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가 내리더니 날이 부쩍 추워졌습니다. 슬슬 보일러를 가동해야 하는 시기가 찾아오고 있네요. 여튼 별장이라고 부르는 할머니 댁의 기름보일러에 등유를 채워 넣기로 합시다.

 

지난 2020년 10월에 등유를 가득 넣어두고 약 2년만에 다시 등유를 주유합니다.

 

 

기름보일러 등유 채우기 (별장 월동준비)

다시금 날이 쌀쌀해지고 있습니다. 비록 주말에나 들어가서 자는 별장처럼 이용하고 있는 할머니댁이지만, 지난 겨울에 연료탱크에 대략 70%정도 채워진 기름을 다 써서 바닥을 드러낸 보일러

www.tisdory.com

 

당시 기름값이 정말 저렴했었네요. 코로나 여파로 기름값이 폭락했었고 환율도 지금처럼 비싸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기름값입니다. 650원에 353리터를 넣어도 23만 원 수준이네요. 그래도 당시 상당히 저렴하게 가득 채워둬서 2년의 겨울을 버텼습니다. 한 드럼만 넣을까 하다가 가득 채워놓은 게 신의 한 수였네요.

 

보일러실

오랜만에 보일러실 문을 열어봅니다.

 

이미 지난겨울 동파방지를 위해 손을 쓴 흔적들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지난봄에 대충 연료량을 확인하고 올 가을에 주유해야지 하고 넘겼었는데, 다시 한번 주유량을 확인해보기로 합시다.

 

바닥에 가까운 연료탱크의 등유량

남은 등유의 양이 연료탱크 바닥에 가깝습니다.

2년 전 등유를 채우던 시기의 잔여량보다 훨씬 더 적게 남아있네요.

 

이 수준으로 겨울을 넘기긴커녕 겨울 전에 다 써서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러니 올 겨울만이라도 날 수 있도록 기름을 채워놔야죠. 기름값이 2년 전 수준이라면 당연하게도 만땅을 채웠겠지만, 만땅까지는 엄청 부담되니 그냥 한 드럼만 채워서 버티기로 합시다.

 

오피넷으로 가장 저렴한 주유소 확인

오피넷으로 가장 저렴한 주유소를 확인합니다.

 

 

싼 주유소 찾기 오피넷

 

www.opinet.co.kr

 

가장 저렴한 주유소의 등유값은 1,500원이네요. 이후 10원 15원씩 비싸집니다. 그냥 승용차 기름처럼 수십 리터 넣고 마는 수준이라면 그냥 몇백 원 차이로 끝나겠지만, 100리터 단위 이상 들어가니 그 차이가 천 원 단위까지 늘어납니다. 그래서 주변에서 가장 저렴한 주유소인 영광주유소에 연락했습니다.

 

주유

2년 전 주유 당시에는 마이티가 와서 기름을 넣어줬습니다만, 오늘은 봉고 3가 왔습니다.

 

1톤 차라 앞으로도 뒤로도 쉽게 꺾어 들어오네요. 먼저 기름통을 열고 주유건을 꼽아줍니다. 이후 주유기 본체의 커버를 열고 차량의 PTO를 켠 뒤 본격적인 주유를 시작합니다.

 

단가 1500원.

단가 1,500원. 열심히 들어가고 있습니다.

 

기름값이 비싸니 일단 한 드럼만 넣습니다. 200L로 설정하고. 기름이 빠른 속도로 들어갑니다. 화물차에 300리터 400리터 넣는 일이 일상이라 예전처럼 주유기 금액 올라가는 모습에 크게 겁이 나지는 않습니다. 한참 경유값이 절정에 달하던 시기에 80만 원 이상도 다 넣고 다녔는데 말이죠.

 

주유완료

단가 1500원. 1 드럼(200L) = 30만 원.

 

처음에 결제를 잘못해서 다시 추가로 결제했습니다. 2년 전 353리터를 채우고 결제했던 금액보다 훨씬 비싸네요. 아무리 유류세를 감면해준다 한들 국제유가도 올랐고 환율도 꽤 비쌉니다. 충청남도에는 1500원보다 저렴한 주유소가 없는데, 다른 지역으로 가면 1470원대에 등유를 판매하는 주유소들도 보이긴 하네요.

 

그래도 충청남도에서는 가장 저렴한 가격에 주유했습니다. 

 

주유 후 게이지 확인

한 드럼 넣었는데.. 겨우 50% 가까이 올라오고 마네요.

 

올 겨울은 충분히 버틸 겁니다. 내년에 기름값이 떨어질지도 모르니 내년에 다시 주유하며 생각하기로 합시다. 다가오는 겨울도 따뜻하게 보낼 수 있겠네요. 겨울도 잘 보내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며칠 전 코미디언 김영철의 신곡이 나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김영철 - 막가리

 

 

 
막가리
아티스트
김영철
앨범
막가리
발매일
1970.01.01

 

'막가리'라는 제목을 보고 혹시나 했더니 역시 제가 알고 있던 '선경'이라는 가수가 불렀던 노래가 맞았네요. 10년 전에 새벽 경기방송 라디오에서 처음 접하고 MP3 파일까지 받아놓고 잘 듣던 노래인데 그 노래를 EDM풍으로 편곡해서 다시 들고 나온 리메이크입니다. 라디오에 나와서 본인이 직접 리메이크를 하게 된 계기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습니다만, 대다수는 이 곡이 10년 전 다른 가수가 부른 노래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더군요. 당연하겠죠. 별다른 반응을 얻지 못했으니..

 

 

다들 김영철의 노래로 기억하겠지만, 저는 아직까지도 원곡이 더 좋습니다.

 

리메이크도 듣다 보니 그럭저럭 잘 들어지기는 하는데.. 그래도 처음부터 익숙하게 듣던 노래가 아직은 더 마음이 가네요. 좋은 노래 다른 사람이 불러서라도 알려지는게 좋다고 봅니다만, 원곡이 있다는 사실 꼭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