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산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목격한 92년형 초기형 세피아입니다.

 

올드카 목격담에서 간간히 다뤘던 차량이고, 스포티지와 함께 90년대 초반 기아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엇던 차량이지요. 차량에 대한 설명이야 이전 포스팅에서 주구장창 했었으리라 느껴지니 넘어가기로 합니다. 어릴적 패밀리카로 타던 차가 93년식 자주색 세피아였고, 여러모로 추억을 가진 차종 중 하나입니다.

 

2011.06.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진리의 기아차. 기아-세피아

2018.10.0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7 기아자동차 세피아 레오(KIA SEPHIA LEO)

2018.10.1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 1993 기아자동차 세피아 오토매틱

2018.02.26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인천 용현동에서 본 기아자동차 세피아.

 

1992 KIA SEPHIA 1.5 SOHC M/T 

한 아파트 앞을 지나가던 도중 목격한 하늘색 세피아입니다.

 

그릴을 보니 출시 초창기 출고되었던 극초기형입니다. 93년에 년식변경을 거치며 가로줄 하나에 빨간 타원형 엠블럼이 붙어있는 형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기아자동차 로고가 변경되며 로고의 형태만 바뀐채 뉴세피아로 부분변경을 거치기 전까지 이와 같은 모습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좌측 시그널램프는 깔끔한게 신품으로 보이네요. 당장 이렇게 봐서는 본넷과 범퍼 휀다는 새로 도장을 했었는지 광이 올라옵니다. 잠시 추억에 젖어봅니다.

 

시그널램프만 신품이다.

흔히 깜빡이라 하는 시그널램프만 신품이고, 전조등과 그릴에서는 세월의 흔적이 느껴집니다.

 

92년 11월 최초등록. '충남 1 루' 지역번호판의 모습으로 보아하니 1인신조 차량으로 보입니다. 30년 넘는 세월. 세피아가 92년 9월에 출시되었으니, 당시 따끈따끈한 신차였던 시절 출고했던 주인이 지금껏 타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캐피탈에 적용되던 마쯔다 B5 엔진이 적용되었고, 당시 공도의 제왕으로 군림했던 DOHC 엔진이 적용된 차량이 아닌 SOHC 모델로 보이네요.

 

내비게이션도 보이는 걸로 보아 현재까지도 꾸준히 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유의 휠커버와 유선형 디자인

깡통휠에 플라스틱 휠커버가 적용된 SOHC GTX 트림의 모델이네요.

깔끔하던 전면부와는 달리 뒷문짝은 찌그러졌고, 칠이 바랜 흔적도 보입니다.

 

최하위트림인 SLX 역시 깡통휠에 휠커버가 적용되었습니다만, 파워윈도우조차 선택이 불가했고 파워스티어링도 옵션이였기에 가성비를 따지던 사람들도 전좌석 파워윈도우와 파워스티어링이 기본으로 적용되었던 1.5 SOHC GTX를 주로 출고했습니다. 이후 SLX는 GXi로 GTX는 GLXi로 트림명이 변경되었습니다.

 

오래전 저희집 세피아 역시 같은 사양으로 출고된 차량인지라 저 플라스틱 휠커버가 적용되었습니다.

 

익숙한 패턴. 익숙한 말뚝. 익숙한 오디오.

그냥 다 익숙합니다. 직물시트의 패턴도 수동변속기도 핸들도 오디오도 다 익숙합니다.

 

특유의 3스포크 핸들. 그리고 2din 오디오에 맨 아래 이퀄라이와 괜히 멍청하게 생긴 수동변속기 말뚝까지도 모두 정겹습니다. 다만 어릴적 탔던 세피아는 년식변경 이후 나온 차량이라 내장재 색상이 이런 어두운 색이 아닌 베이지색이였습니다. 그거 말곤 어릴적 봤던 익숙한 구조와 동일합니다.

 

트렁크 도장은 다 날라간걸로 모자라서 녹까지 생겼다. 

후휀다와 천장은 칠이 벗겨지기 시작했고, 트렁크는 녹이 보입니다.

그리고 후미등은 제치를 구하지 못했는지 뉴세피아용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충분히 발품을 판다면 구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닐까 생각됩니다만, 쉽게 구하지 못해 뉴세피아용 후미등을 부착해둔 모습입니다. 대략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그럭저럭 보이던 뉴세피아도 요즘은 쉽사리 보기가 어렵네요. 앞은 모종의 사유로 수리를 해서 깔끔하게 보였던 것 같고 뒤는 출고 당시 도장이 30년 가까이 비바람을 맞으며 수명을 다 한 상태로 보입니다.

 

녹슬어버린 스피커 망.

뒤 선반에 달려있는 순정 스피커와 보조제동등의 모습입니다.

 

좌측 스피커는 철망에 녹이 슬어있네요. 우측은 그래도 멀쩡합니다. 색만 조금 다르지 어릴적 추억이 생생히 떠오릅니다. 이퀄라이저까지 있던 오디오에 따로 유명 브랜드의 스피커는 아녔지만 그럭저럭 나쁜 성능은 아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연비스티커와 출고 바코드

연비스티커와 바코드도 그대로 살아있네요.

 

공인연비 15.8km/l. 지금 기준으로 따지자면 13km/l 수준이겠죠. 30여년의 세월을 버티며 스티커가 갈라지기는 했습니다만, 그래도 식별이 가능합니다. 바코드 역시 오랜 세월을 버티며 소실된 부분도 많지만 당시 기록되었던 문자의 식별이 가능한 수준으로 남아있습니다. 차대번호 역시 식별이 가능한 수준인지라 모자이크로 가려놓았습니다.

 

당장 적폐로 몰려 운행에도 제약이 걸리는 디젤차는 아닌지라 앞으로도 별 문제없이 살아남겠죠. 비록 평생을 지상주차장에서 지내 온전한 도장상태는 아니지만, 출고시부터 함께했던 주인아저씨와 함께 앞으로도 잘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항상 유용하게 잘 타고 있는 비스토 터보입니다.

 

에어컨도 잘 나오고, 큰돈 들어갈만한 작업은 작년에 다 해뒀던지라 정말 기름만 넣고 타고 있습니다. 다만 수동이 아닌 오토라서 아쉽지 밟아주면 터보차 특유의 빨려 들어가는 느낌은 나긴 납니다. 지난가을에 차량을 인수한 뒤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대략 3~4000km 정도 주행한 다음 엔진오일 교체를 계획했던지라 오토큐에 가서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불스워너 계절상품으로 받은 불스파워 엔진코팅제를 주입해줬습니다.

 

 

비스토 터보 엔진오일 교체

2020/10/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다시 비스토! 이번엔 터보! (2002 KIA VISTO TURBO) 은색 비스토 터보. 가져와서 엔진오일정도는 교체하고 타시라고 하시기에 알겠다고 하고 대략 열흘 가까이

www.tisdory.com

 

정확히 3522km 타고 교체하는군요. 약 9개월간 생각보다 많이 탔습니다.

 

기아오토큐 태안평천점

주로 태안에 놓고 타는 차량이다 보니 태안에 소재한 오토큐 정비소를 찾았습니다.

 

오토큐 간판을 달고 있는 정비소 두 개가 약 300m 거리를 두고 붙어있습니다. 한 곳은 공업사를 겸하는 곳이고 다른 한 곳은 경정비만 하는 오토큐입니다. 두 업체 모두 대기가 엄청 밀려있었습니다만, 그나마 조금 여유 있는 평천점으로 향했습니다.

 

사실 오토큐는 처음입니다. 기록을 보니 전전차주가 오토큐를 꾸준히 다녔더군요.

 

차량 번호가 바뀌고 처음이니 접수 시 등록증을 보여줍니다. 차대번호로 기존에 등록되어있던 차량을 찾아 등록정보를 수정해줘야 합니다.

 

정비현황에 자랑스럽게 보이는 비스토

정비현황에 비스토가 자랑스럽게 보입니다.

20년 가까이 탄 차 주제에 차량번호도 무려 앞 세자리네요.

 

신차에는 앞 두자리 번호판을, 헌차에는 세자리 번호판을 달아주는 변태 같은 번호판 조합을 사랑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별 생각이 없겠지만 저는 이렇게 표시되는 모습을 보면 그저 제 차가 자랑스럽게 느껴지네요. 상태는 먼저 작업 중으로 바뀌긴 했습니다만, 곧 차량이 정비를 위해 입고되는군요.

 

불스파워 엔진코팅제 프리미엄

불스파워 엔진코팅제를 꺼내 새 엔진오일과 함께 주입을 요청합니다.

불스파워 엔진코팅제 프리미엄입니다. 엔진오일 4~6L에 300ml 한 통을 넣어주면 됩니다.

 

프리미엄이라는 이름값을 하는지 가격은 조금 비쌉니다. 쉽게 얘기해 일반적인 엔진오일 첨가제에 시동 시 피스톤이 실린더 내벽을 긁으며 생기는 상처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제 성분이 중점적으로 들어있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엔진오일에도 마모방지나 산화방지를 위한 첨가제가 첨가되어있기는 합니다만, 그러한 성분을 더해줘 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제품입니다.

 

다양한 성분이 이 작은 캔 안에 다 들어있다.

PAO기유를 기반으로 다양한 성분이 첨가되어 있습니다.

 

유기 몰리브덴은 스스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성분이고 나노 풀러렌은 0.88 나노미터의 작은 입자로 상처가 생긴 엔진 내벽을 채워주고 베어링 효과로 윤활성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그 외 누유 방지제나 산화방지제는 일반적인 엔진오일 첨가제에도 들어있는 성분이고 하니 익히 잘 아시리라 생각하고 넘어가기로 합시다.

 

기존 엔진오일 배출

기존 엔진오일을 배출해줍니다. 약 3,500km를 달렸음에도 오일 색은 매우 까맣습니다.

 

오일 캡 안으로 보이던 슬러지들이 오염의 원인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다음 교체시기에는 플러싱을 겸해야겠습니다. 뭐 이번에 교체하면 주기를 좀 길게 잡을 생각이니 내년 이맘때나 교체하겠죠.

 

메가 터보 씬 - 차세대 장수명 가솔린 엔진오일

고민 끝에 선택된 엔진오일은 현대기아 순정 메가 터보 씬(MEGA TURBO SYN)입니다.

 

스팅어 3.3, G70 3.3과 같은 고성능 차량에 순정으로 적용되는 오일입니다만, 무려 20년 전 출시된 터보 경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점도는 0W30. 애초에 따로 준비해 간 오일도 없었고, 현대기아 순정 오일이긴 해도 비스토에는 매우 과분한 성분입니다.

 

기존 엔진오일을 모두 배출해낸 뒤 드레인 코크를 막고 공기압을 보충한 뒤 차를 내립니다.

 

불스파워 엔진코팅제 프리미엄 주입

엔진오일 주입에 앞서 불스파워 엔진코팅제를 주입해줍니다.

 

뚜껑이 플라스틱 간장이 담겨있는 플라스틱 병처럼 생겼습니다. 기존의 큰 뚜껑을 열고 안에서 한번 더 뜯어야 내용물이 나오는 간장병과 같은 방식입니다. 거기에 엔진코팅제 색상 역시 간장 혹은 폐유와 비슷한 진한 색상이네요. 엔진오일도 마찬가지로 첨가제가 많이 들어간 오일의 경우 색이 진한 편에 속합니다.

 

엔진오일 주입

엔진오일을 주입합니다. 메뉴얼상 약 3리터가 들어갑니다.

 

엔진오일을 붓고 오일양을 확인합니다. 4L 오일통에 엔진오일이 약 1L보다 조금 더 남은 수준에서 오일을 그만 넣습니다. 리데나씰을 비롯하여 오일이 누유되거나 될 수 있는 부분을 모두 교체하였기에 오일누유도 없습니다만, 혹시 내부에서 연소되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조금 많이 넣었습니다.

 

자동차점검 정비명세서

정비명세서를 받고 공임과 오일필터 값을 지불합니다.

 

에어크리너는 순정형 오픈흡기 비슷한 물건인지라 교체하지 않았고, 오일필터만 교체했습니다. 그래도 오일값이 비싸서 공임과 부가세를 포함하니 약 6만원정도 나오네요. 확실히 비스토에는 과분한 엔진오일에 불스파워 엔진코팅제까지 넣으니 가볍고 상대적으로 경쾌하게 나가는 느낌입니다.

 

이제 교체하고 약 100km정도 주행한지라 오일과 코팅제를 평가하기는 이릅니다만, 앞으로도 무탈히 잘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오일교환 주기를 조금 길게 잡을 예정인지라 내년에나 교체하겠죠.

 

본 포스팅은 불스원으로부터 무상으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