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달에 휴대전화 회선 중 하나를 에르엘모바일의 7개월 0원 LG U+망에 탔었죠.

 

 

에르엘모바일 알뜰폰 번호이동 (7개월 0원 요금제)

요즘 알뜰폰 업체들의 가입자 유치 전쟁이 상당히 치열합니다. 최근까지 소극적으로 영업해 오던 KB국민은행의 리브모바일이 금융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알뜰폰(MVNO) 사업에

www.tisdory.com

 

이번에는 메인으로 사용하는 회선도 7개월에 0원짜리 요금제로 넘어왔습니다.

 

지난 2월에 KT 선택약정을 끝내고 같은 요금제인데 2만 원대 중반의 요금이 나오는 A모바일의 요금제에 가입했었습니다. 그리고 3개월을 채운 뒤 데이터 221GB 제공에 통화 문자 무제한인 요금제로 넘어왔습니다. 중립기관을 통해 3개월이 지나지 않아도 충분히 넘어갈 수 있었지만 괜히 귀찮아서 딱 3개월을 채웠네요.

 

2006년부터 전화번호를 바꾸거나 옮기지 않고 이용했던 KT망을 약 17년 만에 완전히 탈출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일부 업체가 LG망 위주로 0원 요금제를 선보였다면, 이번에는 KT를 제외한 SK와 LG망 둘 다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네요. 지난달에 LG망에 탔으니 이번에는 SK망으로 타보기로 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알뜰폰 사업자가 추가데이터 포함 221GB 통화 문자 무제한의 7개월 0원 요금제를 내놓았습니다만, 제공되는 서비스는 거의 비슷합니다.

 

스마텔 데이터 무제한 0원 요금제

스마텔의 데이터 무제한 0원 요금제입니다.

SK망과 LG망을 사용하는 요금제가 존재하는데 통신사 차이를 제외하곤 동일한 조건입니다.

 

근데 LG망은 6개월 약정이 걸려있네요. 무료 기간이 지나갈 즈음에 메뚜기질을 하게 될지도 모르니 약정이 있어봐야 좋을 건 없습니다. 그래서 SKT 요금제로 신청하고, 다이소에서 판매하는 스마텔 USIM을 구매하기로 합니다.

 

최근 쌍용차를 인수해서 인지도를 높였던 KG그룹의 KG모바일은 원칩을 구매하여 개통하면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주는 이벤트를 5월 초까지 진행했었다고 합니다. 그전에 원칩을 공짜 혹은 거의 거저에 판매하던 시기에 수십 개씩 구매했던 사람들은 제대로 뽑아먹었다고 하더군요. 알뜰폰 업체들의 프로모션만 잘 이용하면 통신비를 거의 내지 않고 오히려 선물을 받아가며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텔(Smartel) USIM

유심을 직접 구매하여 셀프개통으로 신청해도 되고, 택배로 받아도 됩니다.

 

저는 돈 주고 유심을 사서 개통하는것이 통신비를 며칠 더 내는 것보다 이득이라 판단하여 다이소에서 스마텔 유심을 구입했네요. 못해도 7개월은 사용하게 될 유심칩입니다. 셀프개통은 오전 10시부터 가능하다고 하네요. 출근하며 유심을 들고 나와 개통 가능 시간에 바로 개통을 진행합니다.

 

KT 안녕

그렇게 2006년 6월부터 사용했던 KT망과 작별을 고했습니다.

 

그간 업무용으로 칭하는 회선은 LG망과 KT망을 옮겨다녔었습니다만, 이 회선이 KT망을 벗어나는 일은 사실상 처음이네요. 십수 년간 사용하고 보관함에 넣어두던 통화연결음도 다 사라졌긴 합니다만, 7개월 0원 요금제라면 감수할만합니다.

 

통신사들이 일선 대리점에 지급하던 리베이트를 현재 알뜰폰 사업자에 지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고객 유치 대가의 리베이트만 받고 고객에게는 요금을 받지 않아도 알뜰폰 업체들은 큰 손해가 없다는 얘기겠지요. 그러니 서로 0원 요금제를 만들어 고객 유치에 힘을 쏟고 있기도 하고요.

 

개통완료

개통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니 바로 KT망의 통신신호가 죽어버립니다.

 

아이폰의 A모바일 유심칩을 꺼내고 스마텔 유심칩을 넣어줍니다. 몇 번 껐다 켜주니 제대로 통신망을 잡네요. 그간 KT에 결합으로 묶여있기도 했고 상대적으로 비쌌던 SK망을 쓸 이유가 없었던지라 이번에 SK망을 처음 사용하게 되네요. 사람이 밀집된 지역에 가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SK가 좀 더 느리고 반대로 LG는 잘 터진다고 하는데 아직 개통하고 사람이 밀집된 지역에 가 볼 일은 없었습니다.

 

정상개통

5월 16일에 정상 개통되었고 3일째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마 추가데이터도 다 사용하지 못할 거 같습니다만, 6~7개월 뒤에도 또 이런 무료요금제나 초저가 요금제들이 쏟아져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올 연말까지 통신비 걱정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0304 더 뉴 아반떼 펑크수리 + 엔진오일 교환

2019.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환 + 현대블루핸즈 홍성오관점

2019.08.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19.10.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1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12.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배터리점검 + 내포현대서비스

2020.02.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1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오일누유

2020.03.3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3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20.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527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07.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보증수리(헤드램프 교체)+블루기본점검+브레이크액 교체

2020.09.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903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10.2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DCT 미션오일+중국산 타이어 교체

2020.12.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216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내포현대서비스)

2021.02.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215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내포현대서비스

2021.04.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4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연료필터 교체

2021.06.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기본점검

2021.07.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1.09.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타이어 펑크 수리

2021.11.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1102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01.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핸즈 고대점

2022.05.0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5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라핀 테크 드라이브 5W30

2022.07.1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71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발보린 터보 FX 0W30

2022.09.1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90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1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디젤 연료필터, 엔진오일 교체

2023.01.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30119 더 뉴 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체

2023.03.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30318 더 뉴 아반떼AD 엔진오일 교체

 

통산 27번째 엔진오일 교체입니다.

 

교체 주기가 다가왔으나 시간이 애매하게 없어 한 200km 정도 더 탔을 즈음, 엔진체크등이 점등되었습니다.

 

엔진체크등 점등

19.7만 km를 달렸는데 이 차에서 엔진체크등은 처음 봤네요.

 

슬슬 불안하긴 했습니다만, 결국 큰돈 들어갈 시기가 찾아오네요. 큰 돈 들이지 않고 잘 타다가 차를 매각하려는 목적이지만 엔진체크등이 점등되어 괜스레 걱정됩니다. 그래서 일단 OBD에 연결된 다그게이지로 고장코드를 확인하기로 합니다.

 

DAG 3+

그간 DPF 상태를 보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했던 다그게이지가 오랜만에 고장 진단을 합니다.

 

엔진 쪽 고장코드가 2개 뜨네요. 자세히 확인하기로 합니다.

 

고장코드

고장코드 P1223, P2471.

 

P1223 / 엔진 오일 펌프 솔레노이드 제어 회로 - 제어값 높음

P2471 / 배기가스 온도 센서 - 신호값 높음

 

네. 1223은 오일펌프 관련 코드고 2471은 DPF 관련 코드입니다. 아직 퇴근하시지 않았는지 여쭙고 집에 가는 길목의 수레카서비스에 차량을 입고합니다.

 

스캔 물리러

일단 스캐너부터 물려보고 마침 교체주기가 온 엔진오일을 교체하기로 합니다.

 

배기가스 온도 센서 관련 코드는 일시적인 오류라 큰 상관은 없었고, 문제는 P1224. 엔진 오일 펌프 솔레노이드 제어 회로의 고장코드가 계속 뜬다고 하네요. 엔진오일 교체 뒤 시운전을 나가보고 또 경고등이 나타나는지 보는 방향으로 가기로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

엔진오일을 교체합니다. 이전과 동일한 '발보린 터보 FX 0W30'을 사용합니다.

 

잔유를 배출하며 공기압을 보충합니다. 엔진오일 드레인이 끝난 차량을 내려 필터를 교체하고 신유를 주입해줍니다. 지금껏 큰 문제 없이 탔는데, 이제 슬슬 시작이라니 답답하기만 하네요..

 

시운전

엔진오일 교체 후 시운전까지 마쳤으나, 경고등이 그대로 점등되네요.

 

체크등은 들어오지 않지만 고장코드는 계속 뜬다고 합니다. 결론은 교체해야된다는 얘기겠지요. 교체과정이 까다롭습니다. 벨트폴리 워터펌프 다 뜯어내고 오일펌프 솔레노이드밸브를 탈거해야 합니다. 겉벨트 세트를 작업하지 않았더라면 겸사겸사 새 제품으로 작업하면 되겠습니다만, 이미 작년 여름에 작업을 해뒀던지라.. 결국 공임만 두 번 내게 되는 상황입니다.

 

부품을 주문해놓고 일단 엔진오일 교체비용만 결제하기로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비

92,400원인데 92,000원만 결제했네요.

다음 엔진오일 교체는 20만km를 넘기고 올 것 같습니다.

 

여튼 부품이 도착하면 시간내서 다시 방문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게 본격적인 고장의 시작일지, 아니면 이후로 큰 문제 없이 탈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부디 큰 고장의 시작은 아니길 소망해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