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라도 세차 싹 해서 저렴하게 내놓으니 바로 둘 다 주인을 찾게 되더군요. 절충의 의사도 있었으나 두분 다 따로 비용을 깎지 않아서 부품같은것도 다 넣어서 보내줬습니다. 이전도 제가 다 해줬네요. 하긴 싸게 내놨으니 구매자가 맘에 안들면 제가 다른사람한테 팔아도 되는 상황이긴 했습니다.
여러모로 아쉽습니다만, 미련은 없습니다.
젠트라x 3DR M/T
사무실에서 잘 타던 젠트라는 인천으로 갔습니다.
새 주인분 주소지도 부평이네요. 차생 약 15년만에 태어났던 동네로 다시 갑니다. 다음날 오셔서 직접 끌고가셨네요.
비스토 터보
오토인거 빼곤 아쉬운 비스토 터보는 시흥으로 갔습니다.
미션까지 다 고쳐놓고 1천km 탄 차량이라 더 아쉽습니다. 고배기량 차량에 익숙하신 분들은 뭐 그닥 잘 나가는 차는 아니라고 생각하시겠지만, 그래도 동력손실이 엄청난 4단 자동밋션을 달아놓고도 부스트 올라가는 맛은 있던 차량입니다.
여러모로 둘 다 새 주인 곁에서도 잘 달려줬으면 좋겠네요. 솔직히 탈 시간도 없고 앞으로도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면 차량 댓수를 늘리는 일은 없을거라 봅니다.
판매기간이 가장 길었던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트럭을 제외하곤 8~90년대 트럭들 중 가장 많이 보이는 차량을 꼽자면 쌍용 SY트럭이 아닐까 싶습니다. 93년부터 98년까지 상당히 짧은 기간 동안 판매되었음에도 당시 고만고만하던 일본 회사의 라이센스 트럭들 사이에서 독일 회사 중 최고로 치는 벤츠와의 기술제휴로 탄생한 차량인지라 엔진의 성능과 내구성이 월등했다는 이야기라 보면 되겠지요.
IMF 즈음 트럭과 버스의 생산을 종료한 쌍용이 최근 KG그룹에 인수되어 KG모빌리티로 사명을 바꾸며 특장차 사업에 진출한다고 선언했는데, KG 브랜드를 달고 나오는 대형 상용차가 나올지도 모르는 일이라 기대가 됩니다.
이전에도 SY트럭은 종종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곤 했습니다만, 최근 들어 18톤 이상 대형급 SY트럭들이 자주 보여 사진으로 남겨두었는데 몰아서 포스팅 하기로 합니다.
최후기형에 속하는 모델인데 주로 단거리 운행을 하는 15t 덤프들을 제외하고 근래 목격한 쌍용트럭들 중 갖아 좋은 상태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휠하우스 발판 자리의 탑 끝부분에서 녹이 약간 올라오긴 하지만, 26년의 세월을 사시사철 도로를 누볐음을 생각하면 당시 방청수준도 그렇고 관리까지 매우 우수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340마력의 OM442A 엔진과 16단 ZF 수동변속기가 조합된 파워트레인으로 최대 69t의 견인능력을 자랑하는지라 당대 경쟁 차종 대비 가격이 상당히 비쌌음에도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지금까지도 수출 혹은 폐차장에 간 개체들이 대다수입니다만, 저감장치를 부착하고 잘 달리고 있습니다.
18톤 후축 조합
다음은 새 적재함을 올린 후축 SY18t입니다.
18톤 트럭으로 출고하여 조향까지 되는 후축을 달고 다니는 차량으로 보이네요.
물론 순정 25톤 모델이 존재하긴 합니다만, 중간에 추가되었고 대부분 18톤 차량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23톤~25톤으로 구조변경을 하여 다니는 차량들입니다. 대부분 당시 25톤 10x4 차량들처럼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였으나, 이렇게 후축을 장착한 차량들도 아주 간간히 보이기도 합니다. 후축이 요즘 수입트럭들처럼 조향까지 되기도 하는 차량들도 있더군요.
앞으로도 수년 더 운용하시려고 새 적재함으로 교체하신듯 보입니다. 이런 투자를 감행하실 정도면 당연히 저감장치도 장착되어있겠죠. 앞으로도 무탈히 달리길 소망합니다.
1994 SsangYong ST18t 10x4 Cargo
다음은 94년 1월 등록된 초기형 SY18t 카고입니다.
이 차량 역시 18톤으로 출고되어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한 차량으로 고속도로를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초기형 모델에 해당합니다만, 단종 직전 모델과 외관상의 큰 차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마 주행거리계가 세바퀴 이상 돌아갔겠죠.
기본 500마력대 이상인 요즘 트럭들에 비하면 저출력이고 언덕에서 빌빌 기어가는 낡은 차량에 저감장치를 부착하였음에도 차알못들에게 미세먼지의 주범이자 적폐 취급을 당하긴 합니다만, 내연기관의 종말까지 앞으로도 대한민국 물류 수송의 주역으로 도로 위를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