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비스토'에 해당되는 글 48건

반응형

 

뭐 계기판과 자동변속기 기어 표시등에는 LED를 박아놓았는데, 쉽게 교체가 가능한 실내등은 교체하지 않았더군요. 이런 조합이 다 있나 싶었지만, 실내등부터 교체해주기로 합니다.

 

그동안 이런저런 차량용 LED를 사서 쓰면서 하자도 많았지만, 가장 쓸만했던 '반디' 제품으로 주문했습니다. 뭐 이거저거 같이 주문하기도 했습니다만, 가장 만만하고 간단한게 실내등이니 실내등부터 만져줍니다.

 

비스토의 실내등. 어디서 많이 본 느낌이라면 아마 맞을겁니다.

99년 비스토 출시 이후 지금까지 생산되고 있고 신차에 적용되어 판매되는 실내등입니다.

 

고급 맵등이 들어가지 않는 포터와 봉고3 중저가 트림에 아직도 사용되고 있는 그 실내등입니다. 뭐 포터2와 봉고3 안테나 역시 비스토의 오디오 안테나 부품을 그대로 사용했고, 여러모로 비스토는 단종된지 20년을 바라보고 있지만 비스토에 처음 적용되었던 부품들은 포터와 봉고에 아직까지도 줄기차게 부착되어 생산되고 있습니다.

 

포터2 봉고3용 실내등 전구 교체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교체가 가능합니다.

교체 DIY라고 하기도 뭐한 수준입니다. 헤라나 일자드라이버 하나면 됩니다.

 

니코틴에 쩔어있다.

여러모로 천장이 매우 더럽습니다. 전 차주가 차 안에서 흡연을 즐겨서 생긴 흔적으로 보입니다.

 

뭐 어쩌겠어요. 그냥 쓱 걸레로 한번 문질러도 누런 타르가 묻어나옵니다. 언제 날잡아서 뜯어다 솔질을 하던지 맘먹고 디테일링 세차샵에 보내는게 나을겁니다. 뭐 지금 그 얘기를 하려고 한게 아니니 일단 넘어가기로 하고. 실내등 스위치 위쪽으로 보면 작은 홈이 보일겁니다. 그 홈으로 헤라 혹은 일자드라이버를 쑤셔넣어 제껴주기만 하면 실내등 커버가 탈거됩니다.

 

36mm 규격의 실내등 전구가 모습을 드러낸다.

36mm 규격의 실내등 전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냥 LED 판매 페이지에 비스토 실내등 규격이 31mm라고 해서 31mm 규격의 LED를 구입했는데 이거 큰일입니다. 그래도 31mm 규격이 들어가게 만들어진 공간에 36mm 전구를 끼우기는 힘드나 반대의 과정은 그리 어렵지 않기에 감행하기로 합니다. 전구가 양쪽 홈에 걸쳐지는 형태로 고정되기에 그냥 잡아당겨 빼주면 됩니다. 별로 어렵지도 않습니다.

 

다만 실내등을 오래 점등해놓은 경우 전구가 뜨거우니 장갑이나 헝겊을 이용해 탈거하도록 합시다.

 

반디(BANDI) LED interior lamp

반디 실내등 전구입니다.

 

진작 알았으면 36mm로 구입했겠지만 뭐 어쩌겠습니까. 일단 달아야지요. 그 외에도 T10 규격의 전구와 아반떼용 후진등을 구입했습니다. 실내등 LED가 포장된 봉지를 뜯어 기존의 누런 전구가 있던 자리에 잘 끼워주기만 하면 됩니다.

 

물론 36mm 규격의 전구가 끼워지는 공간이다 보니 31mm LED에 맞게 실내등의 고정 단자를 조금 구부려서 맞춰주면 됩니다. 다시 36mm 규격의 전구를 끼운다면 원상복구 시켜주면 될테니 말이죠.

 

장착완료
점등에도 문제가 없다

장착완료. 점등에도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없이 환하게 들어오는 모습을 확인했으니, 이제 실내등 커버를 닫아주기만 하면 됩니다. 뭐 닫아주면 끝입니다. 허무합니다. 네 매우 쉽습니다. 초딩도 과학상자 조립하는 실력이면 충분히 하고도 남습니다. 이걸 DIY라고 쓰기도 뭐하고.. 그냥 전구 바꿨다고 쓰렵니다.

 

낮에도 밤에도 밝고 선명하다.

커버까지 닫아주고 낮에 작동해보니 역시 낮에도 선명하게 잘 들어오고 있습니다.

 

뭐 앞으로 직접 뜯어서 전구를 교체하는 일은 거의 없겠죠? 다음은 번호판등과 미등입니다. 막상 오늘 중간에 잠시 짬이 생겨 번호판등을 교체하려 보니 바깥 볼트가 다 쩔어서 풀리지 않더군요. 7년 전 당시에도 비슷한 이유로 펜치로 돌렸다고 기록했었던데, 뭐 여튼 그렇습니다. 나중에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0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20/10/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다시 비스토! 이번엔 터보! (2002 KIA VISTO TURBO)

은색 비스토 터보.

 

가져와서 엔진오일정도는 교체하고 타시라고 하시기에 알겠다고 하고 대략 열흘 가까이 지났습니다. 뭐 가져와서 그렇게 타지도 않았긴 하지만, 잠시 시간이 난 김에 엔진오일을 교체하기로 합시다. 허브베어링도 그렇고 타이밍벨트도 그렇고 대대적으로 손을 봐야 하는데, 당장 모비스 물류센터의 파업으로 로커암 커버 가스켓조차 주문한지 일주일이 지나도 오지 않는 실정입니다.

 

이건 뭐 수입차 타는것도 아니고요. 모비스 물류센터가 파업을 하니 부품 수급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로커암 커버 가스켓은 사서 뚜껑을 열고 밸브 간극을 조절하는 김에 타이밍벨트를 손을 보려 했지만, 점점 미뤄집니다. 뭐 타이밍벨트 세트야 비품을 써도 된다지만 말이죠.

 

여튼 잠시 시간이 생겨 당진에서 엔진오일을 교체하기로 합니다.

 

비스토 가지곤 처음으로 정비소에 들어가보네.

비스토 터보로는 처음으로 정비소에 들어갑니다.

 

뭐 별거 있나요. 일단 시간여유가 있는것도 아니고 간단한 엔진오일부터 교체하기로 합니다. 추천을 받아 서산으로 가는 길에 붕붕카서비스라는 카센터를 찾아왔습니다. 우측 리프트에 올라가 있던 아반떼XD를 내리고 그 자리에 비스토가 올라갑니다.

 

리프트가 올라가는 모습.

리프트가 올라가고 작은 체구의 비스토도 같이 올라갑니다.

 

뭐 오일 교체하는게 별거 있나요 차체를 띄워 드레인 코크를 풀고 기존 오일을 배출해내며 오일필터 역시 교체한 다음 다시 내려서 에어크리너를 교체하고 신유를 주입해주면 됩니다. 뭐 거창한 작업도 아니고 평범해보이지만, 비스토를 작업하는 모습은 오랜만이니 쭉 구경해보기로 합니다.

 

폐유 배출중

폐유를 배출합니다.

 

점도상으로는 그럭저럭 조금 더 타도 되는 수준이였지만, 색상은 뭐 거의 검은색에 가깝네요. 터보엔진의 특성상 일반 자연흡기 차량보다 교체주기가 짧은편입니다. 전 차주분이 얼마나 탔는지는 모를일이지만, 일단 오일을 내려줍니다. 오일이야 뭐 자주 갈아준다고 비용이 차에 나쁠건 없으니 말이죠.

 

하체 살피는 중

하체 상태를 확인합니다.

 

전반적으로 언더코팅제가 떡칠이 되어있는데 간간히 겉녹들이 보입니다. 녹이 아예 없지는 않더군요. 그래도 외판만 본다면 외판 상태는 매우 우수했습니다. 육안상으로는 심각하게 느껴지는 부분은 없으니 그냥저냥 타기로 합시다.

 

비스토 아토스는 엔진오일 필터를 탈거하기 위해 범퍼그릴을 탈거해야 합니다.

잘 아는 분들은 잘 알고 익숙하게 범퍼그릴을 탈거합니다.

다만 비스토나 아토스의 엔진오일을 교체해본 경험이 없는 분들은 한참 찾으시더군요.

 

티코는 번호판을 탈거해야 오일필터가 보이고, 비스토와 아토스는 범퍼 하단의 그릴을 탈거해야 오일필터가 보입니다. 작은 차에 이거저거 몰아넣는다고 정비성을 포기한건데, 그럼에도 같은 시기 나왔던 경차인 마티즈는 상대적으로 쉽게 엔진오일 필터를 교체 할 수 있는 부분을 생각한다면 참 애매하기도 합니다. 

 

오일은 깡통오일 주입.

오일은 뭐 비싼 오일 대신 흔히 광유라고들 부르는 깡통오일을 주입합니다.

정비소에 가면 주유건 같은 기기로 딸깍 딸깍 하면서 넣는 그 오일 말이죠.

 

뭐 깡통오일이라고 해도 기유 자체는 완전한 광유도 아니고, 어지간한 규격은 충족하고 있을겁니다. 주기를 조금 짧게 잡고 잘 밟아주어 내부 청소를 한다 생각하고 타기로 합시다. 얼마 전 마티즈 역시 오일을 교체하며 작은 통에 들어있는 엔진오일을 사용했는데, 깡통오일 주입은 정말 오랜만에 겪어보는 일이네요.

 

교체 후 주행거리

대략 16만 2천km대에 교체했습니다.

 

그동안 밟아보지 않았던 풀악셀도 한번 밟아보고요. 평지에서도 어지간한 자연흡기 준중형차가 풀악셀을 치고 나가듯이 속도가 올라갑니다. 그냥 쭉 밟고 있으니 속도계상으로 140km/h까지 쭉 올라가네요. 더 밟을 수 있었지만, 앞에 차들이 좀 있어 바로 발을 떼었습니다.대략 3~4000km정도 잘 타고 난 다음 다시 오일을 내려주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0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