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양평의 국도변에서 목격한 트레이드 2.5톤 저상차량입니다.

사진은 가을에 촬영하였으나, 느지막에 올려봅니다.

 

 

1990 기아자동차 트레이드 (1990 KIA TRADE 2.5t TRUCK)

천안의 한 철길 아래 공영주차장. 눈에 띄는 트럭이 한 대 보입니다. 라이노처럼 생겼지만 좀 더 작은. 기아자동차의 2.5톤급 준중형 트럭인 트레이드입니다. 1988년 흔히 알고 있는 타이탄의 후속

www.tisdory.com

 

1995 기아자동차 트레이드 저상 (1995 KIA TRADE LOW DECK)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무주의 한 건재상에서 사용 중인 95년식 트레이드입니다. 트레이드는 올드카 목격담에서 많이 다뤘었죠. 특히 천안에서 목격했던 91년식 트레이드는 다음 메인에 오르는

www.tisdory.com

 

이전부터 올드카 목격담에서 꽤 많이 다뤘던 차량이기도 하지요.

 

기아자동차의 준중형급 트럭인 트레이드는 80년부터 89년까지 생산되었던 일본 마쯔다의 2세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88년부터 00년 마이티 2 기반의 파맥스로 대체되기까지 12년간 판매되었습니다. 절대다수가 수출길에 올라 사라졌고 근래까지 생존했던 개체들도 5등급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규정하여 말살시키려는 제도 탓에 꽤 많이 사라졌습니다만, 그래도 그럭저럭 보이긴 합니다.

 

오늘의 주인공인 트레이드는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중기형 모델로, 94년 8월 등록되었습니다. 경기도에 소재하여 수도권으로 묶이지만 사실상 강원도 옆에 붙어있는 군 단위 지자체인 양평군에서 조용히 세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1994 KIA TRADE

'경기 7 프' 지역번호판과 함께 그릴에는 타원형 기아 엠블렘이 붙은 차량입니다. 

 

94년식 차량의 경우 구형 로고와 신형 로고가 섞여있는 차량들이 꽤 많이 보이는데 이 차량 역시 타원형 기아로고와 함께 흔히 공장마크라 불리는 구형 기아 로고가 곳곳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1994 KIA TRADE 2.5t LOW DECK

30년 가까운 세월을 버틴 실내 상태입니다.

 

육안상 보이는 대시보드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깔끔합니다. 주행거리는 약 17만 km. 차령을 고려하면 주행거리는 상당히 짧다고 봐야죠. 이제 만 4년 1개월 지난 제 승용차도 이 트레이드보다 많은 18.4만 km를 탔으니 말이죠.

 

1994 KIA TRADE 2.5t LOW DECK

보조석 시트는 레자커버의 흔적이라도 남아있지, 운전석 시트는 스펀지가 함몰되었네요.

 

대시보드는 완벽하지만, 시트의 상태는 상당히 아쉬웠습니다.

 

천장?

천장은 내장재가 쳐져서 그러는 건지 나무로 기둥을 만들어 놓았네요.

 

직접적으로 태양열을 받는 부분이기도 하니 천장이 떨어지려고 하나 봅니다. 그래서 나무로 기둥을 만들어 내장재를 바쳐주고 있네요.

 

천장

2세대 마쯔다 타이탄처럼 캡 위에는 환풍구가 존재합니다.

 

90년대만 하더라도 에어컨이 없는 차량들이 다수 존재했기에 조금이라도 바람이 통하게 만들기 위해 열고 이렇게 환풍구가 존재했습니다. 옆 느티나무에서 진액이 떨어져서 이미 검게 변했습니다만, 그 형태는 지금껏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1994 KIA TRADE 2.5t LOW DECK

깔끔하게 제치 도색을 유지하고 있는 캡처럼 적재함 문짝 역시 조금 험해도 순정 그대로입니다.

 

따로 적재함 평바닥을 시공하지 않았음에도 나무 그늘 아래에서 대부분의 차생을 보냈는지 그럭저럭 깔끔합니다. 후진을 하며 등화관제등 자리가 닿아 찌그러지기도 했고, 안전바 자리는 쇠파이프로 보강해 뒀지만, 짐을 싣고 다니며 험하게 쓸 수밖에 없는 적재함 문짝과 후미등의 상태도 차령을 생각한다면 우수합니다.

 

Power Sreering

그 시절 자랑거리 파워 스티어링(Power Sreering)

최대적재량 2500kg

같은 시기 판매되었던 기아의 트럭들과 같은 폰트의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스티커가 붙은 자리까지 표면 부식이 올라오고 있지만, 그래도 잘 버티고 있습니다.

 

연료탱크는 타원형 기아 로고

연료탱크는 타원형 로고네요.

 

그릴과 연료탱크는 당시 기준 신형 로고. 적재함과 실내는 구형 로고가 적용된 차량입니다. 당연하게도 매연저감장치는 미장착. 작은 군 단위 동네를 돌아다니기엔 아직까지 큰 무리는 없지만, 요즘같은 계절관리기간에는 멀리 나가면 과태료 폭탄을 맞기 십상입니다.

 

1994 KIA TRADE 2.5t LOW DECK

느티나무 아래에 잘 세워져 있지만,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노후경유차의 운행을 제한하는 규제 역시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 저감장치도 없고 5등급 차량의 조기폐차 지원이 올해를 마지막으로 끝나는 만큼 머지 않은 시일 내 사라질지, 아니면 앞으로도 느티나무 그늘 아래를 지키고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부디 차생이 다하는 그날까지 큰 탈 없이 그 자리를 지켜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또 검사철이 왔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번에도 무난하게 통과하겠지 싶었으나, 불합격이네요.

 

종합검사로 바뀌고 두 번째 검사인데 이번에는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뭐 캬뷰레터 조세한지도 5년 이상 지났으니 만져줄 때도 됐지요. 검사 대기에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재검사 통보를 받고 오니 좀 그렇긴 하네요..

 

 

더 뉴 아반떼 AD 첫 정기검사

신차 출고 만 4년 차. 첫 검사를 받았습니다. 지난 2019년 7월부터 거주지가 종합검사지역에 편입됨에 따라 6년 차부터는 종합검사를 받아야 합니다만, 첫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정기검사

www.tisdory.com

 

지난 연말 삼각떼로 첫 검사를 받았던 내포현대서비스로 방문했습니다.

 

 

Tico

티코는 의도하지 않지만 관심종자가 되는 차량입니다.

 

티코를 끌고 가니 사장님부터 모두가 관심을 보입니다. 검사 접수를 하며 티코가 맞냐는 질문도 들었네요. 여튼 검사를 위해 검사원이 차량을 끌고 갑니다만, 비상등 위치를 몰라 한참 헤메다가 다른 정비사분이 오셔서 위치를 알려주시네요.

 

자동차검사 수수료

정기검사는 저렴하지만, 종합검사는 비쌉니다.

 

따로 예약을 하고 가야하는 공단 검사소로 가도 45,000원. 여기서는 59,000원을 받네요. 지자체별로 상이합니다만, 주변에서 가장 비싼 당진시의 경우 휘발유차는 65,000원. 경유차는 69,000원을 받습니다.

 

검사장 앞 티코

검차장 앞에서 대기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검사를 받는 차량들이 좀 있네요. 전조등을 비롯하여 온갖 조명은 다 켜져있고 비상등까지 켜고 있으니 전압이 상당히 딸리는 느낌입니다.

 

검사 대기

진입 대기

 

앞차 검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네요. 그간 계속 공회전을 돌리고 있습니다.

 

검사장 진입

한참 대기한 끝에 검사장에 진입했습니다.

 

대기실에서 쉬고 있는데 한참 지나서 부르더군요. 부적합이라고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물론 영업시간도 얼추 다 끝나갑니다. 슬슬 문 닫고 퇴근들 해야 하는데 더 끌고 있을 시간도 없겠죠.

 

자동차종합검사 결과표

일산화탄소와 공기과잉률에서 초과되네요.

 

귀하의 차량은 1회 부적합차량입니다. 2회 이상 부적합시에는 정비를 하시고 전문정비업자의 "정비점검확인서"를 제출하셔야 재검사가 가능합니다. 라는 도장까지 찍혀있습니다. 캬뷰레터를 볼 줄 아는 분들이 상당히 귀해져서 근처에서는 정비가 어렵고 대전이나 인천에 다녀와야 합니다.

 

거기에 시간도 촉박하네요. 설 연휴가 끼어있음에도 1월 29일까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고민의 여지가 없습니다. 당장 고치러 갈 계획을 세웁니다.

 

다음 이야기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