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특히나 정비에 돈을 쓰기 정말정말 싫습니다만, 차에 돈 쓸 일이 이렇게 생기는군요.


며칠 전부터 쇼바쪽에서 삐거덕 소리가 나고, 방지턱을 넘으면 차가 요동을 칩니다. 거기에 쇼바가 터져서 가뜩이나 낮은 차고가 더 낮아져 주차장에 차를 생각없이 대면 스토퍼에 범퍼가 닿아 빠지더군요. 뭐 빼도박도 못하는 쇼바가 터진 증상이고 하니 시간 난 김에 쇼바를 구입했습니다.


뭐 인터넷으로 살까 하다가도, 성격상 바로바로 실천에 옮겨야 하기에 결국 오프라인 매장인 부품대리점으로 향했습니다.



인터넷 가격과 오프라인 가격이 동일합니다. 36,520원입니다.


평소 타 부품대리점보다 비싸다고 느껴지던 부품대리점입니다만, 웬일로 저렴한 가격에 놀라고 맙니다. 우측 뒷쇼바가 말썽이긴 하지만, 반대편도 언제 나갈지 모르는 일이고 5년이 넘는 세월동안 단 한번도 교체하지 아니하였으니 같이 갈아주기로 합니다. 그렇게 한조 73,040원을 결제합니다.



정식 명칭은 '업소버,리어 쇽' 좌우 공용이고 국산입니다.


품번은 'P95325940' 유압식 쇼바이고,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부터 스파크까지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합니다. 물론 튜닝쇼바를 사서 이참에 앞에까지 일체형 쇼바를 만들어도 상관 없는 일이긴 합니다만, 딱히 스파크에 돈을 들이고 싶지 않은게 요즘 심정이니 그냥 참고 넘어가기만 합니다. 자잘하게나 꾸미고 싶지 이제 큰 돈 들이고 싶진 않네요. 새 차를 산다면 모를까.



박스를 뜯어봅니다.


밴딩기를 한번 거쳐나온듯 보이는 이 쇼바에는 녹색 밴딩끈이 걸쳐져 있습니다. 끈을 제거하지 않고 쇼바의 제 기능을 하는지 시험해보는 차원에서 꾹 눌러보니 잘 들어갔다 다시 올라오더군요.



생산은 'S&T 모티브'에서 하는걸로 보입니다.


잘 아시는 분들은 방산업체로 잘 알고 계실테고,생소하게 보이실 분들께 설명 드리자면 옛 대우정밀과 같은 회사입니다. 한국GM처럼 대우그룹 계열사에서 뿔뿔이 흩어지고 주인이 바뀌면서 이름이 바뀐겁니다. 결론은 쉐보레 차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 역시 대우시절부터 함께 해오던 협력사에서 생산하고 납품합니다. 고로 쉐보레 차는 대우차라는 공식이 성립된다는 이야기겠죠.


조만간 시간 날 때 근처 사업소에 방문하여 교체 작업을 진행하려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도쿄 여행 이야기는 10부에서부터 이어집니다.


宿51 버스를 타고 도쿄 도청사로 가는 길. 도쿄 도청사에 가기 전 보이는 풍경들 그리고 잠시 들렸던 신주쿠 중앙공원과 관련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버스를 타고 조금 지나가니 NHK의 로고가 보입니다.


일본의 공영방송 NHK는 우리로 치자면 KBS와 같은 포지션의 방송국입니다. 마치 KBS 소유의 여의도 건물들처럼 NHK 방송센터에는 본관과 콘서트홀을 비롯한 여러 건물들이 존재합니다.



방송국인만큼 여기저기 위성 안테나도 보입니다.



일요일 오전. 방송국은 역시 조용합니다.


뭐 방송국이 시끌벅적 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만, 일요일 오전이라 그런지 더 차분하고 조용해 보일 뿐 입니다. 한국처럼 방송국이 몰려있는 지역이 일본에도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뭐 도쿄 내엔 그런 구역이 없는 듯 보였습니다.


여의도,상암동 DMC,가양동처럼 크고 작은 방송국들이 모여있는 공간은 정녕 우리나라에만 있는걸까요.



방송국 한켠에는 방송차량들이 주차되어 있습니다.


이동식 중계차량을 비롯하여 장비를 싣고 다니는 승합차 하이에이스가 다수 세워져 있네요.



방송국 근처로는 이중문에 경비아저씨까지 나와 있네요.



방송국을 지나고 요요기공원 근처를 지나가니 고속도로 입구가 보입니다.


우리의 시내버스는 고속도로를 타는 노선이 아니니 고속도로를 빗겨서 나갑니다. 



금방 도쿄도청사 근처에 도착합니다. 


물론 저 앞에 가서 내려도 상관은 없었지만 한정거장 전에서 내렸네요. 도청사 앞 공원 구경좀 하고 도쿄도청 전망대에 올라가 보려 합니다. 



낡은 육교. 우리나라 육교와 관리상태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바래버린 페인트. 그리고 이끼와 곰팡이로 마감된 계단은 기후가 습한 어느 나라를 가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부분인가 봅니다.



쥬니사토리 니시신주쿠4초메.


육교 상판에는 거리의 이름이 적혀있습니다.



육교 위에서 바라본 니시신주쿠 중심업무지구의 전경.



육교를 타고 내려오면 바로 공원과 이어집니다.



이 근처에 거주중인 부유층 자제분들께서 나와서 놀이터에서 재미나게 놀고 계신 상황입니다.



나무에 미세한 호스를 달아놓고 분무기에서 물을 뿌리듯 물을 분사합니다.



놀이터에서 노는 부유층 자제분들도 계시지만, 세발자전거를 타는 자제분들도 계셨습니다.


물가 비싸기로 소문난 도쿄에서도 나름 중심지라 하는 구역에 사는 사람들이니 아마 초호화 주상복합 건물에 거주중이겠지요. 그럴겁니다 아마도요.



공원에서 바라본 도쿄도청 제1청사.



공원에서 바라본 도쿄도청 제2청사.



공원 안내도입니다. 한국어 안내는 없지만, 그래도 기초적인 영어로 되어있어 쉽게 판독 가능합니다.



도로를 건너 공원의 다른 구역으로 이동합니다. 차도 충분히 다닐 수 있는 도로입니다.



도로 위에서 바라본 도쿄도의회 연결통로.



공원 한가운데에는 반원모양의 콘서트홀 비슷한 공간이 존재합니다.



비둘기들이 한가로이 벌레를 찾고 있는 이 자리는 사실 빗물 저장시설이라 하네요.


폭우가 내릴 시 이 공원 지하에 빗물을 저장해 둔다 합니다. 요즘 우리나라에 쏟아붓는 국지성 호우가 신주쿠 한복판에 내린다면 이 공원 아래의 시설은 견뎌 낼 수 있을까요. 청주시가 그렇게 자랑하던 충북대 밑 빗물침두시설도 결국 무력화가 되었는데 말이죠.



인공 폭포도 있습니다. 나이아가라 폭포를 재현했다고 하네요.


여튼 폭포 주변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머물고 있습니다. 간단히 공원 구경도 마쳤고, 이제 도교 도청사에 올라가 보도록 합시다. 12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