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0건

반응형

 

판매기간이 가장 길었던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트럭을 제외하곤 8~90년대 트럭들 중 가장 많이 보이는 차량을 꼽자면 쌍용 SY트럭이 아닐까 싶습니다. 93년부터 98년까지 상당히 짧은 기간 동안 판매되었음에도 당시 고만고만하던 일본 회사의 라이센스 트럭들 사이에서 독일 회사 중 최고로 치는 벤츠와의 기술제휴로 탄생한 차량인지라 엔진의 성능과 내구성이 월등했다는 이야기라 보면 되겠지요.

 

IMF 즈음 트럭과 버스의 생산을 종료한 쌍용이 최근 KG그룹에 인수되어  KG모빌리티로 사명을 바꾸며 특장차 사업에 진출한다고 선언했는데, KG 브랜드를 달고 나오는 대형 상용차가 나올지도 모르는 일이라 기대가 됩니다.

 

이전에도 SY트럭은 종종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곤 했습니다만, 최근 들어 18톤 이상 대형급 SY트럭들이 자주 보여 사진으로 남겨두었는데 몰아서 포스팅 하기로 합니다.

 

 

[목격] 1995 쌍용 SY 카고트럭/1996 대우 뉴 프린스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충북 음성에서 목격했던 쌍용 SY트럭과, 노원검사소 인근에서 목격했던 뉴프린스입니다. 아주 잠깐 지나쳤던 차량들이기에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진만 보여드리고 가기

www.tisdory.com

 

1997 SsangYong ST69t 6X4 TRACTOR

먼저 공장 안에서 상차 하는 모습을 목격하게 된 97년형 트랙터입니다.

가장 보기 귀한 트랙터 모델에 상태도 매우 준수합니다.

 

최후기형에 속하는 모델인데 주로 단거리 운행을 하는 15t 덤프들을 제외하고 근래 목격한 쌍용트럭들 중 갖아 좋은 상태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휠하우스 발판 자리의 탑 끝부분에서 녹이 약간 올라오긴 하지만, 26년의 세월을 사시사철 도로를 누볐음을 생각하면 당시 방청수준도 그렇고 관리까지 매우 우수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340마력의 OM442A 엔진과 16단 ZF 수동변속기가 조합된 파워트레인으로 최대 69t의 견인능력을 자랑하는지라 당대 경쟁 차종 대비 가격이 상당히 비쌌음에도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지금까지도 수출 혹은 폐차장에 간 개체들이 대다수입니다만, 저감장치를 부착하고 잘 달리고 있습니다.

 

18톤 후축 조합

다음은 새 적재함을 올린 후축 SY18t입니다.

18톤 트럭으로 출고하여 조향까지 되는 후축을 달고 다니는 차량으로 보이네요.

 

물론 순정 25톤 모델이 존재하긴 합니다만, 중간에 추가되었고 대부분 18톤 차량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23톤~25톤으로 구조변경을 하여 다니는 차량들입니다. 대부분 당시 25톤 10x4 차량들처럼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였으나, 이렇게 후축을 장착한 차량들도 아주 간간히 보이기도 합니다. 후축이 요즘 수입트럭들처럼 조향까지 되기도 하는 차량들도 있더군요.

 

앞으로도 수년 더 운용하시려고 새 적재함으로 교체하신듯 보입니다. 이런 투자를 감행하실 정도면 당연히 저감장치도 장착되어있겠죠. 앞으로도 무탈히 달리길 소망합니다.

 

1994 SsangYong ST18t 10x4 Cargo

다음은 94년 1월 등록된 초기형 SY18t 카고입니다.

 

이 차량 역시 18톤으로 출고되어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한 차량으로 고속도로를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초기형 모델에 해당합니다만, 단종 직전 모델과 외관상의 큰 차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마 주행거리계가 세바퀴 이상 돌아갔겠죠.

 

기본 500마력대 이상인 요즘 트럭들에 비하면 저출력이고 언덕에서 빌빌 기어가는 낡은 차량에 저감장치를 부착하였음에도 차알못들에게 미세먼지의 주범이자 적폐 취급을 당하긴 합니다만, 내연기관의 종말까지 앞으로도 대한민국 물류 수송의 주역으로 도로 위를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신차 출고 후 통산 26번째 엔진오일 교체입니다.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0304 더 뉴 아반떼 펑크수리 + 엔진오일 교환

2019.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환 + 현대블루핸즈 홍성오관점

2019.08.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19.10.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1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12.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배터리점검 + 내포현대서비스

2020.02.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1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오일누유

2020.03.3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3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20.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527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07.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보증수리(헤드램프 교체)+블루기본점검+브레이크액 교체

2020.09.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903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10.2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DCT 미션오일+중국산 타이어 교체

2020.12.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216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내포현대서비스)

2021.02.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215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내포현대서비스

2021.04.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4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연료필터 교체

2021.06.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기본점검

2021.07.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1.09.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타이어 펑크 수리

2021.11.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1102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01.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핸즈 고대점

2022.05.0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5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라핀 테크 드라이브 5W30

2022.07.1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71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발보린 터보 FX 0W30

2022.09.1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90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1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디젤 연료필터, 엔진오일 교체

2023.01.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30119 더 뉴 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체

 

230119 더 뉴 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체

신차 출고 이후 통산 25번째 엔진오일 교체작업을 진행했습니다.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

www.tisdory.com

 

1월에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약 60일 만에 다시 교체합니다.

 

보통 2개월/7000km 주기로 교체했는데, 7000km를 도달했음에도 요즘 일이 바빠 시간이 잘 나지 않기에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토요일에 차량을 수레카서비스에 입고하여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차량 입고

차량을 입고했습니다.

 

옆 봉고의 작업이 꽤 오래 걸릴 거 같은 느낌이라 차를 밖에 세웠는데 사장님이 먼저 해주신다고 하셔서 바로 정비고로 들어가네요. 엔진오일은 기존에 사용하던 발보린 터보 FX 0W 30을 계속 사용하기로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확인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해 줍니다.

계절이 바뀌는 시점이라 잘 챙겨줘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맞춰주고 지난번 브레이크 디스크 및 패드 교체 후 패드의 편마모 여부를 확인합니다. 또 우측 캘리퍼의 안쪽 패드가 조금 덜 닳긴 했다고 합니다만, 크게 문제 될 수준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도 몇 년은 더 탈 수 있다는 얘기겠지요.

 

애초에 신차 출고 당시부터 20만 km 전후로 타고 큰돈 들이기 전에 차를 바꿀 생각을 했던지라 신차 계약을 해두긴 했습니다만, 데일리로 타기엔 조금 부담 가는 차를 계약해 둬서 아마 새 차가 나오더라도 디젤 삼각떼를 계속 굴릴 확률이 높습니다.

 

드레인 완료.

엔진오일 배출을 마치고 새 오일을 주입한 뒤 시동을 걸어줍니다.

 

클러치 디스크 상태를 확인해달라고 하니 시동을 걸고 스캐너를 물어서 확인해주시네요. 약 5~60% 남았다고 합니다. 지난해 대비 좀 많이 닳은 느낌이긴 합니다만, 20만 km 가까이 타면서 그래도 별 문제 없이 타서 다행이네요.

 

오일값이 올랐다.

모든 정비를 마치고 결제의 시간이 왔습니다만, 오일값이 올랐습니다.

 

1월에는 작년 가격을 받으셨다고 하시네요. 1월 대비 6,600원 인상되었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현대 순정 엔진오일(에코 프리미엄 디젤)로 교체하면 10만 원이 넘어갈거라 합니다. 그리고 블루핸즈에 가면 약 12~13만원정도 할거라고 하네요. 안그래도 보증이 한참 남은 휘발유 투싼(NX4)이 블루핸즈에서 가솔린 엔진임에도 13만원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거 뭐 현대기아 차값도 엄청 올려놓더니만 유지비도 수입차와 가까워지려고 하고 있습니다.

 

교체 후 주행거리

다음 교환 주기는 197,269km. 20만 직전에 한 번 더 교체하게 되는군요.

 

그래도 무탈히 20만 가까이 달려왔습니다. 다음 교체 전까지 문제 없이 탈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