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달로 기억하네요. 갑자기 공기압이 빠져 경고등이 들어와 긴급출동을 불러 지렁이를 떼웠었죠. 



그리고 대략 4~50일이 지난 시점에 와서 또 공기압 경고등이 뜹니다. 아 물론 같은 타이어에서 말이죠.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가 아마 다 닳아서 또 공기가 새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에서 아마 또 새지 않나 싶네요.


대략 39-40에 가까운 공기압이 표시되고 있지만, 우측 앞바퀴만 저압이라는 문구가 떠 있습니다. 진짜 타이어를 교체하던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가뜩이나 재앙급 불경기에 돈도 없고 하다보니 막상 며칠 또 지렁이 박고 타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여튼 학원에 거의 다 와서 경고등이 들어왔던지라, 살살 학원에 가서 세워놓습니다.



뭐 육안상으로는 크게 문제점이 보이지 않습니다만, 안쪽에 지렁이를 박았던 자리에서 새고 있습니다.


일단 점심을 먹으러 나가야 하니 긴급출동을 부르기로 합니다. 긴급출동을 불러 또 지렁이를 다시 박고 밥을 먹으러 나가야죠. 타이어를 교체하자니 무엇보다 2월부터 계속 적자를 보며 모아둔 돈을 까먹고 사는 한푼이 아까운 거지새끼고, 아직 트레드가 가을까지 버틸 수준으로 남아있어 아깝기도 합니다. 


답은 타이어를 도리까이(탈거 후 재장착)하여 트레드가 얼추 다 닳을때까지 쓰는 방법 말곤 없어보이지요.



지루한 기다림 끝에 긴급출동 렉카가 도착하였습니다.


상황을 설명하고 어디서 바람이 빠지는지 확인해보기로 합니다. 주차된 차를 뒤로 살살 빼면서 바람이 새는 부분을 확인합니다. 다른 타이어의 공기압도 겸사겸사 체크합니다.



미세하게 공기압이 빠지는 모습이 보입니다.


대략 7,000km를 타고 지렁이가 다 닳아버렸습니다. 원인은 편마모인데, 가장 싸게 해결하는 방법은 도리까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트레드를 봐도 무조건 가을까지는 탈 수 있을테니 가을에 타이어를 교체하며 휠 얼라인먼트를 다시 보는게 가장 경제적으로 탈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작년만 같아도 그냥 크게 마음먹고 휠 얼라인먼트를 보고 타이어를 교체하겠습니다만, 올해는 너무 힘듭니다. 그냥 하루하루가 재앙이라 그럴 여유조차 없습니다.



여튼 지렁이를 다시 박았습니다.


가까이에서 보면 트레드가 얼마 남지 않은듯 보이지만, 그래도 아직 절반은 남아있습니다. 일단 지렁이를 다시 박고 타니 별다른 문제는 없네요. 또 안쪽으로 타이어를 파먹으며 얼마 타지 않은 시점에서 바람이 빠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오일 교체와 함께 타이어의 도리까이도 필히 진행하는걸로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9일차 이야기입니다.


모처럼만에 화창한 토요일을 맞이했습니다. 교육도 얼추 절반 이상 받았고, 날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9일차 교육부터는 변화가 있었는데, 기존에 지도를 해주시던 강사님께서 교육으로 인해 앞으로 뵙기 어려워졌고 주말에 쉬고 계시던 다른 강사님께서 교육을 도맏아 하시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교육기간의 절반이 지나면서 역순으로 크레인에 올라타게 되었네요. 그동안 일찍 타고 일찍 집에 갈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만, 앞으로는 번호가 늦다보니 거의 마지막에나 탑승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날부터 지게차 교육 수강생이 시작되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강의실 대신 타워크레인 교육 시절 듣던 강의실로 들어왔습니다.


그렇게 대기실 겸 강의실을 옮겨왔네요. 물론 이쪽 강의실이 환경이 훨씬 더 좋긴 합니다. 9일차부터 느지막에 타게 된 상황이다보니 아침부터 방통대 강의를 보고 끊김없이 공부를 할 수 있는 부분도 좋긴 하네요.



그렇게 탑승을 위해 강의실 밖으로 나왔습니다.


천막 아래 그늘에서 대기합니다. 전반적으로 지난주보다는 주변 환경이 정리가 된 느낌입니다. 주변 공사도 어느정도 마무리 되는 느낌이고 다음주에 온다면 더욱 달라진 분위기에서 실습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게 크레인에 탑승합니다.


매번 아침에 타다가 정오가 지난 시간에 탑승하니 뭔가 다른 느낌이네요. 그래도 이제는 얼추 적응해서 동작을 혼동하거나 미숙한 운행으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벽을 긁어내면서 미니굴삭기를 넣어두던 토굴 역시 사라졌습니다.


타워크레인 시험을 볼 때 벽에 화물이 닿아 실격당했는데, 그런 일은 앞으로 발생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나저나 6월 시험은 꼭 객기부리지 말고 붙어야죠.  운행과정은 이전과 거의 동일했습니다만, 크레인 내부에 새로운 물건이 생겼습니다.



타이머가 생겼습니다.


자석형 타이머로 기중작업실 벽에 붙어있습니다. '분' 버튼과 '초' 버튼을 함께 누르면 초기화가 됩니다. 초창기 구분동작으로 연습하던 시기에 시간을 측정했고, 이후 연속동작을 배운지 얼마 지나지 않아 한번 더 측정했었는데 두번 다 제한시간 내에 운행을 마치지 못했습니다.


그 이후로는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시간을 의식하며 자꾸 실수를 하다보니 시간을 측정하지 않았고요. 이제 어느정도 기중작업에 익숙해졌다는 생각이 드니 오랜만에 시간을 측정하기로 합니다.



오전에 4회, 오후에 4회 그리고 마지막에 2회를 탑승하였습니다.

모든 운행 과정에서 시간을 측정하지는 않았고, 오전에 2회 오후에 2회 총 4회의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


오전 2회차 기중작업을 완료한 시간은 2분 52초. 준수합니다. 제한시간이 3분 15초임을 생각한다면 안정권입니다. 다만 시간을 측정하다보니 뭔가 시간을 줄여보겠다는 욕구가 생깁니다. 그래서 악셀을 좀 더 밟고 시간을 줄여봅니다.



오전 4회차 기중작업. 2분 43초.


시간이 대략 10초 가까이 줄었습니다. 악셀페달은 조금 세게 밟았더니 10초가 줄었네요. 충분한 시간이지만 타이머가 켜진 이상 시간을 어디까지 줄일 수 있는지 해보고싶다는 목표가 생겨났습니다.


오후 2회차 기중작업 2분 35초.


악셀을 사정없이 밟고 작업했습니다. 돌릴때도 악셀을 밟고 돌립니다. 다행히 후리가 크게 생기지는 않았으며, 시간 줄이기에 자신감이 붙었습니다.



오후 4회차 기중작업. 리셋을 하지 않았는데, 5분 2초에서 2분 35초를 빼고 남은 시간은 2분 27초.


2분 20초대에도 진입합니다. 진짜 사정없이 풀악셀 땡겨가며 작업을 하니 거의 1분 가까운 시간의 여유를 두고 들어오기도 하네요. 아 물론 여기까지. 강사님께서 너무 빨리 들어와도 좋지 않다고 하시네요. 실제 현장에서는 크레인이 기중작업중에 속도를 내는 일이 없습니다. 너무 빠르다고 실격당하는건 아니지만 RPM이 높아지면 검정원들이 좀 더 유심히 들여보게 되고 감점 사유가 있을 수 있다고 하네요.


강사님 말씀을 들은 뒤 RPM은 적당히 올리기로 합니다. 어짜피 터보차저도 없는 디젤엔진인데 RPM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토크밴드를 벗어난다고 출력이 눈에 보이는 수준으로 높아지지 않으니 말입니다. 그렇게 남은 2회는 살살 운행했습니다.


그렇게 매주 새로운 무언가를 알아갑니다. 10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