품일텐데 이게 뭔가 싶어서 차 밑으로 들어가 봅니다.

 

무언가가 빠져있다.

 

상당히 생소한 부품이라 저게 뭔가 싶어서 두시간 넘게 상차를 마치고 바로 정비소에 입고시킵니다.

 

그냥 가다간 더 큰 견적을 낼 거 같아 바로 정비소에 들어왔습니다만, 점심시간에 걸려버리네요. 일단 점심시간이 지나고 바로 도크로 차를 넣기로 합니다. 그나마 대우차 정비소가 차로 1분 거리라 보증수리를 받기엔 상당히 용이합니다.

 

입고

 

정비소에 입고를 시켰습니다만...

 

도착지에 연락해보니 현장인데 무조건 당일 3시 안에 들어와야 한다고 합니다. 크레인이 이날 빠지면 명절이 지나고 언제 들어올지 모른다고 하네요. 종류도 많았고 상차도 더럽게 안풀려서 오전 내내 시간 다 잡아먹고 꼭 오늘 가야한다고 하니 제 돈 들여서 이적작업까지 시켜줘야 합니다. 그래서 지게차를 불렀습니다. 7톤 3단마스트 지게차가 오네요.

 

 

지게차 도착

 

현장이라 크레인으로 하차할걸 대비하여 나무를 좀 넓게 박아놔서 지게차로 뜨기 어려워합니다.

 

진짜 되는일이라곤 하나 없는 도태인생입니다. 얇은 철근들은 지게차로 들면 늘어져버립니다. 철근들의 길이가 모두 같다면 그냥 바로 옮겨버릴 차에 깔아버려도 상관 없는데 바닥에 10m 철근이 깔려있어서 다 바닥에 내려놓고 바닥 철근부터 깔아줘야 합니다. 하필이면 이러네요.

 

바닥에 깔아둔 철근들

 

정비소 주차장에 철근을 깔아두고 바닥부터 다시 옮깁니다.

 

생각보다 시간을 많이 잡아먹네요. 그래도 지게차 사장님이 생각 이상으로 잘 내려주셔서 다행이었습니다.

 

이적작업중

 

옆 차로 철근을 옮겨싣고 있습니다.

 

이적이 마무리되고 마침 도크를 쓰고 있던 차량의 작업이 끝나 도크로 차를 넣고 확인해 봅니다.

 

너트가 빠져있다.

 

축중을 판단하고 가변축(자동축)을 내려주는 역할을 하는 막대기라고 하네요.

 

이게 21년식 이후 차량들부터 적용되는 부품인지라 아직 고장나서 들어오는 개체가 많지 않아 다들 생소하게 느끼시던데 여튼 그 자동축을 조절해주는 막대기의 너트가 빠져서 덜렁덜렁 했던거라 합니다. 다행히 주행에 큰 지장을 주는 장치는 아녔네요.

 

체결

 

부싱이 하나 들어가고 체결된다는데 부품이 전산에 조회되지 않아 비슷한 부싱으로 조립해줍니다.

 

조립 후 딱히 에어가 빠지는 소리가 나지 않아 일단 에어가 빠지는 문제는 나중에 들어오기로 하고 이렇게 끝날 줄 알았습니다만.. 바로 공장에 다시 들어가 짐을 올리니 에어가 미친듯이 빠지더군요.

 

그래서 다시 입고하여 에어가 새는 부분을 찾아 수리했습니다. 이 막대기가 분리된 후 덜렁거리면서 에어호스를 쳤고, 작은 구멍이 생겼던 겁니다. 공차 상태에서는 크게 누기되지 않았으나 짐이 올라가니 미친듯이 에어가 빠져 찾아냈던 것이고요.

 

그렇게 설 명절을 보내고 다시 평화롭게 다닐 수 있겠구나 싶었는데....

 

냉각수 누수

 

냉각수가 마치 에어컨 물이 떨어지듯 미친듯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운전석쪽 호스에서의 냉각수 누수가 프리마 고질병이라고 하네요.

 

또 대충 상차만 하고 정비소로 입고합니다. 당일착이고 3시까지만 들어가면 되는데 하필 또 점심시간이 걸려있고 작업시간도 꽤 걸리는지라 다음날 가야만 했습니다. 역시 풀리는 일이 있으면 하위 10%가 아니죠.

 

냉각수 배출

 

냉각수 라인의 호스를 교체해야 하는지라 냉각수를 모두 배출해냅니다.

 

냉각수 배출에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생각보다 많은 양이 들어가거든요. 겨울에 대비하여 교체했었는데 약 3만km를 주행하고 다시 배출해냅니다. 이 배출해낸 냉각수는 다시 그대로 넣어줬습니다.

 

호스 유니온

 

마치 PB파이프 유니온처럼 생긴 호스 유니온입니다.

 

이 부품과 함께 부속실에서 호스를 가져오더군요. 다만 냉각수 호스의 재고가 없는지 품번과 길이가 조금 다른 요소수용 호스를 들고 왔습니다.

 

요소수 호스

 

요소수 호스의 품번은 32460 11210 냉각수 호스의 품번은 32460 12650입니다.

 

길이차이만 있을 뿐 사실상 동일한 호스라네요. 딱딱한 PB파이프 느낌입니다.

 

탈거된 냉각수 호스

 

탈거된 호스의 모습입니다.

 

호스반도에서 새는 것 처럼 보였는데 호스 끝부분과 유니온 사이에서 새어나온듯 보입니다.

 

교체완료

 

냉각수를 배출하는 시간이 꽤 오래 걸렸지 작업은 생각보다 금방 끝났습니다.

 

차령 3년차까지 일반보증. 5년차까지 엔진 밋션 등 주요 동력계통의 보증이 이루어지는데, 이런 일반보증류 문제들이 계속 터지니 불안하기만 합니다. 100만km 이상도 달리는 상용차 특성상 이제 겨우 19만km를 넘긴 새차인데 부디 무탈히 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