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벌써 13일차 이야기입니다.


기중기운전기능사 실기시험은 화물을 장애물을 통과하여 옮기는 기중작업과 S자 코스를 전진으로 들어갔다가 후진으로 나오는 운행까지 모두 조건을 충족해야 합격입니다. 작업은 잘 했는데, 운행에서 점수가 부족하여 불합격 하는 경우도 있고요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은 기중작업의 시험을 먼저 본 다음에 운행시험장으로 넘어가 운행을 한다고 합니다. 30%대의 낮은 합격률을 보이는 만큼 기중작업에서 절반 가까이 실격당한 뒤 운행을 하러 와서도 실제 완주하는 수험생은 절반 수준이라고 하네요.


13일차는 오전에는 1회씩 돌아가며 이제는 익숙해진 기중작업을 한 다음 주행코스로 기중기를 옮겨 주행연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1기 주말반은 주행에 하루를 할애했지만, 주행 연습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2기 주말반은 총 이틀을 할애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여튼 평화로운 기중기와 타워크레인의 모습입니다.


6월 말에 시험이 있습니다만, 저는 기중기 필기시험도 보지 않았고 타워크레인 재수가 우선이기에 6월 시험에서는 타워크레인을 타야 합니다. 꼭 6월 2차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조만간 타워크레인 코스가 바뀐다고 합니다.



뭐 평범하게 기중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마지막 수강생이 타기 무섭게 기중기를 옮기기 위한 준비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기중기를 옮기는 일은 생각보다 까다롭습니다. 아웃트리거를 접고 주행모드로 전환한 뒤 그냥 움직이면 될 것 같습니다만 이미 시험 규졍에 맞춰 세워놓은 세워진 상태를 표시하고 주변이 어수선해지지 않도록 살살 움직이더군요. 



그렇게 옮겨진 기중기입니다.


아 물론 주행시험장까지 지게차 시험장을 지나 작은 내리막을 거쳐야 합니다. 230마력의 자연흡기 UD엔진의 웅장한 엔진음과 함께 매연이 뿜어져 나옵니다. 같은 엔진에 터보차저가 장착되어 옛 동아자동차의 DA트럭과 삼성자동차의 SM트럭에 적용되었지만, 25톤 기중기에 장착된 구닥다리 자연흡기 디젤엔진은 힘은 그만큼 쓰지 못해도 진동과 엔진음은 비슷했습니다.



1980년대 일본 타다노에서 제작한 크레인과 닛산디젤에서 제작한 차체의 트럭형 크레인.

오래되어 보입니다만, 삼성중공업에서 1996년에 라이센스 생산했던 차량입니다.


이전 1~2일차 이야기에서도 언급했었습니다만, 삼성중공업에서 거의 그대로 조립해다 팔았던 크레인입니다. 물론 지금은 기중작업과 도로주행을 같은 캐빈 안에서 할 수 있는 맹꽁이 크레인이 대세가 되었고 트럭형 크레인은 이런 특수한 형태가 아닌 양산형 카고트럭에 특장 형태로 올리는 방식으로 변화하였지만 아직도 간간히 이런 형태의 트럭형 크레인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언덕을 내려온 크레인은 주행시험장에 정차하였습니다.


그렇습니다. 1971년 출시되었던 닛산디젤 C 시리즈 트럭의 6x4 카고모델인 CW 차체에 크레인을 올린것으로 추정됩니다. 물론 40대 이상이라면 소방차로 돌아다니던 모습을 기억하고 계실법한 동아자동차가 1977년부터 1987년까지 생산하였던 'DA10'이라는 이름의 트럭과 그냥 같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후 동아자동차는 쌍용그룹에 인수된 이후에도 닛산디젤의 트럭을 라이센스 생산하였지만, 벤츠와의 기술제휴로 SY트럭과 대형버스 트랜스타를 출시하며 닛산디젤과의 제휴관계를 청산하였습니다.


이후 삼성그룹의 자동차시장 진입으로 삼성상용차가 닛산디젤의 신형 빅썸트럭을 기반으로 트럭을 생산했지요. 물론 그 삼성트럭이 불티나게 팔리던 시절에 구닥다리 동아자동차 트럭을 기반으로 삼성중공업에서 크레인을 만들었다고 이해하시면 쉽겠습니다.


언덕을 내려오는 기중기의 모습을 영상으로 남겨보았습니다.





기중기가 주행시험장으로 내려오고 강의실에 들어가 기중기 코스에 대해 설명을 듣습니다.


원장님께서 친절히 코스 설명을 위해 실기시험지를 뒤집어 빨간 칠판 지우개로 설명 해 주셨습니다. 물론 말로 들으면 이해가 어렵다보니 직접 강사님께서 시범을 보이시는 모습을 따라 걸어가며 주행코스에 대해 익혔습니다.



그렇게 탑승과 주행이 시작되었습니다.


물론 가나다 역순으로 탑승이 시작되었고, 저 역시 김씨인지라 느지막에 크레인 운전석에 탈 수 있었네요.



자세히 보면 동아자동차의 DA10. 닛산디젤의 C시리즈 트럭의 거의 모든 요소를 박아놓았습니다.


물론 온전한 탑은 아닙니다만, 안개등과 헤드램프 그리고 방향지시등까지 동아자동차 시절 판매되었던 DA10의 이미지와 비교한다면 사실상 같은 트럭이라 볼 수 있습니다.



1977년부터 1988년까지 동아자동차가 공급해오던 DA10 기반의 소방차입니다.

90년대생인 저 역시 초등학교 3~4학년 시절까지 이 소방차를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원형 헤드램프와 안개등. 그리고 라디에이터 그릴과 기중기에는 SAMSUNG 레터링이 자리잡고 있지만, 이 소방차에는 NISSAN-DONG-A 레터링이 붙어있네요. 차고는 일반 트럭이 훨씬 높고 안개등 아래로 범퍼도 달려있습니다만 동일한 캡입니다. 


즉 주행실습은 70년대 일본트럭이자 80년대 한국 트럭을 직접 운전하는 일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가 아닌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로 옮기고 싶어집니다.



그렇게 운전석에 착석합니다. 물론 이 기중기는 1996년 삼성중공업 창원공장에서 생산되었지만

일본 기준으로 1970년대 한국 기준으로 70년대 후반과 80년대 생산되었던 차량의 운전석입니다.


UD 로고가 박힌 구닥다리 핸들과 투박한 계기판의 모습이 보입니다. 우측으로는 1din 데크의 기계식 라디오 데크도 보이고요. 방향지시등과 와이퍼 그리고 헤드램프를 켤 수 있는 펑션스위치도 보입니다. 아 물론 삼성중공업에서 라이센스 생산했던 모델인지라 방향지시등 레버가 좌측에 있습니다.


지금도 도로 위에 간간히 보이는 삼성트럭의 2세대 전 모델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DA30과 DA50 그리고 동아자동차가 쌍용그룹에 인수된 이후 벤츠와의 기술제휴로 탄생한 SY트럭과 트랜스타에 적용되었던 핸들은 닛산디젤의 이 다음세대 모델용 핸들입니다.


일본에서 중고로 들어온 기중기의 경우 운전석도 반대쪽에 있고 스위치 역시 반대로 조립되어 있습니다.



대구와 경북지역에서 운용되었던 흔적들도 보이고 서울지역 수리업자의 스티커도 보이네요.


빵꾸 수리 스티커들을 보다보면 대구경북지역 업자의 스티커도 보이고 우측 스티커는 서울지역 업자의 스티커로 보입니다. 물론 지금은 보기 힘든 011 번호인지라 번호가 다 바뀌었으리라 추정됩니다만, 현역으로 이용되던 시절의 흔적입니다.


여튼 타봤습니다. 주행시험의 제한시간은 2분 30초. S자 코스 중간에서 잠시 정차한 뒤 3축이 코스 끝을 알리는 선을 넘어가면 전진은 끝. 다시 후진기어를 박고 잘 돌려서 나오면 됩니다. 수동차 운전에 익숙하면서 대형면허 혹은 대형차 운전 경험이 있다면 매우 쉽습니다.



주행실습의 첫날인지라 강사님께서 기중기를 따라다니며 가르쳐 주십니다.


대형면허 S자 코스에 비한다면 매우 넓습니다. 실제 도로에서 대형차를 끌어 본 경험이 있다면 그냥 감으로 보면서 휘어돌려도 크게 문제 없는 수준의 넓이입니다. 그럼에도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여유있게 도는 방법을 강사님께서는 지도해주셨습니다. 일정하게 선을 보고 돌고 나오면 양 옆으로 적당한 공간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주행이 가능했습니다.



저는 대략 두어번 타고 이해하여 그냥 막 휘어잡아 돌려도 빠른 시간 내에 들어왔습니다만..

수동차 운전에 익숙하지 않거나 감을 잡지 못하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어느정도 코스에 대한 이해를 마친 뒤 1분 30초대에 돌고 들어왔습니다. 물론 버스기사로 오래 일하셨던 수강생도 계셨던지라 뭐 대형차 조금 타 본 경력으론 명함도 내밀지 못하지만, 전진할때 조금 더 선에 맞춰 돌으라는 얘기만 들었지 크게 강사님께 지적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감을 잡지 못하는 수강생은 원장님께서 기중기 뒤에 태우고 직접 과외까지 해 주시더군요. 저래보여도 2인승입니다. 그렇게 13일차 강습을 모두 마쳤습니다.


14일차에는 하루종일 주행실습만 진행되었고 부족한 강습생 위주로 실습이 이루어졌습니다. 14일차 이야기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랜만의 올드카 목격담입니다.


오늘은 내포신도시의 한 관공서 뒷편 주차장에서 발견한 1993년 6월에 최초 등록되었던 매우 준수한 상태의 뉴 엘란트라의 이야기입니다. 내수 판매용 아반떼가 해외시장에서는 엘란트라라는 이름으로 아직까지도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7세대 모델까지도 시장에 내놓았지요.


여튼 코드명 J1으로 개발된 현대의 준중형 세단인 엘란트라는, 당시 현대차의 수출 주력차종이던 스텔라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는데 준중형차라는 개념을 국내에 최초로 도입시킨 차량이자 지금까지도 30년 넘는 세월동안 여러 세대에 거쳐 현대차의 대표 차종으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당시 기술 제휴관계에 있었던 미쓰비시의 3세대 미라쥬의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활용하였습니다만, 외부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하여금 현대자동차가 지금처럼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가질 수 있게 만들어 줬던 원동력이 되었던 차량입니다.


그동안 엘란트라와 관련된 목격담 혹은 운행담을 애독자라면 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지난 2017년 연말에는 직접 대전에서 93년 11월식 뉴 엘란트라를 타고 고양시까지 꽤나 먼 거리를 달렸던 일도 있었고요. 2019년 2월 설 연휴에는 극심한 정체를 겪던 고속도로에서 같은 93년식이나, 부분변경 직전에 구입하여 등록했던 구형 엘란트라를 목격했던 일도 있었지요.


여튼 이후로도 간간히 보기는 했던 차량입니다만, 세월이 무색할 수준으로 매우 준수한 상태를 가진 엘란트라를 목격하여 사진으로 남겨보았습니다.



뉴 엘란트라입니다.


엘란트라의 부분변경 모델이 93년 4월 출시되었고, 이 엘란트라는 93년 6월에 최초로 등록되었으니 아마 그 즈음에 계약하여 출고된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만 27년이라는 세월이 무색하게 매우 준수한 도장상태와 관리상태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번호판은 0번대 전국번호판이였는데, 0번대 번호판이 등장하기 시작했던 2015~16년 즈음에 번호판이 변경되지 않았을까 추정해봅니다. 높은 확률로 지금의 차주가 그 당시에 이 차량을 인수했으리라 생각됩니다. 대략 2017년부터 말소된 번호를 재탕하여 던져주기 시작했고 지난해 9월부터 유럽형 번호판 규격이 적용된 차량들은 세자리 번호판을 달 수 있지만 혼합형이나 짧은 번호판을 달아야 하는 구형 차량들에는 아직도 두자리 재탕 번호가 부여되고 있으니 말입니다.



아무래도 도장을 새로 올렸던 차량으로 추정되어 외관 관리상태는 매우 우수한 축에 속합니다.

다만, 아쉬운 부분들도 보였습니다.


도어 몰딩에 피스를 박아놓은 흔적이 보이네요. 물론 보기도 흉하고 차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몰딩의 크롬 라인이 광이 바래거나 벗겨지는 현상은 없었습니다.



반대편 몰디은 따로 피스를 박은 부분이 없이 깔끔했습니다.


간간히 문짝 끝부분이나 휠하우스 안쪽으로 빨갛게 부식이 보이긴 합니다만, 겨우 10년 굴린 차도 저 이상의 부식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30년 가까이 된 차에 이정도 부식이면 애교 수준으로 넘어갈만 합니다.



175/70R13 타이어와 깨끗한 깡통휠, 그리고 깨끗한 휠커버의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도색을 하는 과정에서 새 휠과 휠캡을 구해 끼워놓은것으로 추정됩니다. 


휠캡은 쉽게 구하기 힘들다고 쳐도 깡통휠이야 도처에 널려있으니 쉽게 구할 수 있었겠지요. 여러모로 나 리스토어요 올드카 복원하는 사람이요 나불대면서 이상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고 어디 방송이나 한 번 타보려고 기웃거리는 관종들이 하는게 리스토어가 아니라 이런식으로 본질을 훼손시키지 않고 차량을 신차에 준하는 상태로 되돌리는 행위가 진정한 복원이고 리스토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모로 깔끔한 상태. 트렁크에 살짝 들어간 부분이 보이네요.


간간히 옥의 티가 보이긴 합니다만, 전반적인 상태는 우수했습니다. 따로 DOHC 레터링이 없는걸로 보아 SOHC 엔진이 적용된 모델로 보이네요. 간간히 DOHC 혹은 당대 슈퍼카로 이름을 날리던 1.8 DOHC 엔진이 적용된 차량의 사진이나 매물이 올라오기도 합니다만, 그 당시 가장 흔했던 SOHC 엘란트라였습니다.



안타깝게도 스테프 부분에는 녹이 보이네요.


앞으로 더 오랜세월 가지고 계시려면 언젠가는 대대적인 부식수리도 필요해 보입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당시 형편없던 현대의 방청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엘란트라로 30년 가까이를 이정도 상태로 버텨왔다면 꽤나 잘 버텼습니다.



실내 상태도 순정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매우 준수한 상태의 직물시트와 도어트림. 그리고 주행거리도 이제 겨우 11만km.. 차령을 생각한다면 사실상 차생의 대부분을 주차장에서 보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차 상태가 이렇게 깔끔하지요.



다만 30여년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핸드폰 충전기와 송풍구형 핸드폰 거치대의 모습이 보입니다.


뭐 그 외에도 이 시대의 필수품인 마스크도 보이네요. 물론 오디오 데크에는 카세트 테이프가 들어가 있고, 요즘은 쉽게 보기 힘든 이퀄라이저까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카세트 테이프라는 구시대 유물과 현시대를 대표하는 핸드폰 충전기와 거치대 그리고 마스크가 어울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차량 뒷좌석 시트 뒤로는 여러 서류들이 놓여져 있었는데, 흥미로운 서류들이 보였습니다.


자동차 사용설명서로 보입니다만, 혹시 엘란트라의 사용설명서가 아닐까 유심히 들여다 보았는데 엘란트라의 것은 아니였고 비슷한 시기에 나온 중형트럭용 사용설명서로 보였습니다. 그 당시 현대자동차의 중형트럭이면 뭐 안봐도 91A겠죠.



6세대 엘란트라인 아반떼 AD와 같은 자리에 세워져 있었습니다.


물론 AD가 뒤로 바짝 붙이지 않아 조금 앞으로 나와있는 상태이지만, 차량의 크기만 놓고 보더라도 비교가 되지 않는 수준입니다. 물론 얼마 전 출시된 7세대 아반떼의 경우 20년 전 중형차인 EF 쏘나타에 비해 전장을 제외하고 더 커진 모습으로 출시되었지요. 나란히 세워놓고 보니 시대의 변화가 직접적으로 보여집니다.


약간의 부식이나 아쉬운 부분들이 보이기는 하지만, 순정의 준수한 상태로 유지중인 엘란트라가 오랜 세월 주인과 함께 도로 위를 누비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