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0/04/25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 새로운 시작.

2020/04/27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2) 조작법 익히기

2020/05/03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3) 부분동작 연습하기

2020/05/06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4) 연속동작 익히기

2020/05/10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5) 폭우, 왼발 사용하기.

2020/05/15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6) 왼발 사용, 크레인 제원

2020/05/1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7) 연습, 여러 스티커들

2020/05/20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8) 악셀페달 일정하게 밟기

2020/05/24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9) 시간 측정하기

2020/05/2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0) 서두르지 않기

2020/05/31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1) 정리된 주변환경

2020/06/04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2) 강사님의 채점

2020/06/08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3) S자 코스 주행실습

2020/06/10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4) 주행실습-2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벌써 15일차 이야기입니다.


사실상 16일차까지 연습을 할 수 있는 상황이고, 17일차는 몇시간 되지 않는데다가 바로 시험을 보는 분들이 계신지라 아마 그분들 위주로 연습이 진행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6일차는 오전에는 기중작업 오후에는 주행을 한다고 하네요. 뭐 주행이야 한두번 타고 부족한 분들께 양보하면 될테니 사실상 하루종일 크레인에 올라타서 기중작업을 하는건 15일차가 마지막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전에는 그동안 밀려있던 NCS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동안 담당 강사님이 여러번 바뀌고 했던지라 전반적으로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에 교육기간이 지나갔고, 합격률이 낮은 편에 속하는 기중기이다보니 아무래도 탑승 위주의 교육이 진행되어 NCS교육을 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오전에는 NCS 교육이 진행되었는데, 타워크레인 교육 시절 들었던 내용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아 물론 NCS 교육과정의 일환인 타워크레인의 지브 들어보기 같은 실습은 없었습니다. 타워 주말반 2기 역시 팬던트를 활용하여 무선조종을 하는 실습만 했지 지브를 들어보는 실습은 하지 않았더군요. 기중기반은 1기 대비 사람도 적고 주행연습시간도 늘어나서 훨씬 나아진 환경이라 생각됩니다만, 타워반은 그렇지 못한 느낌입니다.



뭐 오늘도 평범하게 기중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사실상 한 주 건너뛰고 2주만에 탄다고 봐야 맞겠죠.


지난주 13일차 역시 오전에 기중작업 연습을 하고 오후에 주행장으로 넘어갔습니다만, 거의 마지막 번호인 저는 빨리 차를 옮겨야 한다며 기중작업을 1회밖에 할 수 없었습니다. 아 물론 그 1회도 옆에 다른 수강생과 얘기를 나누다 보니 실수를 했었습니다. 그러니 사실상 2주만에 탄다고 봐야 맞겠죠.



차분히 운행합니다. 총 4회 탑승 후 오후에도 4회 탑승.


이후에도 시간이 남아 2회씩 운행한다 합니다만, 역시나 퇴근시간이 임박해서 1회 운행. 총 9회 운행했네요.



오후에는 매우 덥습니다.


올라가는게 힘들 뿐 운전실 안에는 에어컨이 가동되는 타워크레인과 달리 기중기에는 에어컨이 있으나 고장났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유리창에 틴팅이 된 것도 아니니 직사광선은 그대로 들어오지요. 그나마 바람이 통하도록 문을 다 열어놓고 타는게 더위에 대한 대비책의 전부입니다.



차분히 탔습니다. 객기 부릴것도 없고요 악셀도 전보다는 소심하게 밟았습니다.


그렇게 타니 대략 2분 50초대 시간을 기록하네요. 풀악셀 치고 타면 2분 30초대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됩니다만, 살살 타도 충분히 제한시간 내에 안전한 기중작업이 가능했습니다. 아직도 제한시간 내에 들어오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지라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이후 시간을 측정해도 2분 50초대 내에서 왔다갔다 했네요.



마지막 탑승을 기다립니다.


막상 이제 얼마 남지 않았음을 생각하니 시간이 참 빠르게만 느껴집니다. 이후 주말에는 뭘 해야 좋을까요. 당분간은 좀 쉬다가 제공되는 무료수강권으로 지게차를 배워볼까 생각중입니다. 국비도 무한정 쓸 수 있는게 아니니 아껴야 하고요. 일단 조금 쉬고 더위좀 꺾이면 생각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 탑승을 기다리며 기중기 곳곳을 살펴봅니다.


한 자리에 고정되어 기중작업을 하는 기중기의 배기구로 검은 매연이 나온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미세먼지의 주범인 디젤 매연인데, 기중기 역시 정식 등록된 건설기계에 해당되다 보니 조기폐차 대상입니다. 대표적인 건설기계인 덤프트럭과 레미콘 믹서트럭만 조기폐차가 되는게 아니라 이 트럭형 기중기 역시 조폐대상이지요.



엔진 과열을 막기 위해 열어둔 엔진룸에서 엔진도 볼 수 있었습니다.


닛산디젤의 논터보 PE6 엔진입니다. 물론 초창기엔 220마력으로 셋팅되어 출시되었으나 개선형인 이 엔진은 최대출력 230마력을 자랑합니다. 닛산디젤 각인이 선명한 커버의 모습과 MADE IN JAPAN이 붙은 스티커의 모습에서 엔진 역시 일본 직수입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자연흡기 엔진인지라 터보차저가 장착된 차량보다 힘을 쓰진 못하지만, 그럭저럭 기중작업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여튼 15일차 역시 마무리되었습니다. 끝을 향해 달려가는 기중기 교육. 16일차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이거때문에 블루핸즈를 대략 세번 더 다녀왔습니다.



엔진오일 교체 당시 발견했던 전방 센서 문제로 센터를 무려 세번씩이나 갔네요. 일단 배선 혹은 센서 자체의 문제 둘 중 하나인데 빠른 교체를 위해 센서를 주문했습니다. 센서가 왔다는 얘기를 듣고 시간을 내서 내포현대서비스에 방문했었죠.



뭐 한참을 확인하더니 판금도장부로 가서 차를 뜯기 시작합니다.


그냥 센서만 갈면 될 줄 알았죠. 근데 센서를 갈아도 경고등이 계속 뜬다고 합니다. 한참을 뜯고 다시 끼우고 어쩌고를 반복합니다. 처음에는 그릴 안으로 손을 넣어서 센서만 빼고 교체하더니 그마저도 여의치 않는지 계속 이거저거 시도를 하는 모습이더군요.



탈거된 센서와 신품 센서의 사진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보증수리이다보니 아무래도 이렇게 교체되는 부품들의 사진을 찍어서 현대차에 보고를 해야만 하나봅니다. 그렇게 사진도 찍고 교체도 하고 했지만 경고등은 계속 들어오니 범퍼를 결국 내리네요. 범퍼를 내려서 확인합니다. 범퍼 탈거를 하는 판금부 직원들도 달려들지만 해결이 되지 않는지 일반 정비부 정비사님들도 달려들어 확인하더군요.



그렇게 한시간 넘게 범퍼를 탈거까지 해가며 찾은 원인은 배선이였습니다.


센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라디에이터 그릴 오른쪽 센서로 가는 배선 하나가 단선된 모습이 보이더군요. 딱히 뜯거나 뭐 문제를 일으킬만한 행동을 했던 적도 없고, 어느날 갑자기 저 자리의 센서가 이상하다는 경고등이 떴는데 참 신기합니다.


여튼 50%의 확률로 센서 아니면 배선이라고 했는데, 50%의 확률로 틀려버렸더군요. 그렇게 부품을 반품한 뒤 다시 주문합니다. 이후 부품이 왔다는 연락을 받고 갔는데, 요즘 일이 바빠 시간을 내기 힘든데 판금부는 일이 많다고 꼭 예약한 날에 와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국은 두짝 구해왔던 중고타이어만 교체했네요.



그리고 세번째 방문입니다. 엔진오일 교체까지 포함하면 네번째 방문이네요.


본래 전날 갔어야 합니다만, 전날 업무가 너무 늦게 끝나 다음날 아침에 가겠다고 하고 금요일 오전에 센터가 오픈하자마자 달려갔습니다. 확실히 아침 일찍 가니 차도 많고 사람도 많네요. 그 많은 사람들과 자동차 사이에서 차례를 기다립니다. 어짜피 이젠 자주 가서.. 더군다나 요 근래에 자주 모습을 비췄던지라 창구만 가도 이제 알아서 해 줍니다.



91845 F2010 WIRING HARNESS-F.P.A.S

와이어링 하네스-F.P.A.S 22,770원


그렇습니다. 범퍼에 들어가는 배선뭉치입니다. 대부분 앞범퍼가 아작나면 함께 아작나기에 범퍼와 함께 나가는 물건 중 하나지요. 어디까지나 삼각떼의 전방센서를 연결하는 배선이니 삼각떼 전용 부품입니다. 그래도 생각보다 앞뒤빵 먹은 삼각떼가 많은지라 부품집에 상시 비치된 상태로 생각했는데 이것도 주문을 하고 한참 지나서 받아왔네요.



차는 판금도장부 작업장 앞으로 옮겨졌습니다.


어디선가 뒷빵을 맞고 작업중인 은색 삼각떼와 앞범퍼를 탈거중인 G70의 모습이 보입니다. 여러모로 큰 공업사 규모를 자랑하고 있고 긴급출동을 다니는 렉카까지 하나 가지고 있으니 사고차도 많이 들어옵니다. 그러니 판금부 일이 끊이지 않겠죠. 대체 언제 작업이 진행되나 기다리니 곧 작업이 시작됩니다.



범퍼를 탈거하여 작업대에 올린 뒤 배선을 교체합니다.


어짜피 일반보증 기간을 3년 6만km에서 2년 8만km로 바꿔놓았으니 아직 대략 1만km 수준의 보증기간이 남아있습니다.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가서 기존의 3년 6만km의 일반보증기간을 2년 8만km 혹은 4년 4만km로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으시고 일선 현장에서도 변경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자신에게 유리하게 보증기간을 바꿀 수 있답니다.


물론 한 해에 2만km 수준을 타고 다닌다면 딱히 바꿀 이유가 없지만 주행거리가 많지 않으신 분들은 4년 4만km, 저처럼 주행거리가 많은 사람들은 2년 8만km로 설정하고 다니면 유리하게 보증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튼 작업을 마치고 나니 또 범퍼에 붙은 우측 센서가 반응이 느립니다. 사실 어제도 아무것도 없는데 센서가 반응하더니만 말이죠. 뭐 여튼 이것도 보증기간 만료 전에 와서 교체하기로 합니다.



자동차 점검 정비명세서를 받았습니다.


부품은 와이어링 하네스-F.P.A.S를 사용했고 작업은 FEM 와이어링 어셈블리 교체작업이 들어갔습니다. 공임은 얼마나 들어가는지 모르겠지만, 보증수리인지라 무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