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약 : 다행히 빡대가리는 아닌지라 두개 다 붙었습니다.

 

2021.03.29 -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 지게차+굴삭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접수.

 

지게차+굴삭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접수.

작년에 타워크레인 타고 기중기 타고 재미나게 학원에 다녔던 기억이 납니다. 학원에서 한시간 수강권도 나왔고, 여러모로 하는 김에 다 해버리려는 생각은 있었지만 항상 시험 응시기간을 놓

www.tisdory.com

해야지 해야지 하고만 있던 일을 드디어 끝냈습니다. 후기부터 말하자면 두 과목 모두 75점으로 합격했네요. 국민 자격증 수준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일주일정도 꾸준히 공부했습니다. 개나소나 붙는 국민자격증 필기시험 합격이 자랑거리도 아니긴 하지만 어디가서 비웃음은 받지 말아야죠.

 

아침 일찍 일어나 세종시로 향했습니다. 수요가 많은 일부 종목에 한해 국가기술자격 상시시험이 진행됩니다. 중장비 계열의 굴삭기와 지게차. 미용사 계열의 네일아트 메이크업 피부미용 일반미용. 조리 계열의 한식 양식 일식 중식 제과 제빵기능사 시험이 상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세종지사

로드뷰로 미리 가야 할 위치를 확인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세종지사의 세종국가자격시험장은 이 건물 5층에 있습니다.

 

첫마을에서 청사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습니다. 같은 건물에 소재한 현대자동차 세종청사지점이나 다이소 세종첫마을점을 찍고 가도 무방합니다. 집에서 대략 50분정도 소요되더군요. 거리는 천안 시험장이 소재한 한기대보다 10km정도 멀긴 합니다만, 소요시간은 비슷합니다.

 

건물 지하주차장

건물 지하주차장에 주차를 합니다. 유료주차장입니다.

 

기본 30분에 1,500원. 이후 10분에 500원씩 가산됩니다만, 도보로 1분거리에 노상공영주차장이 있습니다. 저도 첫 시험을 보고 대략 40분정도 시간여유가 있던 시점에서 차를 옮겨놓았습니다. 뭐 한과목만 보고 간다면 큰 상관은 없지만, 오랜 시간을 주차해야 하는 경우 공영주차장의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주차장에는 불이 켜진 차량들이 여럿 보입니다. 일요일 아침 일찍 시험을 보러 온 사람들이지요.

 

한국산업인력공단 세종지사

한국산업인력공단 세종지사는 5층에 있습니다.

 

5층 엘리베이터에서 내린 직후 우측에서 체온측정을 거친 뒤 대기실에서 기다립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일요일 아침 일찍 시작되는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깔끔하다

확실히 새건물이라 시설은 깔끔했습니다.

 

아침 첫 시험을 대기하는 사람들도 꽤 많았습니다. 뭐 요즘은 핸드폰으로도 공부를 할 수 있으니 책을 들고 온 사람이 절반 핸드폰으로 열심히 CBT 문재를 풀고 있는 사람이 절반정도 보였습니다. 상시시험은 뭐 아무때나 있으니 미용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시간이 된다면 조리쪽 필기시험이나 보러 와야겠습니다.

 

첫 응시 과목은 지게차운전기능사.

60문제 중 45문제를 맞춰 75점으로 합격.

 

시험장에 입실한 30명 가까운 사람 중 두번째로 문제를 다 풀고 나갔습니다.

 

차를 옮기고 다음 시험 준비하는 모습

차를 건물 지하주차장에서 공영주차장으로 옮긴 뒤 마저 굴삭기운전기능사 시험을 준비합니다.

 

하나 붙었으니 자신감이 붙습니다. 기능사 시험은 문제 유형만 익히면 쉽게 합격이 가능합니다. 4지선다형 객관식이지만 오답을 유도하는 교묘한 말장난도 거의 없습니다. 대략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기출문제나 예상문제를 여러번 풀다 보면 감이 잡힐겁니다.

 

그렇게 다시 시험장에 들어가 시험을 응시했습니다.

굴삭기 역시 60문제 중 45문제를 맞춰 75점으로 합격.

 

자랑거리는아니지만 두개 다 합격.

자랑거리는 아니지만 합격은 합격입니다.

 

이제 앞으로 2년간 실기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물론 그 안에 가서 취득하겠지요. 실기시험을 응시하는 시점에서 다시 언급하고 넘어가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2000년 개통된 서해대교는 당진시와 평택시를 이어주는 교량입니다. 개통 이전에 지역 주민들에게 도보 관광을 할 수 있도록 개방했던 일을 제외하고는 고속도로 구간인지라 보행자와 이륜차의 통행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 당시 송악ic에서 도보로 서해대교를 건너 주탑이 보이는 자리에서 사진을 찍었던 일이 아직도 생생히 기억납니다.

 

물론 킥보드나 자전거 혹은 오토바이가 실수로 자동차전용도로에 진입하는 경우는 간간히 있습니다. 다만 폐쇄식 톨게이트를 거쳐야 진입이 가능한 구조인지라 마음먹고 진입하지 않는 이상 들어 올 수 있는 구조도 아니거니와 서해대교 연장만 7km나 됩니다. 가장 가까운 송악ic에서 서평택ic까지의 구간만 12km나 됩니다. 그런고로 어지간한 사람도 걷거나 이륜차를 타고 횡단하려는 생각조차 하지 않는데, 4월 2일 오후 11시 08분경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 서해대교 주탑 사이에서 갓길로 주행하는 킥보드를 목격했습니다.

 

저도 킥보드를 타고 다니는 사람이지만, 실수로 들어 갈 수 있는 구조도 아니거니와 라이트 하나 켜지 않고 서해대교를 횡단하고 있는 킥보드를 보고 미친놈 소리가 절로 나오더군요. 낮도 아니고 더군다나 밤입니다. 하위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이 졸다가 갓길을 침범하고 재수없게 치면 뭐... 생명을 담보 할 순 없겠지요.

 

우측에 검은 옷을 입고 검은 킥보드를 타는 사람.

깜짝 놀랐습니다.

 

100km/h 수준의 속도로 주행중이였는데, 옆에 검은 물체가 같은 진행방향으로 지나가는 모습을 발견합니다. 바로 킥보드임을 알아챕니다. 이 늦은시간에 킥보드를 타는 사람은 높은 확률로 대리기사일텐데, 송악 이주단지에서 포승으로 가기 위해 이런 무모한 행위를 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바로 속도를 줄이고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바로 고속도로순찰대에서 연락이 오더군요.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CCTV로 킥보드가 지나가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충남청 소속 순찰차는 해미에 있어 못가고 경기남부청 소속 순찰차에 공조를 요청했다고 합니다. 경찰에 잡혔는지, 무사히 나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도로교통법 제63조에 의거하여 3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지는 범죄입니다. 30만원이야 얼마 안한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목숨을 담보하는 행위이니 암만 그래도 지양해야 하는 행위입니다.

 

영상 18초부터

영상 18초 즈음부터 갓길을 달리는 전동킥보드의 모습이 보입니다.

 

저도 킥보드를 타지만, 이런 운전자들 탓에 킥라니 소리 듣는겁니다. 내 목숨을 담보로 이런 위험한 행동은 지양하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