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51건

반응형


오랫만에 합덕 사진들좀 풀어보려 합니다. 뭐 합덕이라는 동네 자체가 그닥 활기 있고 번화한 동네가 아니라 조금씩 침체되어가는 그런 동네이다보니 참 조용하고 또 조용합니다. 


시끄럽다면 합덕역 주변으로 온갖 기획부동산에 투기꾼들이 나서서 별 말도 안되는 개소리로 역세권에 투자하라며 광고하는것 말고는 딱히 시끄러울 일도 없는 참 조용한 동네입니다. 물론 역이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그 주변이 시내로까지 발전하기는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희박한 가능성과 함께 배후 주거단지를 비롯하여 시내의 중심이 옮겨올 확률 또한 매우 적으며, 그런 사탕발림에 혹하는 분들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작년 이맘때로 기억하는데 합덕역 관련해서 뜬구름 잡는 사람들한테 좀 쓴소리좀 해주니 뭐라뭐라 인격모독까지 하던데, 장문의 댓글로 헛구름좀 조금 치워주곤 했네요.



흔히 행정리상 신촌이라 부르는 곳에 위치한 삼거리입니다.


정확한 법정동으론 합덕읍 대전리이기는 하지만, 신촌초등학교 근교의 신촌이라 부르는 그곳입니다. 

뜬금없는 서울이 왜 써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서울까지 100km는 가야 나오는데 말이죠..


그렇게 합덕방죽 부근으로 나와봅니다. 이쪽은 최근들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합덕방죽 복원공사라고 시작했던 시기가 2008년. 2008년생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2015년...


기존 방죽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그저 그런 저수지를 만들어 두고, 그 주변으로 주차공간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어디선가 본 것 같습니다. 뭐 볼게 있어야 사람들이 구경을 오고 그럴텐데 주차장만 넓적하니 만들어 두면 화물차 주차장이나 주변 학생들 탈선의 장소 말고는 뭐가 되련지요..


평범한 논바닥과 구불구불하게 이어진 농로가 인상적이였던 이곳도 가정집 두채가 사라지고, 논을 매꾸어 탄탄한 대지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저 멀리 보이는 서야의 새 체육관..


P.S 저 체육관 이름이 무엇이였는지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 졸업 한 다음에 준공된 건물이니깐요. 다만 저 체육관 개관과 관련하여 권력을 가지셨던 분들의 분투가 있었다고...



뭐 방죽에 연잎도 다 떨어졌고.. 지나는 사람 없이 휑합니다. 이런곳에 얼마나 많이들 찾아올까요.


이번엔 오랫만에 소들공원에 가 봅니다. 합덕이라는 동네에 공원이 생긴지도 어언 20년 가까이 흘렀네요.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았을 적엔 소들공원에서 미술학원 그림 전시회도 했었고, 컬쳐쇼크급 놀이기구도 많이 있어서 자주 놀러갔었는데 말이죠.. 그렇게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 고등학교를 넘어 성인이 되어있습니다.



소들공원 팔각정입니다. 2층으로 올라가면 합덕 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지요.


어릴적엔 계단 올라가기도 힘들었는데, 크고 나니 그닥 높지도 않아보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때로 기억하는데 정확히 어떤 이유에서인진 몰라도 소들공원 팔각정 위에 올라와서 단체로 쉬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갑자기 그때가 생각나네요. 벌써 15년은 지난 이야기입니다.



초등학생때는 집으로 가는 루트에 이곳이 포함되어 있었기에 자주 지나다녔습니다.


이사를 가고, 이쪽으로 거의 올 일이 없어져서 거의 온 적이 없었지요. 그래도 예전보다는 시설도 많이 나아졌고 운동기구도 많아졌습니다. 합덕 시내에 별 변화가 없어보이지만, 미세먼지는 둘째치고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 시야를 방해할 정도로 나무도 많이 자랐습니다.



한때 차가 올라오지 못하게 막아두기도 했었는데.. 


차가 올라가지 못하게 막아두었던 돌을 어느 누군가가 차량으로 박아서 부순 뒤로는 차들도 자유로이 올라갔었습니다만, 아예 공사를 새로하면서 차량도 올라갈 수 있게 열어두었습니다.


저 언덕에서 썰매를 탔던 기억도 납니다.



앞으로는 나름 시내가 펼쳐져 있는데, 뒤로는 그냥 평범한 시골마을입니다.


사방팔방 다 볼 수 있는 명당자리임에는 분명합니다. 운동기구들도 보이고 살짝 게이트볼장 지붕도 보이네요. 소들공원이 위치한 산 이름은 '갈매기산'입니다. 


역시나 초등학교 1학년 때, 코넷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라이코스에 합덕초등학교를 검색해보고 '합덕초등학교 뒷산은 갈매기산이다'라는 제목의 웹문서를 접하곤 처음 알았습니다. 이후 나중에 가서 배우게 된 학교 교가에도 '갈매기 산 허리에 새싹이 튼다'라는 구절이 있더군요.


산이 3자를 엎어놓은 갈매기 모양으로 생겼고, 오래전 이 산과 합덕읍 운산리 일원에 소나무로 가득했었는데 그시절 갈매기를 비롯한 온갖 새들이 둥지를 틀고 살았었다고 합니다. (링크)



가까이 보이는 소들공원 화장실과 저 멀리의 합덕초등학교.


오래전 일제는 이 갈매기산에 신사를 세웠다고 합니다. 아직 당진의 남산에는 '당진신명신사' 명의로 남아서 정리가 되지 않은 토지가 있지만, 서류상의 토지 정리도 다 되어 있고 그시절 흔적은 찾을 수 없는 공원이 세워져 있습니다. 


1920~30년대에 합덕읍 운산리 일대의 토지를 대거 소유했던 일본인 타카하시 쇼이치로(고교정일)도 과연 이런 합덕을 상상했을까요. 한 때 전성기를 지나 지금은 조용하지만, 제 2의 부흥을 꿈 꾸는 합덕에는 투기꾼들을 제외한다면 각자 자신의 맡은 바 성실히 임하며 평화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이 지역도 관공서의 세대교체 바람이 피해가진 않습니다. 


종종 오래된 관공서를 화려하고 큰 건물로 이전해가거나 그 자리에 건물을 새로 진는 경우를 봐 오곤 하는데 당장 가까이에서도 이런 케이스가 있었다니.. 싶네요. 주인공은 당진시 우강면사무소입니다. 


기존의 면사무소는 창리에 소재하고 있었으나, 몇년 전 옮겨간 보건소가 위치한 송산리로 옮겨갔습니다.



깔끔한 톤의 2층짜리 건물이 새로 지어졌습니다.


아직 막바지 공사가 한창 진행중인걸로 보이네요. LED 전광판과 시정을 알리는 문구는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만, 민원인을 위한 안내시설등은 아직까진 부족한 상황입니다.



민원실로 들어가는 입구 앞에는 새주소 홍보를 위한 입간판만 덩그러니 위치해있습니다.


민원실 안에는 정리를 하는 공무원분들이 계시긴 했습니다만,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어서 사람이 문을 열었는지도 눈치를 채지는 못하시더군요. 살짝 문을 닫고 나왔습니다.



사진상 좌측에 보이는 건물이 보건소입니다.


새로이 면사무소 건물이 올려진 자리는 저 앞에 보건소 땅까지 해서 커다란 배추밭이였는데 배추밭의 흔적은 찾아보기 힘들고 나름 면소재지의 중심지 느낌이 납니다. 그리고 배추밭 옆으로는 조그마한 기도원이 있었는데 그 건물 역시나 사라진 상태네요.


얼마전 국가유적지인 사적으로 지정된 솔뫼성지로 진입하는 길목이기도 합니다만, 이 면사무소가 관할하는 우강지역에서 단순히 버스를 타고 찾아오기에는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집니다. 합덕터미널에서 솔뫼 방향 버스로 갈아타고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조그마한 주차장 앞으로는 창고가 있고, 관용차를 주차할 수 있는 차고가 있습니다.


보통 제설장비를 넣어두거나 쓰래기 수거차량이 들어가 있습니다. 역시나 소규모 제설장비를 장착해둔 관용차로 활용하는 트럭 역시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다른건 다 좋으니 올 겨울 제설작업이라도 제대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큰도로도 제설이 되지 않아서 기어다니는게 말이 됩니까..


합덕 시내 방면으로는 솔뫼빌라와 2층짜리 단독주택이 보입니다.


저기 사는 분들은 좋으시겠습니다. 면사무소가 바로 앞으로 옮겨왔는데 말이죠.



신축 면사무소 건물 뒤로는 이렇게 언덕을 올라가는 계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원래 길이 없던 자리긴 한데.. 간단한 산책로로 추정됩니다.



새로 지어진 우강면사무소를 알리는 대리석 간판 또한 마무리 고정작업이 진행중이였습니다.


왜정때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범천면이 우강면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난지 100년입니다. 


그저 그런 평야지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동네였지만, 대통령보다 유명한 교황성하의 방문으로 전국적인 관광로 발돋움한 솔뫼성지와 서해선 복선전철이 지나가는 우강의 미래 또한 기대가 됩니다.


P.S 혹시 어찌 알아요. 우강면이 승격되서 우강읍이 될지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