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제 손에 떨어지게 된 노트2를 활용하기 위해 선불유심까지 하나 질렀습니다. 


물론 사은품으로 피쳐폰인 코비폰을 받았지만, 코비폰은 잘 놔두고 유심만 노트2에 끼워 쓰기로 했다는 이야기는 종전에도 했었던걸로 기억하네요. 뭐 여튼 이 '갤럭시 노트2'는 사실상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만, 외장 스피커에서 째지는 소리가 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점만 극복한다면 완전하기에, 결국 서비스센터를 찾기로 했네요.



홍성 시내 끝자락. 


하이마트,전자랜드와 같은 종합 전자제품 판매점을 비롯하여 LG 삼성 등 굴지의 전자제품 브랜드 매장과 서비스센터가 모여있는 공간입니다. LG전자 베스트샵 및 서비스센터와는 대각선으로 맞은편에 자리를 잡고 있답니다. 근처로는 쉐보레나 쌍용차 대리점들도 보이더군요.



역시나 1층은 디지털프라자 매장이고, 2층이 서비스센터입니다.


약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충남 서부권역에서는 홍성에 유일하게 서비스센터가 있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군단위 동네마다도 최소 하나씩 서비스센터가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언제나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는 많은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서비스센터는 뭐 어느 지역이나 디자인 그리고 구성도 비슷하고, 편의시설도 비슷합니다.


번호표를 뽑고, 증상을 설명한 뒤 접수를 합니다. 접수 후 휴대폰 수리 창구에서 제이름을 호명하면 그 창구로 방문하면 되겠지요. 주변에서 휴대폰 수리 업무를 3년간 하다가 관두신 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나름대로 극한직업이라 합니다.



스피커 문제도 있지만 혹시나 어느 부분에 다른 이상이 있는지 제품 점검차 방문한 자리입니다.


물론 눈에 보이는 문제는 소리가 깨져서 나온다는 부분이겠지만, 혹시나 다른 부분에 치명적인 결함이 있을 줄 어찌 알겠습니까. 비록 이미 퇴물이 되어버려서 수리 자체가 아깝다고들 느낄만한 핸드폰이지만, 친절히 맞아줍니다.



제 이름을 호명하는 자리에 가서 앉고, 일단 스피커 문제부터 확인을 해 봅니다.


스피커 모듈부터 교체하고 전원을 켜 봅니다만, 상태는 진전이 없네요. 메인보드에 붙은 사운드카드가 문제라 보입니다. 다만, 보드 앗세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그냥 쓰는 편을 권유하더군요. 어짜피 메인폰도 아니고 선불유심 끼워서 쓰는 서브기기이니 스피커는 그 상태 그대로 쓰기로 했습니다. 


뭐 조금 불편한 수준이지 이어폰을 끼거나 블루투스를 활용하면 별 문제 없겠지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얼마 전, 오른쪽 하향등이 들어오지 않더군요. 그냥 전구가 나갔겠거니 치부했는데 어느날은 또 전구가 들어오더랍니다. 그럼 그렇지. 접촉불량이겠거니 하고 탔습니다만 오른쪽은 아예 들어오지 않고, 왼쪽도 들어오다 나가다를 반복하더군요.


뜯어봅니다. 전구 역시 육안상으론 필라멘트도 잘 붙어있는걸로 보이고, 퓨즈도 멀쩡합니다. 배선이 어디 씹히거나 피복이 벗겨진 부분도 없구요. 전기장비가 조금 약한 대우차인지라 제가 모르는 전기장치상의 문제가 있는지 싶어 홍성 사업소(서비스센터)에 방문해 봅니다.



일단 전구부터 꺼내 확인해 봅니다.


전구는 지난 2월 말에 교체한 제품입니다. 나름대로 BOSCH 社의 누런 전구. 사계절플러스입니다. 필라멘트가 크게 떨어진게 아닌지라 육안상으론 크게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끝에서 살짝 붙었다 떨어졌다 한다고 그러더군요.



그렇습니다. 올 2월 교체한 그냥 순정전구도 아니고 보쉬의 사계절플러스가 약 10개월만에 결국 둘 다 뻗어버리고 만 것입니다. 일단 아쉬운대로 사업소에서 순정 전구를 사서 교체하기로 합니다.



교체는 금방. 비용은 1만 3000원.


뭐 같은 규격의 전구를 현대 부품점에서 사다 교환한다면 1만원 이내로도 가능하겠죠. 대우차 부품값이 전반적으로 비싼편이니 말입니다. 순정 전구 역시 썩 내구성이 좋은편은 아니지만, 겨우 10개월 버티는 비싼 전구보단 그래도 오래 가겠지요. 


시간적 여유가 많아진것도 있지만, 요즘들어 사업소에 들락거리는 날이 점점 늘어나는 듯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