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85건

반응형


대략 7년 만에 다시 도전했던 방통대 생활의 첫 학기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마무리 했습니다.


사상 초유의 코로나 사태로 출석수업과 출석시험이 모두 사라져 과제물로 변경되었지만, 막상 하다보니 과제물이 답이 안나오더라도 시험보다는 훨씬 수월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뭐 여튼 첫 학기를 마치고 두번째 학기의 등록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미 21학점에 맞춰 수강신청을 완료했고, 1학년 2학기 과목과 2학년 교양과목 하나를 더 해 총 7과목을 수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8월 3일부터 6일까지의 등록기간에 등록금을 납부하면 사실상 2학기에도 학교에 다닐 수 있습니다.




성적우수 격려 장학금이라고 26,800원을 빼주네요.


말이 격려장학금이지 사실상 성적 상위 50% 안에 들어가는 학생 모두에게 다 주는 그저 그런 혜택입니다. 뭐 성적우수 격려 장학금이 없더라도 크게 부담가는 금액은 아니지만 말이죠. 2학년 교양과목인 취미와 예술을 추가 수강하여 교양과목만 네개. 전공과목은 세개가 있습니다.


다 뭐 흥미로워보이는 교과목의 교양과목들이지만, 이번 학기 교양과목에 대학영어가 끼어있네요. 사실 학과 커리큘럼을 보고 수학보다는 영어가 낫겠지 싶어 선택하기도 했었는데, 그래도 수학보다는 조금 낫다는 얘기지 영어도 썩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차선책으로 선택한게 영어니 뭐 잘 버텨보기로 합시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등록금은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체국의 가상계좌로 납부하거나,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로 납부 할 수 있습니다. 다섯개의 금융기관 중 삼성카드 말곤 거래를 하고 있지 않다보니 삼성카드로 납부하기로 합니다.



삼성카드 홈페이지 좌측 상단의 전체메뉴를 클릭하면 우측 상단에 대학등록금 납부 메뉴가 보입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한 뒤 인증을 한번 더 한 다음 등록금을 납부할 대학을 선택하고 학번과 이름을 기입한 뒤 등록금을 납부하면 됩니다. 추후 국가장학금을 받게 된다면 교재비나 기타 경비를 제외하고 환급이 되는 돈이지만, 이미 1학기때 소득 10분위로 낙인찍혀 국가장학금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여튼 방송통신대학교 학생들에게 지급되는 국가장학금은 1유형만으로도 1분위부터 8분위까지는 전액. 9분위는 한 3~4만원 수준만 부담하면 됩니다. 물론 여러모로 사회생활을 하며 학습을 병행한다는 일이 쉽지만은 않습니다만, 금전적인 부담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등록금 납부를 위해 한번 더 인증을 진행합니다.


앱카드 인증 혹은 카드의 유효기간과 비밀번호 CVC를 입력해야 합니다. 마침 카드가 키보드 옆에 있어 카드인증을 진행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신청 정보를 입력합니다. 등록금을 납부할 학생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입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전국에 학습관을 두고 있고 말 그대로 방송과 통신을 활용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학교인지라 크게 입지적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만, 대학본부가 4대문 안. 대학로에 자리잡고 있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으로 분류됩니다.


방통대생에겐 과분한 대우입니다만, 형식상으론 서울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에 다니는 취급을 받습니다.



학번과 이름을 입력하니 학생 정보와 함께 납부해야하는 등록금과 선택사항이 나타납니다.


필수 납부금인 등록금을 제외하면 교재대금과 학보대금 학생회비 발전후원금은 모두 선택입니다. 1학기에는 모두 다 납부했지만,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으니 교재대금과 학보대금만 납부했습니다. 불철주야 고생하시는 방통대 학생회 구성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죄송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다음 학기에는 꼭 납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렇게 450,600원을 3개월 무이자 할부로 결제했습니다.


학교와 학번 학생명 그리고 납부금액을 확인한 뒤 전송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한 다음 신청하면 모두 끝입니다.



납부서비스의 신청과 동시에 카드 승인 문자와 방통대의 등록금 납부 확인 문자가 도착합니다.


차라리 엄한곳에 쓰느니 뭐라도 배우는데 쓰는 돈이 아깝지 않지요. 아무래도 코로나 여파로 2학기 역시 출석수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리라 느껴집니다만, 일단 2학기도 열심히 해 보도록 합시다. 주변에 방통대 입학을 권유하고 다닙니다만, 막상 발을 내딛기가 쉽지 않게 느껴지는듯 합니다.


처음이 어렵지 그 고비만 넘기면 상대적으로 수월합니다. 방통대 선배들도 1학기 강의 초반의 많은 교수님들도 같은 얘기를 꺼냅니다. 막상 돌아보니 별 거 아닌 느낌이기도 하고요. 방통대의 문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큰 부담 없는 학비에 국가장학금을 받으면 사실상 교재비만 내고 대학을 다니는 것과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기존에 사용하던 필립스 전기면도기가 떨어뜨린 뒤 망가졌습니다.


그동안 일회용 면도기로 연명하다 전기면도기를 새로 구입했습니다. 저는 뭐 이거나 저거나 쓰는대로 사는 사람인데, 전기면도기만 고집하는 분들은 전기면도기만을 고집하기도 하더군요. 전기면도기의 장점은 일단 편안하고 안전하고 장소를 가리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가장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10여년 전 2002년 월드컵의 주역 중 하나인 이영표가 3년간 몸 담고 있었고, 지금은 손흥민이 소속된 프리미어리그의 명문 구단인 토트넘 홋스퍼 FC의 로고가 붙어있습니다. 그렇다고 유니폼도 아니고 직접적으로 이런 전기면도기까지 토트넘 구단에서 생산하여 굿즈식으로 판매하는건 아니고요. 뭐 다 그렇듯이 업자들이 상표권을 구입해서 찍어내는 그런류의 제품입니다.



토트넘 로고와 함께 면도기의 일러스트 이미지가 붙어있습니다.


대략 6만원대에 사은품까지 들어있는 구성인지라 토트넘을 응원하는 팬들에게는 부담이 가지 않는 선에서 좋은 선물이 될 것 같습니다. 생산지는 영국이 아닌 중국이고요. 면도기 본체에 배터리 충전잔량이 표기되고 토트넘 로고가 붙어있습니다.



구성품입니다. 꽤나 알찹니다.


충전기 선과 본체 그리고 도크처럼 활용이 가능한 거치대와 휴대용 파우치 그리고 사용설명서가 보입니다. 이외에도 활용빈도는 적지만 브러쉬와 이발소와 미용실에서 볼 수 있는 바리깡이라고 하는 트리머와 캡 그리고 코털깎이와 세척용 브러쉬가 들어있습니다. 


뭐 이렇게 구성품을 많이 챙겨줘도 활용빈도는 매우 적을겁니다.



전에 쓰던 필립스 면도기는 날이 두개였는데, 이건 날이 세개네요.


확실히 입체적으로 턱과 볼에 닿는지라 면도작업이 훨씬 수월하긴 합니다. 보통 처음에는 조금이라도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는데 바로 전원버튼을 눌러보니 바닥이더군요. 결국 충전부터 하고 사용하기로 합니다. 물론 충전기 선을 그대로 본체에 꼽아도 됩니다만, 도크에 꼽아놓아도 충전이 됩니다.



충전잔량이 표시됩니다. 최대 99%.


무게는 종전에 사용하던 필립스 제품보다 훨씬 가볍습니다. 거기에 날이 세개라 두개짜리 날을 사용하던 시절보다 훨씬 수월하게 면도를 할 수 있네요. 뭐 바리깡이라던지 다른 구성품들은 딱히 쓸 일이 없겠습니다만, 면도기만이라도 이번에는 부디 오래 사용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여튼 새 전기면도기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