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더 뉴 아반떼의 주행거리가 6월 6일 아침에 70,000km를 넘어섰습니다.



69,999km에서 좌회전을 해야하기에 정차했습니다.

6만km대를 떠나보내고 새로운 만단위 숫자인 7을 맞이하기 위해 좌회전을 받아 조금 더 달려봅니다.


그렇게 달리다 보니 숫자가 6에서 7로 바뀌더군요. 물론 적산거리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득이 된다기보단 오히려 해가 되는 것이 많습니다만, 그래도 7만km를 별다른 사고 없이 무사고로 안전하게 달려왔다고 생각하니 뿌듯하기도 합니다. 별건 아닌데 말이죠..



조금 더 달리니 외기온도는 20도에 적산거리는 70,000km를 가리킵니다.


이제 겨우 6월하고 며칠 지났으니 이 추세대로라면 올 연말에는 10만km에 근접한 주행거리가 계기판에 표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단순 계산으로도 2년간 10만km를 주행했으니, 4년만에 20만km를 타게 된다는 이야기겠죠. 물론 60개월 할부로 구입한 차량을 60개월을 탄다면 25만km 가까운 주행거리가 찍힌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뭐 딱히 팔아먹고싶은 생각도 없고, 새차인데다가 어지간한 편의사양은 다 들어가 있는데다가 당장 신형 모델이 나온지도 얼마 지나지 않았으니 차를 바꾸고 싶다는 생각은 아마 3~4년이 지나도 크게 들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지금같은 컨디션만 유지된다면 20만 30만km를 탄다고 해도 딱히 기변의 욕구는 생기지 않을테니깐요.



여튼 7만km를 넘겼습니다.


물론 영업용 차량이나 저보다 훨씬 더 많이 타고 다니시는 분들은 비슷한 시기에 차량을 출고하여 이미 10만km를 넘겼으리라 생각됩니다. 부디 앞으로도 무탈히 타고 다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별다른 문제 없이 무사고 20만 30만을 향해 달려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12일차 이야기입니다.


뭐 암담했던 1일차가 벌써 12일차까지 왔네요. 총 17일차로 기획된 교육이기에 이제 끝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아마 15~16일차에는 S자 주행코스를 타지 않을까 싶네요. 실질적으로 기중작업을 연습하는 날은 며칠 남지 않았다고 봐야 맞겠죠. 시간이 생각보다 빠르다고 느껴집니다.





딱히 특별함 없는 환경에서의 운행이 이루어집니다.


12일차부터 4회 4회 2회를 순환하며 타는 방식에서 변화를 주어 4회 3회 3회를 탑승하기로 합니다. 순번이 뒤쪽에 있는 관계로 학원에 출석하여 방통대 과제를 열심히 하다가 대략 시간에 맞춰서 대기하는 천막 아래로 나왔네요. 이제 어느정도 시간을 맞추는 감이 생겨서 저보다 순번이 두번째로 빠른분이 탑승하고 있는 시간대에 나오고 있습니다.



12일차에는 강사님께서 처음 1회 탑승시에 한하여 직접 채점을 하셨습니다.


장애물을 넘어 오버스윙을 하거나 기둥에 닿는 실격의 요소가 있었던 분들의 경우 체크가 되어있네요. 여튼 제 차례에서도 탔습니다만, 2분 47초에 다행히 바로 실격되는 사유는 없었습니다. 시간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강사님의 말씀대로 이후부터는 시간을 신경쓰지 않고 기중기에 탑승하게 되었습니다.



탑승 후 하차하여 붐대가 적정수준 접혔는지 확인합니다.


지난주 언젠가 타다보니 다른 강사님께서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다고 하셨기에 그 이후부터 꼭 내려서 확인을 하곤 합니다. 그래도 그 이후로 붐대레버를 조금 더 당기고 있다가 놓는지라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더군요.



2회차와 3회차는 각 3회씩 탑승하니 늦어지는 일 없이 모두 다 타고 딱 퇴근시간에 도달하더군요.


시간을 측정하지는 않습니다만, 괜히 또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서두르게 되더군요. 물론 오전에 탈 때와 오후에 탈 때가 마음가짐이 다릅니다. 뭐 다른 생각을 하기도 해서 그렇겠지만 말이죠. 남은 기간동안 부디 실수하지 않고 확실히 익힐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13부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