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 연휴 뒤 사가 후쿠오카 여행기 (3) 구루메시 조류센터(久留米市鳥類センター), 호텔 비엔토스(

설 연휴 뒤 사가 후쿠오카 여행기 (2) 치쿠고강 승개교 전망공원(筑後川昇開橋展望公園), 카노에1부 내용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설 연휴 뒤 사가 후쿠오카 여행기 (1) 출국, 마쯔다2 렌터카밀리고

www.tisdory.com

 

3부 내용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타케오에서 잠을 자고 나왔습니다. 3일차는 여러모로 일본에서 알게 된 지인들을 두루두루 만났던 하루였습니다. 먼저 타케오에서는 지난해 10월 교류회에서 알게 된 두 누님들과 만나 타케오신사와 타케오시 도서관을 구경하고 왔습니다. 구경한 뒤 후쿠오카로 넘어와 텐진에서는 그간 트위터에서 교류를 하던 키타큐슈에 사시는 타카상을 만나 함께 메이드 카페에 다녀오게 되었네요. 그 이야기를 해 보려 합니다.

 

전날 차 문을 열고 그대로 들어갔다.

 

이 맨숀의 주차장은 각 호실마다 자리가 지정되어 있었는데, 주차한다고 창문을 열고 그대로 갔네요.

 

밤에 주차선이 버이지 않아 창문을 열었었는데 그걸 모르고 들어갔다 아침에 나왔던 겁니다. 여튼 이날 아침에 교류회에서 알게 된 미호상과 쇼코상 두 누님을 만나서 제 렌터카는 놓고 누님들 차를 타고 타케오 신사와 도서관을 구경하고 왔습니다.

 

타케오시 도서관 주차장

 

신사와 도서관은 바로 지근거리에 있었습니다.

 

도서관 겸 신사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고 먼저 신사로 올라가 봅니다. 장수의 신을 모시는 타케오 신사에는 3000년이 넘는 세월동안 살아있는 거대한 녹나무가 있다고 합니다. 신사보다도 사실상 이 오래된 녹나무를 보러 오는 관광객들이 많은데, 관광버스가 있었고 중국인 관광객들이 대거 내리더군요.

 

도리이

 

도리이를 지나 신사로 향합니다.

 

세쓰분. 절분인지라 아침부터 신사를 참배하는 참배객들이 많았습니다. 마침 잘 오게 된 것이죠.

 

마지막 계단을 올라서 신사로

 

계단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쉬엄쉬엄 올라가니 금방 올라오더군요.

 

일본 서기에 나오는 전설적인 인물 타케우치노 스쿠네(武內宿禰)를 모시는 신사라고 합니다. 일본 역사상 첫 대신으로 총 여섯명의 천황을 모셨다고 하는데 그만큼 장수했기에 장수의 신으로 불리기도 한다네요. 여섯 천황의 재임기간을 따지고 보면 최소 280세 이상을 살았다는 이야기인데 실제 그만큼 장수했는지, 기록이 잘못된 것인지, 아니면 실존하지 않는 인물인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타키우치노 스쿠네를 모시고 있는 신사라고 합니다.

 

참배

 

참배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려주셔서 제대로 참배를 할 수 있었습니다.

 

두 누님들과 함께 간단히 참배를 마치고 오마모리와 쿠지를 파는 곳으로 향했습니다.

 

코이미쿠지

 

코이미쿠지를 하나 뽑았는데 나쁜 건 아니라네요.

 

이 쿠지를 뽑고 안전운전을 기원하는 오마모리를 하나 구입하여 화물차에 붙이고 다니고 있습니다. 간단히 참배를 마치고 이 신사의 자랑 3000년된 녹나무를 보러 넘어갑니다.

 

도리이를 또 건너서

 

도리이를 건너 좀 더 걸어가야 합니다.

 

御神木. 고신보쿠. 한국어로 어신목이라고 읽는데 신성시 되는 나무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신사를 참배한 참배객들이 이 나무를 보기 위해 이동하는 행렬을 따라 넘어갑니다. 그리 멀지 않습니다.

 

삼나무와 대나무 숲

 

삼나무와 대나무 숲을 지나니 거대한 나무의 모습이 살짝 보이는군요.

 

3000년의 세월을 한결같이 지켜온 나무의 웅장한 자태에 입이 떡 벌어졌습니다.

 

크기는 상상 이상

 

크기는 상상 이상. 카메라에 다 담기 힘든 수준이더군요.

 

주변에 자라고 있는 다른 삼나무 및 대나무들과 크기를 비교해 보면 짐작이 가실거라 예상됩니다. 다들 이 나무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기에 누님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내려왔습니다. 바로 내려오면 타케오시 도서관입니다.

 

하나의 놀이공간 느낌.

 

인구 5만도 채 되지 않는 작은 동네이기에 도서관의 규모는 작습니다.

 

일반 도서관과 잔디밭과 함께 어린이 도서관도 있더군요. 규모는 작은 편입니다만, 시장의 집념이 만들어낸 이 도서관은 해외에서도 관광객이 찾아 올 정도로 유명해졌고, 최근에는 코엑스의 별마당 도서관이 이 도서관을 벤치마킹하여 세워졌다고 하여 최근에는 일부러 찾아오는 한국인들도 있다고 하더랍니다.

 

유메타운 바로 옆 도서관.

 

쇼핑몰인 유메타운 간판이 바로 보입니다만, 유메타운과는 약간 떨어져 있습니다.

 

일요일 아침인지라 가족단위 관람객들도 많이 보였고, 공부를 하러 온 학생들도 있었습니다. 도서관 안에 스타벅스도 있었고요. 창가쪽으로 공부를 하거나 책을 읽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공부나 독서는 커녕 자리를 잡고 연애질이나 하는 사람들도 많았네요.

 

타케오시도서관

 

武雄市図書館

 

도서관만 보러 오기에는 상당히 작은 편이고 이게 전부인지라 오시는 김에 신사에 들러 3000년 된 고목도 겸사겸사 구경하고 가시기 바랍니다. 도서관 내부는 사진촬영이 금지되는지라 2층 규모의 도서관을 눈으로만 쓱 구경하고 나왔네요.

 

도서관 전경

 

인구 5만명이 채 되지 않는 작은 도시에 잘 지어진 도서관.

 

시민 공동체의 핵심이자 오히려 외지인을 불러일으키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모범 사례로 일본 전역에서도 널리 알려졌으며 이렇게 외국에서도 찾아 옵니다. 이렇게 찾아오는 방문객만 연간 100만 명 수준이라고 하네요.

 

2월 이벤트 인포메이션

 

2월 이벤트라고 도서관에서 열리는 문화행사나 교육에 대한 안내가 있습니다.

 

국뽕을 좀 들이키고 가셔도 좋습니다. 한국어 강좌가 무려 입문반과 중급반으로 무려 두 개나 개설되어 있습니다. 한국어 선생님이 어떤 분이라고 누님께서 알려주셨는데.. 저도 잘 아는 분이었습니다.

 

식사하러 이동

 

그렇게 도서관 구경을 마치고 빨간 야리스를 타고 식사를 하러 이동합니다.

 

라멘이 먹고싶다고 하니 좀 특이한 라멘집을 찾아가셨는데, 일반적인 큐슈 라멘이 아닌 요코하마식 라멘집에 데려가 주셨습니다. 흔히 먹는 큐슈 라멘과는 조금 다른 성향의 맛이었는데 아마 흔히 먹던 라멘과 다른 맛을 보여주기 위해 이 라멘집에 가지 않았나 생각되더군요.

 

横浜家系ラーメン 龍馬家 武雄店

 

横浜家系ラーメン 龍馬家 武雄店

요코하마가계라멘 료마가 타케오점

 

요코하마식 라멘 체인점입니다만, 나가사키 오무라에 본점이 있고 큐슈지역에만 체인점이 몇 곳 있는 요코하마와는 거리가 있는 그런 라멘 체인점이었습니다. 일단 메뉴를 주문하고 자리에 앉아 라멘을 기다립니다. 기다리며 한국의 설. 구정에 있었던 일들에 대해 얘기하고 제가 가지고 있던 봉투에 써있던 한글을 읽어보기도 하는 등 재미나게 시간을 보냈습니다.

 

교자

 

라멘보다 교자가 먼저 나왔네요.

 

교자만두를 먹으려 하니 라멘도 곧이어 나왔습니다.

 

라멘

 

3개월 이상 흘러버린지라 정확히 뭘 먹었는지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맛있게 먹었습니다.

 

큐슈지방 라멘 대비 깔끔한 국물맛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마늘을 잔뜩 넣고 먹으니 괜찮겠냐고 하시더군요. 마늘이 좋아 많이 넣긴 했는데 다행히도 그렇게 맵거나 위험한 맛은 아녔습니다.

 

여튼 라멘까지 맛있게 먹고 다음을 기약하며 헤어졌습니다. BTS 진과 백종원이 함께 세운 양조장 지니스램프 얘기가 나와서 다음에는 지니스램프에서 파는 아이긴을 사 오겠다고 했네요. 이날 서울에서 지니스램프가 있는 예산까지 어떻게 가느냐 얘기를 해 줘서 예산에 그런 양조장이 생겼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는데, 집에서 차로 딱 15분 거리니 다음에 여유를 두고 가게 된다면 꼭 챙겨 가야죠.

 

다시 후쿠오카로

 

다시 후쿠오카로 돌아옵니다.

 

2축 트레일러인데 안쪽 축이 가변축이네요. 3축 차량에서는 안쪽 축이 들리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만, 2축 차량인데 안쪽 바퀴가 가변축인 경우는 처음 봤습니다. 그렇게 고속도로를 타고 다시 후쿠오카에 돌아왔네요.

 

후쿠오카 시내

 

타케오에서는 누님들을 뵙고 점심을 먹었다면, 저녁은 X에서 알게 된 타카상과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기타큐슈에서 전철을 타고 하카타에 오셔서 텐진에서 물건을 사고 계신다기에 저는 돈키호테에서 쇼핑을 하고 기다렸습니다. 그렇게 기다리다 타카상을 만나서 가게 된 곳은... 어디까지나 제 제안이었던 메이드카페였습니다.

 

알토 카탈로그

 

제가 티코와 갤로퍼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계신지라 이런 선물을 챙겨오셨네요...

 

93년 10월 알토 카탈로그입니다. 티코와 조금은 다르지만 같은 부분도 꽤 많았고 이 카탈로그를 보며 이것도 티코와 같다 저것도 티코와 같다 이야기를 나눴었네요.

 

역시나 굿즈 계속 삼

 

한국인 호갱님이 일본인 손님을 데려오는 진풍경 속에서 또 굿즈를 샀습니다.

 

에비 파와 노아 나기. 지난주에 파와쟝 관뒀어요.. 그때 또 살짝 다녀왔었는데 일단 포스팅 밀린거나 좀 밀어내고 보자고요. 보통 일본인이 한국인 지인을 데리고 오겠습니다만, 일반적인 상황과는 반대되는 상황이 벌어지는 모습에 메이드들이 저랑 대체 어떻게 아는 사이냐고 한참 물어보더군요.

 

여튼 저 때문에 20년 만에 처음으로 메이드 카페에 와 본다고 하셨었습니다..

 

생일 이벤트

 

이 날은 노아쟝의 생일이벤트가 있었습니다.

 

웃는 얼굴이 매력적입니다. 이렇게 웃는 얼굴이 매력적이면 괜시리 호감이 느껴지더군요. 적당히 놀고 나와서 저녁을 먹게 되었습니다. 근처 이자카야에 따라갔네요.

 

주문하는 대로 나눠 먹음

 

저는 술을 마시지 않으니 밥에 우롱차만 열심히 따라 마셨습니다.

 

추천해주시는 메뉴를 열심히 먹고 또 먹다 보니 배가 차더군요.

 

사라다에 덴푸라

 

지느러미 튀김?에 샐러드까지 먹고 나왔습니다.

 

식비를 다 내주셔서 3월 말에 한국에 오셨을 때 제가 식비를 다 내드렸었네요. 여튼 3일차는 사람을 만나고 또 만났던 하루였었습니다. 5부에서 4일차 및 귀국까지의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연휴에 가족여행으로 제주도에 다녀왔었습니다.

 

뭐 저는 운전만 하고 왔고 혼자 다니는 게 훨씬 편한 사람인지라 노동을 하고 온 느낌이 강했지만, 코로나 시절에 간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가 보는 제주도였던지라 나름 재밌게 놀다 왔습니다. 원래 배를 타고 갈 생각은 딱히 없었습니다만, 3월 말에 예약을 하려 보니 비행기삯은 사실상 후쿠오카 왕복 수준이었고 그래서 배를 타고 가려 보니 목포에서 가는 배는 죄다 매진이었고 완도에서 출항하는 선박에 아주 조금 여유가 있어 완도행을 택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정확히 20년 만에 가족여행으로 차를 배에 싣고 제주도를 넘어가네요. 20년 전에는 칼로스를 타고 갔었습니다. 당시 목포에서 1만 5천 톤급의 뉴씨월드고속훼리호를 타고 갔었는데 이번에는 2만 톤급의 실버클라우드호를 타고 다녀왔습니다. 목포보다 완도행이 배를 타는 시간은 좀 더 짧습니다만, 당연하게도 차를 타고 목포보다 한 시간은 더 들어가야만 합니다. 선박 운임도 조금 저렴하지만 차를 타야하는 부담이 크지요. 

 

주유

 

8시에 출발하여 휴게소에서 대충 10여분을 휴식한 뒤 완도항에 12시가 조금 넘은 시간에 도착하였습니다.

 

14시에 출항하는 선박이고 선적해야 하는 차량이 많기에 서둘러서 오라는 문자가 있어 조금 서둘러 가긴 했네요. 그렇게 서둘러 가지 않아도 됐습니다만 완도에 여유롭게 도착했습니다.

 

완도항여객터미널

 

완도항여객터미널에 도착했습니다.

 

추자도나 기타 낙도로 가는 선박들도 운항하고 있고, 대합실을 가득 매운 인파는 연휴를 맞이하여 배를 타고 제주도에 가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완도항여객터미널

 

크고 웅장한 완도항여객터미널 건물.

 

차량 선적은 여객터미널 바로 옆 3부두에서 진행되기에 선적해야 하는 차량은 3 부두로 가면 되겠습니다. 미리 차량 운임까지 지불했다면 현장 매표소를 거치지 않고 선적 대기줄에 서서 차량을 선적하고 대합실로 돌아가면 된다고 하네요.

 

한일고속페리 현장 매표소

 

석포물류에서 운영하는 완도항 차량 및 화물 현장 매표소입니다.

 

성수기나 연휴 주말처럼 여유가 없는 날에는 따로 현장 발권을 하지 않습니다만, 평일이라면 현장에 찾아와서 운임을 결제하고 차량이나 화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세월호 사고 이전에는 과적이 만연했던지라 예매가 끝났더라도 현장에서 추가로 차를 더 넣어주곤 했었는데 세월호 사고 이후 그런 야매는 통하지 않는다 합니다.

 

실버클라우드호

 

한일고속페리의 실버클라우드호입니다.

 

원래 실버클라우드호가 완도~제주를 왕복했습니다만, 함께 한일고속페리에서 운항하던 여수~제주 항로가 폐선됨에 따라 여수에서 제주를 오가던 골드클라우드호 역시 번갈아 가며 완도항에서 운항합니다. 

 

선적대기

 

차량 선적을 대기합니다.

 

인터넷으로 예매하였기에 모바일 티켓이 왔는데, 사람의 경우 QR코드를 찍고 승선하지만 차량의 경우 리스트에 차량 번호가 있기에 간단한 확인만 거치고 선적하였습니다.

 

선적

 

제주도에 가서도 우도로 들어가는 카페리를 한번 더 타긴 했습니다만, 투싼을 배에 선적합니다.

 

렌터카가 넘쳐나는 제주도에서 렌터카가 아닌 현지인 코스프레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선적완료

 

차량 선적을 마쳤습니다. 결박은 이후 직원분들이 오셔서 진행했습니다.

 

선적 후 배에 머물 수 있는 게 아니라 하선하여 승선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고 합니다.

 

일단 하선

 

사람 역시 개찰구를 지나 이 계단으로 승선했습니다.

 

다시 대합실로 돌아와 대기한 뒤 승선이 시작되자 개찰구에 줄을 섰습니다.

 

개찰구

 

승선권과 신분증을 제시하고 승선권의 QR코드를 찍은 뒤 개찰구를 지납니다.

 

개찰구를 지나서 선박 탑승 직전에 한 번 더 검표 및 본인확인을 진행합니다.

 

승선

 

한일고속페리의 실버클라우드호에 승선합니다.

 

2018년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한 국산 선박이라고 합니다. 20년 전 목포에서 탔던 뉴씨월드고속훼리호는 일본에서 굴리다 넘어온 중고 선박이라 일본어 안내문도 꽤 많이 붙어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배는 순수 국산이자 겨우 선령 7년차의 선박이었습니다. 세월호 사고 이후 중고 여객선들을 대거 새 선박으로 대체했는데 이 실버클라우드호가 국내기술로 건조된 첫 선박이라고 그러네요.

 

에스컬레이터

 

배 안에 에스컬레이터도 있고 엘리베이터도 있습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4층과 5층의 객실로 찾아 들어가면 됩니다. 갈 때는 3등 객실을 예매했고 오는 편은 1등실을 예약했습니다. 차라리 갈 때 역시 1등실을 예약하는게 속 편할 뻔 했습니다.

 

3등객실

 

3등객실입니다.

 

출항 전에 배정된 객실에 사람들을 모두 밀어넣습니다. 출항 후에는 자유롭게 갑판에 올라가기도 하고 복도에 박스를 깔고 시간을 때우는 사람들의 모습도 볼 수 있고요. 그나마 일찍 들어와서 좋은 자리를 차지하여 누워서 쪽잠이라도 자고 갈 수 있었습니다.

 

쪽잠을 자다 일어나서 갑판구경을 다녀왔습니다.

 

갑판 위

 

바람이 매섭게 붑니다만 망망대해는 평화롭습니다.

 

섬들

 

출항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지라 청산도같은 완도 주변 섬들이 보이더군요.

 

사람 많다

 

낮시간대에 날씨도 괜찮으니 갑판 위 벤치에 앉아 여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제주도 간다

 

완도에서 #제주도 간다

 

이 조형물 앞에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바람이 매서워서 추운지라 다시 들어왔습니다.

 

안내실

 

선내에 안내실도 있고 매점도 있고 오락실도 있고 카페도 있었습니다만..

 

사람이 많은 관계로 그냥 쓱 구경만 하고 다시 방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래도 2시간 30분만 가면 도착이라 시간 때우기는 어렵지 않더군요.

 

아리온 제주

 

제주항에 거의 다 도착하여 제주도가 보입니다. 그리고 녹동항으로 가는 아리온호가 보이네요.

 

삼천포항에서 다니는 오션비스타 제주를 제외하곤 다 전라도에서 제주를 오가고 있습니다. 그렇게 구경을 얼추 마칠 즈음 차량을 선적하신 고객님들은 차로 돌아가서 대기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왔습니다. 그렇게 차로 돌아갑니다.

 

한참 기다림

 

안내방송이 나와 차로 복귀한 시점에서도 약 40여분을 기다린 뒤 하선했습니다.

 

하선

 

제주항 6부두로 들어와서 하선했네요.

 

우루루 차들이 몰려 들어오니 일대 교통이 상당히 혼잡했습니다. 숙소는 서귀포인데.. 또 서귀포까지 한 시간 가까이 가야 합니다. 늦은 오후 시간대. 대충 체크인을 마치고 주변에서 밥을 먹기로 합니다.

 

지옥정체

 

제주 시내의 지옥정체를 뚫고 서귀포로 넘어갑니다.

 

2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