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해당되는 글 2505건

반응형

2019/12/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79 현대자동차 포니 임시번호판 사진.

 

1979 현대자동차 포니 임시번호판 사진.

오늘은 목격담과 거리가 멀긴 하지만, 귀한 사진을 발견하여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 작성합니다. 1979년 출고된 현대자동차 최초의 독자생산모델인 포니의 임시번호판이 달린 사진을 발견했

www.tisdory.com

2020/11/16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차고 정리 및 보수공사

 

차고 정리 및 보수공사

주말 내내 차고 정리를 단행했습니다. 뭐 시간이 날때마다 짐을 하나씩 빼고 버릴건 버리는 등 정리를 하고 있었지만,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마무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이번 주말은 차고 정

www.tisdory.com

사실 그동안 차고를 치웠던 이유가 도크도 그렇고 차량을 주차하는 목적으로라도 다시금 활용하기 위함도 있지만, 임시번호판 포니가 있던 자리에 내 차를 세우고 비슷한 구도의 사진을 촬영하고 싶은 생각에서 더 열심히 치웠던 것도 있습니다.

 

물론 포니는 이미 용광로에 들어가 다시 태어나고도 여러번 다시 태어났겠지만, 사실상 자료조차 거의 찾기 힘든 임시번호판의 포니가 이 차고에 세워져 있던 사진에서 시작된 차고에 다시 차를 집어넣기 프로젝트를 달성하긴 했습니다.

 

임시번호판 포니1

지나간 옛 차 그리고 방치되었던 차고를 다시 돌아보게 했던 사진.

 

요즘 뭐 현대차가 헤리티지다 뭐다 하면서 지나간 옛차들을 다시금 전시하고 시승 할 수 있는 행사를 진행하는데, 당시엔 형편없던 기술력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차량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현대차가 존재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당시 차를 세워두고 자가정비를 하던 이 차고가 없었더라면 부자는 아니지만 지금처럼 다락방 딸린 복층아파트에서 그냥저냥 윤택한 삶을 영위하지 못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차고를 처음 건축하고 차를 고쳤던 할아버지부터 이후 이 차고에서 차를 고치고 타고다녔던 아버지를 거쳐 제게 넘어왔는데, 적절히 잘 유지해보도록 합시다. 

 

세월이 흐르고 차고는 낡았다. 차도 커졌다.

그리고 차를 넣었습니다. 감격을 느낍니다.

차고에 온전히 차가 들어간 모습을 보는게 얼추 20년만이네요.

 

대략 2000년대 초반에 옆에 사시던 약국집 아저씨께 세를 줬었습니다. 그 당시 검정색 에쿠스를 끌고 다니셨는데, 그렇게 차고를 사용한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 그분께서 돌아가시고 차고가 아닌 창고처럼 썼던 공간입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바닥도 깨지고 여러모로 콘크리트 상태가 좋진 않지만 차가 들어갔습니다. 이 모습을 보기 위해 꽤 오랜 세월 고생했음을 생각한다면 그저 감격스러울 뿐이네요.

 

포니가 들었던 자리. 이젠 아반떼가 들어갑니다.

 

코티나 마크5, 포니, 로얄살롱을 거쳐 할아버지 아버지를 거쳐 이젠 제 차가 들어가고, 선대가 그랬듯이 이 자리에서 거창한 정비는 하지 못하더라도 간단한 DIY를 해보려 합니다. 과연 내 자식에게까지 이 차고에서 직접 차를 만지라며 물려 줄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헤리티지 개러지(HERITAGE GARAGE) 프로젝트는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습니다.

 

막상 차를 넣고보니 당대 중형차로 취급되던 차량이 들어가도 도크로 들어 갈 수 있는 공간이 남았던 차고인데 꽤 좁게 느껴지네요. 수십년을 버텨오며 그동안 자동차의 크기 역시 함께 커졌음을 실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올드카 목격담에서 구형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초기형 아카디아의 목격담을 다루기도 했었죠.

그렇지만 막상 아카디아에 타 본 경험은 없었습니다.



2년 전 목격담을 작성하면서 잠시 혼동했는지 레전드를 어코드라고 작성했었네요. 레전드가 맞습니다.


말이 대우차지 혼다의 2세대 레전드를 그대로 들여와 조립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94년 혼다와의 기술제휴로 출시된 이후 99년 대우그룹이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며 당시 승승장구하던 쌍용의 대형차 체어맨과 대형차 모델이 중복되어 아카디아를 단종시킵니다.


여튼 대우그룹의 쌍용자동차 인수 이후 대우에서 가장 비싼 승용차인 아카디아는 결국 떨이로 재고를 정리했고, 오늘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룰 아카디아 역시 그 시기에 출고되었던 차량입니다.


물론 기본적인 익스테리어 튜닝인 아큐라 엠블렘과 휠 그리고 서스펜션을 비롯하여 실내 역시 순정의 상태는 아녔지만, 그래도 아카디아를 타 본 경험은 처음인지라 간단히 남겨봅니다.



어쩌다 보니 아카디아를 타게 되었습니다.


제 업무용 빨간 마티즈를 파셨던 분이 이 차를 가져오게 되었다고 차량을 가져와 달라고 부탁을 합니다. 물론 요즘 저는 따로 고정적으로 나가는 일이 있어 시간이 애매했지만, 중간에 시간을 내서 직접 차량을 옮기러 다녀왔습니다. 이 블로그의 애독자라고 하시기도 합니다만, 차가 좋아서 차를 많이 가지고 계시다고 합니다.


저 역시도 차만 보면 사고싶은 사람 중 하나지만, 막상 고배기량 차량은 엄두도 못내는 사람인데 어찌 보면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여튼 평범한 검정색 아카디아고 순정이 아닌 대다수의 아카디아가 그렇듯이 혼다나 아큐라 그릴이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아큐라에 대해 조금 생소하게 느끼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토요타의 렉서스. 닛산의 인피니티. 현대의 제네시스처럼 혼다의 프리미엄 브랜드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뭐 후미 역시 평범합니다. 아큐라 엠블렘이 붙어있고요.


보통 이래저래 자세를 잡아놓은 차량들이 뒷번호판 역시 규격변경을 하여 긴 번호판을 달아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 차량은 짧은 번호판이 그대로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아카디아의 트렁크도 열어보았는데, 얕고 넓은 구조네요. 그래도 지금까지 매니아들에게 사랑받으며 생각외로 많은 아카디아들이 살아있습니다. 신차 출고 이후 지금까지 타고 계신 분들도 가끔 보이고, 이후 중고차로 구입했지만 순정상태로 유지하는 차량들도 꽤 보입니다.


비슷한 시기 경쟁하던 현대의 뉴그랜저가 상대적으로 1세대 각그랜저에 비해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지만, 대우의 아카디아는 특유의 세로배치 엔진과 중량 배분까지 완벽에 가까운 혼다의 실험정신이 그대로 담겨있어 뉴그랜저보다 찾는 사람도 보존하는 사람도 훨씬 많은 느낌입니다.



착석합니다. 아큐라(ACURA) 에어백 모듈이 보이네요.

그리고 그 시절 일본차 느낌이 가득한 계기판도 보입니다.


후기형은 국내에서 에어백 모듈을 생산하여 ACURA 대신 DAEWOO가 적혀있었다고 하지만, 이 차량의 에어백 모듈 역시 아큐라네요. 뭐 모듈만 바꿨거나 핸들을 통째로 바꿨을지는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시계와 비상등 그리고 풀오토 공조기가 있던 자리에 내비게이션을 매립. 오디오 자리에 공조기가 들어가고 오디오는 그보다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사실상 손가락 하나 들어갈까 말까 싶은 수준으로 낮춰놓은 차체와 일체형 서스펜션의 적용으로 도로 위 요철이 보이면 내심 겁이 나기도 했습니다.


카랑카랑한 엔진음을 내며 지하주차장을 나와 조심스럽게 주행을 이어갑니다.



그렇게 모처에 주차를 하고 돌아갑니다.


순정차량이 아닌지라 이렇다 저렇다 말하긴 뭐하지만 일체형 쇽업쇼바와 18인치 휠타이어의 영향으로 상당히 하드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거기에 차체도 낮다보니 혹여나 작은 요철에도 바닥이 닿지 않을까 싶어 살살 왔네요. 순정 아카디아는 어떤 느낌일지 더욱 궁굼해집니다.



제가 급하게 가다보니 서류를 놓고 와서 결국 서류를 가지러 차주분이 다시 오셨습니다.


집 앞에서 자동차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를 나눴네요. 여러모로 90년대 일본의 실험적인 자동차를 느끼기에는 가장 접근하기 쉬운 차량이 아카디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본의 버블을 상징하는 JDM 스포츠카들이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심지어 미군들이 매물이 나왔다 하면 싹 쓸어서 본국으로 가져가는 형태라 할 정도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데 그런 차량들에 비해서는 한국GM 부품망을 통한 부품수급이나 여러모로 국내에서의 수리는 용이할테니 말입니다.


여튼 다음엔 순정 아카디아를 타 볼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