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50건

반응형


(구) 라는 글자를 붙이기가 뭐하다 싶을 정도로 우강면사무소가 신청사로 옮겨간지는 약 한달에서 두달정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여튼 구 청사가 맞기는 합니다. 이전을 했으니 말이죠.


방치되기 시작한 옛 우강면사무소를 다녀왔습니다.


2014/12/07 - [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 - 새로 옮겨간 당진 우강면사무소




약 40여년의 세월동안 제 역활을 충실히 수행해온 우강면사무소 청사입니다.


작년에 새 시장님이 취임하시면서 새로 내걸은 슬로건이 아직도 깔끔하게 붙어있는데 이미 면사무소는 옮겨갔습니다. 오래전 슬로건도 아니고 당장 지금의 슬로건이 붙어있으니 이곳이 옛 청사라는게 전혀 실감이 가지 않습니다.



한켠에는 다 지워진 면사무소 팻말과 공사를 위해 모래를 쌓아둔 흔적이 보입니다.



정초(定礎) 1976년 10월 8일


70년대생이 40대에 들어선 2010년대까지 약 40년동안 면사무소로의 임무를 수행해 왔습니다. 그동안 우강면의 솔뫼성지는 충청남도지정문화재를 넘어서 국가지정 사적으로 승격되었고, 우강면을 지나던 32번국도는 확장공사를 통해 새로 뚫리며 우강면을 지나지 않게 되었습니다.


국가지원지방도 70호선의 확장공사 마무리와 아산 선장을 잇는 선우대교도 개통되었고, 앞으로 송악이나 송산등 당진 북부 해안가 지방 수준의 발전은 아니지만 무궁한 발전이 예상됩니다. 



면사무소 청사 앞 차고에는 트랙터와 주변 주민의 소유로 보이는 승용차가 주차되어 있네요.


전에는 관용차들 세워놓고 하던 차고였을텐데[ 말이죠..



청사이전을 알리는 현수막은 아마 처음엔 잘 붙여놓았을테지만, 살짝 떨어져 있네요.


뭐 다들 우강면사무소가 이전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텐데 이쪽으로 잘못 찾아오는 사람도 없겠죠..



굳게 닫힌 면사무소의 유리문 너머로 보이는 계단과 민원실...


공무원도 없고 민원인도 없습니다. 아무도 없습니다.



한켠에는 퇴비포대도 가득 쌓여있네요.


이 역시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이 쌓아둔걸로 보입니다.



면사무소 청사 옆 창고입니다. 


중간에 한번 보수공사를 했을걸로 추정되는 지붕을 제외한다면 딱 70년대 새마을운동을 했을 당시 양식의 건물입니다. 창문 안쪽으로 단열재나 이런저런 잡동사니가 들어있는게 보이는군요.




창고 뒤로도 또 차고 비슷한 구조물이 보이네요.


여타 포대나 종이상자들이 방치되어 있습니다. 



면사무소 청사 뒷켠의 은행나무에는 작년에 은행이 많이 열었지만 주워가는 사람이 없었나 봅니다. 민원인들도 앞에만 다니고 하다보니 보고 주워갈순 없었겠지요.



청사와 함께 덩그러니 남은 에어컨 실외기입니다.


새 청사에는 새 에어컨과 함께 하겠죠. 남은 이 에어컨은 과연 재활용이 될지 폐기물이 될지..



이름없는 건물이 되었습니다.



공보판에는 빛바랜 서류들만이 그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게시기간이 1년 가까이 지난 서류도 있고, 못해도 1년 가까이 된 문서가 한두건이 아니네요.



해나루대장군과 해나루여장군 역시 새 청사로 이사를 가진 못했습니다.


당진시가 해나루 브랜드를 본격적으로 양성한지도 얼추 10년이 되었는데.. 해나루 브랜드는 나름의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쌀로 시작해서 여러 당진의 토산품들에 해나루 이름이 붙는 2015년입니다.



청사 앞 은행나무의 까치 둥지는 건재합니다.


까치도 이사를 간다면 이곳에 거처를 튼 동물은 아무것도 없게 되는군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합덕읍 관내에는 초등학교가 세 곳이 있습니다. 시내에 있는 합덕초등학교, 그리고 조금 외곽에 있는 합도초등학교, 아주 외곽 들판 한 가운데에 있는 신촌초등학교 이렇게 세 학교가 현재 남아 있습니다.


다만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에 따라 가장 큰 학교인 합덕초등학교의 학급도 재작년 신입생 부터는 2학급으로 운영중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학교들은 더 할 말 없이 한 학년에 한학급씩 운영중이고 말이죠.


수년 전부터 도 교육청에서 폐교 대상 학교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지역민들의 성원으로 살아 남아 오늘날까지 명맥이 이어지고 있답니다.


2014학년도 기준으로 총 5학급에 학생수 35명, 병설유치원 학생 여섯명까지 합한다면 마흔명이 조금 넘는 학생을 수용하는 작은 학교입니다.



다른 학교들은 보통 정문과 운동장이 붙어있거나 정문에서 운동장이 보이는데..


이 학교의 운동장은 조금 특이한 구조입니다. 운동장이 학교 안쪽에 위치 해 있는 구조더군요. 요즘 한창 운동장 현대화 한다고 인조잔디를 깔거나 육상 트랙을 설치하곤 하는데, 평범하게 흙모래가 있는 운동장의 모습입니다.



운동장을 마주보고 작은 정원과 단층짜리 건물이 한 동 있습니다.


물론 이게 이 학교의 전부는 아니고, 뒤에 복층짜리 건물이 한 동 더 있네요. 단층 건물은 실습실이나 급식실등의 시설로 활용을 하는 듯 보였습니다. 학급과 기타 교직원이 활용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대부분 복층으로 지어진 건물에 몰려 있었네요.



복층건물입니다. 운동장 앞의 단층건물과는 비가림막으로 막아둔 걸 제외한다면 비바람에 취약합니다.


요즘같이 추운 날에는 학교 주변으로 왔다갔다 하기도 참 힘들겠네요 ㅎㅎ



정문에서 운동장으로 가는 길은 죄다 보도블럭이 깔려 있습니다.


학교도 작은 편이라 아기자기하고 보도블럭도 깔끔하게 깔아 둔 상태라 멀리서 봐도 가까이에서 봐도 아름답습니다. 이래저래 아름드리 나무들도 정리가 잘 되어 있어 멀리서 봐도 장관을 이루고 있고요.



학교 안에서 바라보는 정문입니다. 정문이 과연 정문인가 싶을 정도로 작고 아담합니다.


학교로 들어오는 작은 다리를 건너면 바로 학교인데.. 뭐 사실 정문이 클 필요도 없겠지요.



이곳은 박병열 선생 동상지라고 써 있네요.


박병열 선생이 무얼 하시던 양반이신지는 설명을 옮겨 와 보겠습니다.


박병열 선생 동상지


박병열 선생은 1894년에 충남 당진군 합덕읍 신리에서 태어나 일찌기 육영사업에 큰 뜻을 두시고 1937년 일제치하에서 사라져가는 민족혼을 불러 일으키시기 위하여 이곳에 배움의 보금자리를 마련해 주신 훌륭한 분이십니다. 그 후 선생의 높은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이 자리에 동상을 건립하였는데,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빼앗겨 지금은 동상은 볼 수 없고 그 좌대만 남아 있습니다. 우리는 선생의 높은 뜻을 이어 받아 우리 학교를 더욱 빛내고 훌륭한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자면, 당시 이 동네에 살고 있었던 대 지주 박병열 선생께서 사라져가는 민족 혼을 불러일으키시기 위해서 자신의 토지 일부를 기부해주셨다 보심 되겠습니다. 물론 이 박병열 선생님의 동상을 왜 다시 재건하지 않았는지는 모르겠네요. 



작은 정문 앞에서 학교를 바라봅니다. 


승용차 한대 지나갈 정도의 차도와 사람 한사람 지나갈 정도의 인도가 있습니다. 사실상 교문 옆으로 담장이 없어서 문을 걸어 잠궈도 있으나 마나 한 수준의 교문이지만.. 그래도 교문이 없으면 허전하지요.



학교 앞으로는 농수로가 지나갑니다.


농번기에는 물이 다리 바로 아래까지 차 오르곤 하는데 겨울이라 거의 바닥을 보이고 있네요. 수십년전에는 매년 한두사람씩 수로에 빠지는 사고를 당하는 사람이 있었다고 하는데, 요즘 학생들은 물 더러운 줄 알고 있는데다가 하두 위험하다 소리도 많이 듣고 저렇게 막아두기까지 해서 다행스럽게 사고가 일어나진 않고 있습니다.


오래되어 칠도 벗겨지고 이름도 없는 다리 앞에서 마지막 한컷...


이 학교가 학교로써의 수명을 다 하는 그날까지, 아니 그날이 지나고 학교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그 날에도 오래된 교량은 무너지지만 않는다면 아무래도 영원하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