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에 5축 타이어를 중국산이자 금호타이어의 모기업인 더블스타 아오센으로 교체했었는데 10개월 조금 넘기고 거의 다 닳아 또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솔직히 조금 더 타도 될 수준으로 남아서 장마철이 시작되면 교체하려 했습니다만, 세차를 하고 구리스도 칠 겸 해서 조금 일찍 교체했습니다.
프리마 트럭 중국산 타이어 교체 (더블스타 아오센 12R 22.5)
여름입니다. 승용차 타이어도 겨울 대비 더 많이 닳긴 하지만, 대형 화물차의 타이어는 승용차의 수십 배에 달하는 하중을 버티다 보니 닳는 모습이 눈에 보일 정도로 타이어가 마모되는 속도가
www.tisdory.com
물론 지난해 가을에 장거리를 좀 다니고 11m까지 싣고 다니던것도 감안해야 하겠지만, 확실히 중국산 타이어가 이전에 5축에 끼워져 있던 출고 타이어인 브리지스톤 대비 빨리 닳긴 하더군요.
시기상으론 10개월. 장마철에 교체한다고 해도 길어봐야 11개월 정도 버티고 교체하게 되는 건데 타이어값이 근 1년 사이에 정말 많이 올랐고 요즘 매출도 제대로 나오지 않으니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차피 5축이고 하니 중국산을 끼우고 또 1년 가까이 버티기로 합니다. 결론은 높은 산봉우리 같은 나라에서 만든 타이어로 중국몽을 또 함께 하게 됩니다.
미쉐린타이어 간판을 달고 있는 대리점입니다만...
여타 대형차 타이어를 취급하는 가게들이 그렇듯이 중국산이나 국산 타이어도 다양하게 취급합니다.
미쉐린과 미쉐린이 인수한 BF굿리치 브랜드의 간판이 걸려있습니다. 물론 미쉐린이나 조금 저렴한 BF 굿리치를 끼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만, 막혀있는 길에 있는 특성상 이 가게가 상대적으로 다른 곳에 비해 저렴한 편이라 이곳을 찾았습니다.
12R 22.5 중국산 타이어 기준 인터넷 최저가로 20만원대 초중반에 판매하는 물건들도 있습니다만, 내내 장착비를 생각하면 오프라인 매장이나 큰 차이는 없더군요. 그래서 그냥 오프라인에서 끼웁니다.
가장 저렴한 타이어를 보여달라고 하니 이 타이어를 보여주네요.
중국산 청산타이어라고 합니다.
끼우고 다니는 차들은 많이 봤습니다. 중국어 발음으로 쳉샨(CHENGSHAN)이라고 읽히는데 한자로는 성산(成山)입니다. 중국 산둥성 룽청시에 소재한 회사라고 합니다. 이 타이어가 30만 원. 이보다 조금 비싼 중국산 타이어는 35만원이라고 하네요. 35만원짜리 중국산 타이어의 패턴은 작년에 끼웠던 아오센과 비슷하다고 합니다만, 내내 줄 네개짜리 타이어에 어느정도 트레드가 닳으면 패턴은 크게 의미없기에 가장 저렴한 이 타이어를 끼우기로 합니다.
정확한 타이어의 제품명은 CFH136입니다.
철심이 18가닥인 18PR 제품입니다. 물론 한국보다 허가된 총중량이 높고 과적이 잦은데다가 한국보다 더 덥고 추운 지방이 모두 상존하는 중국의 특성상 그보다 덜한 한국의 환경에서 버티기에도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모델명을 찾아보니 중국 홈페이지가 나오네요.
https://www.prinxchengshan.com/index.php?id=4625
CFH136
www.prinxchengshan.com
프링스 쳉샨(PRINX CHENGSHAN)
요즘 직구 규제로 화두에 오른 KC인증까지 받은 정식 수입품입니다.
40년 넘게 존속중인 청산타이어와 투자회사인 프링스(PRINX)의 합자회사라고 합니다. 쳉샨 브랜드와 프링스 브랜드 말고도 다른 브랜드로 생산하는 타이어도 있다고 하네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은 3등급. 젖은 노면 제동력은 3등급입니다.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합니다.
5축 휠타이어를 탈착한 뒤 새 타이어를 끼운 뒤 다시 장착하면 되는 과정입니다. 작기로 차를 들어올린 뒤 탈거작업이 시작됩니다. 세차를 하고 와서 그런지 차가 깔금하게 보이긴 하네요. 특히 휠이 광이 나니 새차 느낌입니다.
안쪽 타이어는 상대적으로 더럽습니다.
확실히 세차장에서 약품 뿌리는 외국인이 대충 뿌리긴 했네요.
탈착한 타이어의 상태입니다.
마모한계선에 거의 다 왔습니다만, 대충 1~2개월은 더 타도 무방한 상태였습니다. 본래 계획도 그럴려고 했고요. 그럼에도 하는 김에 다 한다고 조금 일찍 내렸습니다.
이리저리 찢겨나가고 뜯겨나가며 닳아서 기존 타이어는 그냥 폐기하기로 합니다.
보관하자니 정말 애매한 상태입니다. 10개월 조금 더 썼지만, 작별을 고하게 되는군요. 이번에도 중국몽을 함께 하지만 말입니다.
장착까지 마쳤습니다.
높은 산봉우리 같은 나라의 청산타이어로 중국몽 함께 합니돠.
전륜이 아니니 승차감까진 모르겠고, 그냥저냥 무난한 느낌입니다. 이전에 같은 자리에 끼웠던 아오센 타이어는 좀 빨리 닳는 느낌이었는데, 기온 차이도 있어 좀 지켜봐야 할 것 같기도 하고요. 이번 타이어는 좀 오래 버텼으면 좋겠습니다.
트레드 가장자리에 PRINX CHENGSHAN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타이어를 교체하고 1000km 가까이 탔는데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물론 좀 더 타면 닳아서 없어지겠죠. 타이어 교체를 마치고 구리스 주입을 위해 옆으로 이동합니다.
분명 월초에 구리스를 쳤던 것 같은데.. 또 쳐주네요.
구리스 닛불까지 깔끔하게 고압수를 쏴줘서 기름기가 사라졌으니 구리스를 새로 주입해 줍니다. 여기 아직 구리스 3만원 받네요.
타이어값에 구리스값까지 123만원을 결제했습니다.
그냥 일시불 끊었네요. 이번 중국산 타이어로 지난해 교체했던 타이어보다 오래오래 무탈히 버텼으면 좋겠습니다.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로퍼 와이퍼 링게이지 신품 (HG820003) (1) | 2024.06.03 |
---|---|
뉴 볼트 EV 주행거리 30,000km 돌파! (0) | 2024.05.30 |
프리마 25톤 카고트럭 세차 [경기대형트럭세차장] (0) | 2024.05.23 |
포터2 주행거리 200,000km 돌파 기념 엔진오일 교체 (0) | 2024.05.19 |
볼트EV 또 고라니 로드킬 (0) | 2024.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