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0건

반응형

 

어제 평택-제천 고속도로를 타고 가던 길에 폐차장으로 향하던 버스를 목격하여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KD 운송그룹의 핵심인 경기고속에서 화성 안녕동에서 수원을 거쳐 분당까지 올라가는 720-2번 노선에서 사용하던 버스들이네요. 계열사들이 대부분 버스회사인 이 그룹에는 KD 오토리사이클링이라는 버스 전문 폐차장이 계열사로 존재합니다. 상태가 좋은 차량은 자가용으로 매각하거나 수출을 보낸다고 합니다만, 일단 폐차장에 들어간다는 얘기는 자동차로서의 생명을 다 했다는 이야기겠죠. 그렇게 마지막을 불사지르며 음성 생극면에 소재한 이 회사의 폐차장으로 가는 길로 보이네요.

 

2011 DAEWOO BUS BS106 F/L

마치 검은 사이드미러가 팬더를 연상시켜 흔히 '팬더곰'이라고 부르는 버스입니다.

 

차량의 길이에 따라 BS090 '로얄 미디'와 BS106 '로얄 시티'로 나뉘긴 합니다만, 좀 더 길은 버스와 짧은 버스의 차이는 확연하니 육안상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측면 유리창의 개수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이 차량들은 다섯 칸인 BS106입니다.

 

버스의 내구연한은 9년이지만 연장 검사를 거쳐 최대 11년 6개월까지 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한시적으로 차령을 1년 더 늘려줬으니 12년 이상 굴릴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지요. 이 차량들은 2011년식 차량이니 기본 내구연한을 모두 채웠고 이후 검사를 거쳐 노선버스로 최근까지 운용했을겁니다.

 

현행 모델인 NEW BS 시리즈가 2012년에 출시되었으니, 11년식인 이 차량들은 사실상 팬더곰 끝물 모델입니다. 이마저도 거의 다 대차되어 이전처럼 도로 위에서 쉽사리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얼마 남지 않은 개체들도 이렇게 사라져 갑니다.

 

2011 DAEWOO BUS BS106 F/L

뒤 따라오는 버스는 좌측 헤드램프가 없네요. 그럼에도 큰 위화감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게 두 대의 국내생산 대우버스가 사라졌습니다.

 

해당 차량들은 8월 말 중국산 전기버스로 대차 되었다고 합니다. 대우버스만 주야장천 출고하던 KD운송그룹 역시 대우버스의 공장 폐쇄로 인해 고속/시외버스는 현대차를, 시내버스는 자체적으로 판매업체를 세워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우 계열 자동차 회사들의 모태가 된 신진자동차도 드럼통 버스를 만들며 성장했던 회사였고 한 때 최고로 쳐주던 버스를 만들던 회사인데 최대 고객에게도 외면받는 이 현실이 매우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최근 새 주인을 찾은 쌍용차의 회생에는 정치권도 시민들도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만, 내내 비슷하게 직간접적으로 수천 명의 밥줄이 달린 대우버스는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하고 공장 문을 닫았습니다. 몇몇 진보정당이 관심을 가져줬던 게 전부네요. 비록 기술개발에서 뒤처지며 경쟁력을 상실했지만 중국산 부품을 국내에서 조립하여 국산 버스라고 판매하는 중소업체와는 달리 그나마 현대/기아의 경쟁 상대라도 될 수 있는 이런 회사 하나가 개도국 시장용 메이커로 전락하고 70년의 역사를 함께 했던 대한민국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차고에 소장해놓고 진짜 날 좋을 때만 타고 나오는 티코입니다.

 

한동안 주말에도 계속 비가 내리고 바빠서 시동만 걸어주고 말았었는데, 지난 주말 모처럼만에 끌고 나와봤네요. 소장이 목적이라 도색 이후 간단한 나들이나 정비 목적으로의 이동 외엔 거의 타지 않고 차고에 모셔두고 있습니다.

 

합덕 소들공원

합덕의 랜드마크. 소들공원 팔각정 앞에서 사진을 찍고 내려옵니다.

 

중간에 차량 출입이 막혔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차량 출입이 가능합니다. 비스토도 스파크도 삼각떼도 다 이 공원 팔각정을 두고 사진을 찍었던 기억이 있는데 이 티코만큼은 촬영했던 기억이 없어 끌고 올라왔습니다. 저 팔각정은 목조건축물처럼 보이지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입니다. 제가 대여섯 살이던 시절에 지어졌으니 그렇게 오래된 건축물은 아닙니다.

 

 

또 다른 티코

소들공원 아래 주차장에 가면 항상 빨간 티코가 주차되어 있습니다.

 

티코 SG. 최후기형 모델입니다. 이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이 티코를 한 정비소에서 목격했던 이야기를 짧게나마 다뤘던 기억이 있습니다. 갤로퍼 얘기 뒤에 있습니다.

 

 

1995 현대정공 갤로퍼, 1999~2000 대우자동차 티코

이번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금요일에 지나가며 사진 한장 겨우 건진 차량들을 다뤄보려 합니다. 한대는 95년 4월 등록된 옛 지역번호판이 그대로 남아있는 갤로퍼고, 또 한대는 매우 우수한 상태

www.tisdory.com

 

여튼 오늘도 혹시나 하고 봤더니 역시나 하고 있어 그냥저냥 사진만 찍고 잠시 드라이브를 다녀오기로 합니다.

 

티코 주행

똥차의 대명사 취급을 당하던 티코인데, 다들 신기하게 쳐다봅니다.

 

그렇게 똥차라고 무시했던 시절이나 귀해진 지금이나 다들 신기하게 보긴 하는데 취급이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티코에 대한 대다수 사람들의 인식은 대부분 똥차나 무시하는 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아 요즘은 리스토어니 레트로니 뭐니 인스타 갬성에 관종질 하는 수단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좀 있네요.

 

주행거리

ALTO WORKS 계기판이 이식되었습니다.

 

3세대 알토 터보 모델용 계기판입니다. 일본 어딘가에서 구르던 물건이 한국으로 넘어와서 티코에 장착되었습니다. 한국에 대략 10개 내외로 풀려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일본의 3세대 알토 오너들도 일반형 알토에 이 계기판으로 교체하여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튼 지난해 4월 엔진오일 교환 이후 1000km 하고 조금 더 탔습니다. 올해는 교체도 하지 못했네요.

 

다시 봉인

녹색 차고에 녹색 티코를 다시 봉인합니다.

 

이제 나들이 가기 좋은 가을이라 아마 이전보다는 더 자주 움직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가을이 지나면 거의 봉인상태로 겨울을 보내겠지만 말이죠. 거의 움직이는 일이 없는 티코도 그렇게 나이를 먹어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