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업용 차량을 계속 임시번호판만 달고 다닐 수 없는 노릇이니 지난 화요일에 차량을 등록했습니다.

 

2월에 신차를 등록하고 약 9개월만에 다시 신차등록으로 찾아왔네요. 일반적인 자가용 승용차와는 달리 지입차량으로 들어가는지라 절차가 조금 복잡했습니다. 보험 대신 화물공제에 가입하여 분담금을 납부했고요. 대폐차 관련 서류를 받는 시간이 있어 약 두시간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물론 신차 등록과 동시에 출장으로 틴팅과 블랙박스를 달아주러 온다고 그러더군요.

 

아직 언급은 없었지만 본격적으로 일을 시작한지는 약 3일정도 지났습니다. 그간 머리아프고 신경쓸게 많아 언급이 없었지만 슬슬 풀어보기로 합시다.

 

 

210209 투싼(NX4) 신차 등록 + 두자리 번호판 부착

투싼의 임시번호판 기간은 2월 2일부터 2월 11일까지입니다. 연휴 중간에라도 걸쳤으면 연휴까지 임시번호판으로 버티다가 2월 15일에 번호판을 부착해도 되겠지만, 연휴 첫날 끝나버리니 참 애

www.tisdory.com

 

지난 2월 투싼의 신차 등록 이야기를 참고하고 오시면 좋습니다.

 

임시번호판 탈거

직접 차를 끌고 당진시청으로 가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임시번호판만 떼어갑니다.

 

썬팅하고 블랙박스를 달러 온다고 하기도 하고 막상 큰차 끌고 가기도 뭐하니 말이죠. 군산에서 발급되었던 임시번호판과의 작별을 앞두고 있습니다. 며칠 그래도 새차 느낌 내면서 잘 탔는데, 이제 아무도 이게 새차인지 작년에 출고한 차량인지 관심도 가지지 않을겁니다.

 

지입사 사장님과 만났다.

당진시청 민원실에서 지입회사 사장님과 만났습니다.

개별 혹은 개인화물용 번호판의 시세는 고공행진중입니다.

 

중고차를 샀다면 번호판도 같이 샀을지 모르겠지만 예정에도 없던 신차를 계약했고 결국 신차 계약과 동시에 영업사원을 통해 지입회사를 소개받아 들어가기로 합니다. 세상이 많이 좋아져서 관행이지만 사실상 명의대여행위로 불법이던 지입제가 지금은 양성화되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까지 왔습니다.

 

국토부에서 표준 위수탁계약서를 마련한지 벌써 5년이 넘었고, 이전처럼 누가봐도 차주가 불리한 계약을 진행하거나 운송회사가 차주의 동의 없이 서류상 자사 차량으로 취급되는 출자한 차량을 임의로 처분하는 등 피해를 보는 일은 거의 사라졌다고 봐야죠.

 

여튼 저는 임시운행허가증과 운행기록계 장착과 관련된 서류를 가져왔고, 지입회사에서는 캐피탈 회사에서 저당을 잡을 서류와 공제 가입과 신규등록 서류를 가지고 왔습니다.

 

공제조합 분담금

화물공제 100% 분담금(보험료)입니다.

사고가 있다면 금액이나 상해급수에 따라 할증됩니다.

 

이전에는 사고가 있는 차량의 경우 운송회사의 남은 다른 번호판으로 대차하면 다시 원점에서 시작하곤 했다는데 지금은 그 제도가 폐지되었다고 하네요. 책임보험료만 먼저 납부하고 나머지 금액은 6개월까지 분납합니다. 약 40만원 수준인 적재물 보험 역시 가입해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공제 가입증명서까지 팩스로 받았고, 본격적으로 등록절차를 진행합니다.

 

취득세와 등록세

취득세와 등록세를 납부합니다.

다 해서 650만원 가까운 돈을 썼습니다.

 

과세표준액이 161,181,818원. 영업용이라 4%의 세율을 적용하여 같은 가격대의 자가용 차량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한 취등록세를 자랑합니다. 취득세가 운송회사와 지입차주에게 각각 2%의 세율로 두장이 발급되는데, 둘 다 내면 됩니다. 그리고 등록원부상의 특기사항 기록을 위한 등록세 1만 5천원을 납부합니다.

 

자동차등록증

비용을 모두 납부하면 자동차등록증이 발급됩니다.

운송회사나 차주 둘 다 임의로 처분이 불가능한 내 차도 회사차도 아닌 그런 차량이 등록되었습니다.

 

주로 일하게 되는 지역이 당진인지라 당진번호판을 알아봤었고 당진시 소재의 운송회사인지라 '충남94바'로 시작하는 번호를 부여받았습니다. 새로 부여된 번호가 아니라 운송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던 번호판을 발급받았던지라 번호는 미리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번호판을 현장에서 찍어주지 않는 당진시 차량등록의 특성상 전날 미리 휘장사에 전화하여 번호판을 주문해뒀습니다.

 

새 번호판

앞범퍼에 레이더가 있어 대형 번호판 대신 혼합형 번호판이 발급되었습니다.

 

승용차와 같은 규격의 번호판이 앞에 부착되며, 대형차 규격의 대형번호판은 뒤에 봉인과 함께 부착됩니다. 승용차용 유럽형 번호판 플레이트는 이미 여러개 가지고 있는지라 대형 번호판용 하나만 구입했습니다. 모든 절차를 마치고 시청을 빠져나와 다시 차량이 세워진 차고지로 향했습니다.

 

장착완료

번호판 부착은 어렵지 않습니다.

 

비천공으로 받아올걸 그랬나 생각도 들긴 합니다만, 큰 위화감 없이 잘 맞습니다.

 

플레이트는 현대꺼.

번호판 플레이트는 현대 로고가 찍혀있는 물건입니다.

 

DAEWOO차에 HYUNDAI 보조대가 부착된 아이러니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뒤 역시 장착 완료

승용차는 대부분 봉인용 볼트가 박혀있는데, 화물차는 없더군요.

 

그래서 봉인에 있던 볼트와 너트 핀을 모두 사용하여 부착했습니다. 번호판을 한참 달고있단 와중에 블랙박스와 틴팅작업이 모두 끝났다고 작업자가 가버리네요. 번호판도 다 달았으니 구경해보기로 합니다.

 

개판 5분전.

필름이 어느회사 제품이냐 물어보니 국산인데 중소기업 제품이라 합니다.

그래도 반사필름이고 열차단률은 꽤 높다고 말하네요.

 

전면유리까지 전체시공은 아무리 저렴한 필름이라 하더라도 꽤 비싼편인데 영업사원 서비스니까 그러려니 합니다만, 필름에 미세한 기포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먼지가 들어간것도 아니고 그냥 기포가 남아있네요. 작업과정을 지켜보고 확인했더라면 여기 한번 더 밀어달라고 부탁이라도 했을텐데 말입니다.

 

혹시 나중에 다른 작업을 할지도 모르니 명함이라도 달라고 했더니 문자 보낸거 있지 않느냐고 그거 보고 전화하라며 그냥 슝 가버리더군요. 뭐 그때 조금 냄새가 났는데 앞유리에 묻은 물자국도 그대로고 작업 참 개판으로 해놓고 갔습니다.

 

블랙박스

씨텍?(C-TECH)이라는 회사의 MT350이라는 제품이네요.

 

처음보는 회사입니다. 찾아보니 올해 3월 설립되었고 엠비즈원이라는 회사와 법인만 다를 뿐 같은 건물에 소재하여 같은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실상 동일한 회사라고 하더군요. 주로 지게차나 중장비용 후방카메라를 만들던 업체이고 이전부터 꾸준히 화물차용 블랙박스를 생산했다고 합니다.

 

제품 자체는 올해 9월 출시된 최신형이고, 스펙만 놓고 봐도 전방 FHD 30fps, 측면 HD 30fps급의 뛰어나지는 않더라도 쓰는데 큰 문제는 없는 제품입니다. 시간이 큰 의미가 없다고 쳐도 그래도 맞춰주고는 가야지 저게 뭡니까... 결국 제가 따로 맞춰놨습니다.

 

여튼 그렇게 하나 둘 준비를 마쳤고, 본격적으로 실전에 투입될 일만 남았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현대 대우 수입트럭 등등 대부분 영업용 트럭을 구입하면 적재함 보강부터 진행합니다.

 

주로 운송하게 될 짐의 특성에 맞춰 적재함의 약한 부분을 철판 혹은 빔대를 대어 보강하거나, 결박을 위한 장치들을 용접으로 적재함에 붙이는 작업을 보통 그렇게 칭합니다. 차주에 특성과 취향대로 설계하고 작업합니다. 즉 커스터마이징 작업이라는 얘기겠지요. 일반적인 카고트럭이 아닌 특장차를 만들기 위해 바로 차량을 출고하여 특장업체로 가는 경우에는 그곳에서 특장을 올리며 이런 작업을 진행합니다.

 

아산시 인주면 평안적재함

저는 아산시 인주면의 평안적재함이라는 업체에 차를 넣었습니다.

 

말 그대로 커스터마이징 작업이기에 법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자르고 붙여 적재함을 보강해줍니다. 주로 무게가 나가는 철근을 운송할 예정이기에 적재함 앞쪽으로 굵은 철판을 붙여주고 엔진룸쪽으로 사각파이프를 붙여 강성을 높여줍니다. 그 외에도 양 옆에 결박을 위한 깔깔이를 자리에 맞춰 붙여주네요.

 

 

전국 곳곳에 이런류의 트럭의 보강작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1톤트럭 차바닥부터 시작해서 탑수리나 대형트럭의 보강작업까지 하는 업체도 있고, 말 그대로 차바닥이라는 상호를 사용하며 1톤차와 2.5~3톤 마이티급 차량의 함석바닥만 시공하는 업체들도 있습니다. 여튼 다 잘라내고 갈아내고 용접으로 붙이는 작업들이라 힘들고 위험합니다만, 그래도 꾸준히 차가 들어오면 엄청난 매출을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적재함 앞에 붙은 여러 구조물들

적재함 앞으로 여러 구조물이 붙었습니다. 그리고 뒤쪽으로 공구통을 붙였습니다.

 

뚫려있던 자리에 철판을 부착하여 막아줬고, 뒤와 옆으로 파이프와 굵은 철판을 덧대어 화물이 적재함을 치는 상황이 생기더라도  적재함의 앞이 휘어지지 않고 뚫고 나와 캡까지 피해가 가지 않도록 잡아줍니다. 쉽게 얘기해서 이런 작업을 하는겁니다. 마지막으로는 도색까지 깔끔하게 해서 주네요.

 

평카고로 구조변경을 위해 적재함 문짝은 다 떼어낼 예정이고, 앞쪽의 문짝 하나만 달릴 예정입니다.

토요일 아침에 차량을 입고시킨 뒤 월요일 오후에 차를 찾아왔네요.

 

출고 전 점검

출고 전 점검을 하며 미리 출력해뒀던 초보운전 스티커를 붙여봅니다.

 

적재함 문짝은 떼어낼 예정이니 앞에 하나 붙이고, 적재함 벽에 하나 붙여보기로 합니다. 원본은 렌탈여친  사라시나 루카(更科 瑠夏). 지난 2월에 이타샤갤러리 유동닉 이용자가 기존 이미지에 선을 따서 초보운전 스티커를 만들어 붙였는데, 그 파일을 얻어서 이거저거 만들어 보다가 놔뒀던 이미지를 사용했습니다.

 

초보가 아니라 초보운전 스티커를 붙일 일은 없었지만, 큰차는 어찌보면 초보니까 문구만 조금 수정하고 사이즈도 키워서 만들어 홀로그램으로 출력했습니다.

 

떼다가 망했다.

떼어내다가 조금 망해서 '보' '운'이 정상이 아니네요.

 

중간중간 공기도 들어가있고, 여튼 그러네요. 멀리서 보면 멀쩡합니다만, 가까이에서 보면 아쉬움이 남는 스티커입니다. 너무 크게 출력했는지 붙일 공간이 저기 말곤 없어 아쉽긴 합니다만, 생각 이상으로 괜찮은 느낌입니다.

 

아마 원본이 이걸텐데..

원본은 아마 이걸겁니다.

 

이미 다른분이 선 따서 출력했던 파일을 그대로 가져다가 문구만 수정해서 붙였는데 그냥 씹덕냄새 하나 안나는 귀여운 스티커 붙인 느낌입니다. 적재함집에서 나왔는데, 작업이 잘못된 부분이 있어 조만간 다시 들어가긴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생각보다 화물차 입문도 신경써야 하는 일이 많다고 느껴지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