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제 평택-제천 고속도로를 타고 가던 길에 폐차장으로 향하던 버스를 목격하여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KD 운송그룹의 핵심인 경기고속에서 화성 안녕동에서 수원을 거쳐 분당까지 올라가는 720-2번 노선에서 사용하던 버스들이네요. 계열사들이 대부분 버스회사인 이 그룹에는 KD 오토리사이클링이라는 버스 전문 폐차장이 계열사로 존재합니다. 상태가 좋은 차량은 자가용으로 매각하거나 수출을 보낸다고 합니다만, 일단 폐차장에 들어간다는 얘기는 자동차로서의 생명을 다 했다는 이야기겠죠. 그렇게 마지막을 불사지르며 음성 생극면에 소재한 이 회사의 폐차장으로 가는 길로 보이네요.

 

2011 DAEWOO BUS BS106 F/L

마치 검은 사이드미러가 팬더를 연상시켜 흔히 '팬더곰'이라고 부르는 버스입니다.

 

차량의 길이에 따라 BS090 '로얄 미디'와 BS106 '로얄 시티'로 나뉘긴 합니다만, 좀 더 길은 버스와 짧은 버스의 차이는 확연하니 육안상으로도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측면 유리창의 개수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이 차량들은 다섯 칸인 BS106입니다.

 

버스의 내구연한은 9년이지만 연장 검사를 거쳐 최대 11년 6개월까지 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한시적으로 차령을 1년 더 늘려줬으니 12년 이상 굴릴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지요. 이 차량들은 2011년식 차량이니 기본 내구연한을 모두 채웠고 이후 검사를 거쳐 노선버스로 최근까지 운용했을겁니다.

 

현행 모델인 NEW BS 시리즈가 2012년에 출시되었으니, 11년식인 이 차량들은 사실상 팬더곰 끝물 모델입니다. 이마저도 거의 다 대차되어 이전처럼 도로 위에서 쉽사리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얼마 남지 않은 개체들도 이렇게 사라져 갑니다.

 

2011 DAEWOO BUS BS106 F/L

뒤 따라오는 버스는 좌측 헤드램프가 없네요. 그럼에도 큰 위화감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게 두 대의 국내생산 대우버스가 사라졌습니다.

 

해당 차량들은 8월 말 중국산 전기버스로 대차 되었다고 합니다. 대우버스만 주야장천 출고하던 KD운송그룹 역시 대우버스의 공장 폐쇄로 인해 고속/시외버스는 현대차를, 시내버스는 자체적으로 판매업체를 세워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우 계열 자동차 회사들의 모태가 된 신진자동차도 드럼통 버스를 만들며 성장했던 회사였고 한 때 최고로 쳐주던 버스를 만들던 회사인데 최대 고객에게도 외면받는 이 현실이 매우 안타깝게 느껴집니다.

 

최근 새 주인을 찾은 쌍용차의 회생에는 정치권도 시민들도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만, 내내 비슷하게 직간접적으로 수천 명의 밥줄이 달린 대우버스는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하고 공장 문을 닫았습니다. 몇몇 진보정당이 관심을 가져줬던 게 전부네요. 비록 기술개발에서 뒤처지며 경쟁력을 상실했지만 중국산 부품을 국내에서 조립하여 국산 버스라고 판매하는 중소업체와는 달리 그나마 현대/기아의 경쟁 상대라도 될 수 있는 이런 회사 하나가 개도국 시장용 메이커로 전락하고 70년의 역사를 함께 했던 대한민국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티스토리를 메인으로 사용하지만, 다음 블로그도 개설이 되어 있긴 합니다. 물론 거의 사용하지 않았지만요. 국내에서 티스토리는 네이버 블로그와 함께 투톱을 달리지만, 다음 블로그는 뭔가 한발 더 느리고 낙후된 이미지였습니다. 티스토리에는 나름 의욕적으로 신기능도 적용하고 했지만 다음 블로그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그대로기도 했고요.

 

딱 10년 전 2012년. 서비스를 종료하며 여러 서비스가 다음으로 이전되었던 KTH의 포털 파란(paran) 역시 블로그가 존재했습니다만, 다음 블로그 대신 티스토리에 이전되는 형태로 통합되었습니다. 당시에도 왜 다음 블로그가 아닌 초대제로 운영되던 티스토리에 통합되는지 의문을 가졌던 사람들이 좀 있었는데, 결국 다음 블로그 마저도 티스토리에 통합되어버리는 처지네요.

 

다음 블로그 메인 (https://blog.daum.net/)

9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는 공지가 큼지막하게 박혀있네요.

 

10월부터는 다음 ID 대신 사실상 전 국민이 가지고 있는 카카오 계정으로 다음에 로그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카카오 계정으로의 통합과 함께 다음 블로그 서비스가 종료되는 느낌이네요. 이러다 한메일넷과 카페를 비롯하여 대한민국 인터넷 역사와 함께 한 포털사이트 다음(Daum)이 아예 카카오(Kakao)로 개명당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블로그가 종료됩니다. 다음블로그가 티스토리로 이어집니다.

티스토리 이전 신청 페이지(https://blog.daum.net/_blog/_top/move)에 접속합니다.

 

다음 블로그 콘텐츠를 그대로 티스토리로 옮겨주는 페이지입니다. 댓글과 방명록은 이전이 불가하고 그냥 콘텐츠만 옮겨준다는 얘기네요. 다음 블로그에 크게 포스팅을 했던 적은 없었지만, 그래도 티스토리로 이전하기로 합시다.

 

다시 로그인

티스토리로 이전을 위해 다시 로그인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대로 옮겨지는 블로그 정보

이미 티스토리에 가입이 된 경우라면 운영 중인 블로그로 추가된다고 하네요.

그렇지 않다면 다음블로그 정보 그대로 티스토리에 새로 가입된다고 보면 됩니다.

 

'다음' 버튼을 누르면 티스토리로의 이전 신청을 다시 묻고, 이전 신청이 진행됩니다. 즉시 이전되는 게 아니라 이전이 완료되었다는 메일을 받아야 완전히 이전이 끝났다고 하네요.

 

이전 신청 후 다음 블로그 메인

이전 신청을 마치면 '티스토리로 이전 신청이 진행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나타납니다.

 

이 문구가 사라지면 티스토리에서 다음 블로그에 작성했던 포스팅을 볼 수 있겠죠. 이용자가 현저히 줄었지만, 지금껏 꾸준히 다음 블로그를 운영하셨을 분들도 꽤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티스토리도 떠나는 사람이 많은 마당에 언젠가는 이 서비스에서 쫓겨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저는 여기서 뼈를 묻으렵니다.

 

비록 다음 블로그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티스토리는 영원하리라 믿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