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39건

반응형

 

우연히 볼트 EV와 EUV가 싸다는 글을 보고 대우의 전기차 볼트를 계약했습니다.

기존에 계약했던 GR86은 기약도 없어서 결국 취소했네요.

 

DAEWOO NEW BOLT EV

왜 그간 나라에서 돈도 퍼주고 전용 주차구역도 제공해 주며 특권계층 대우를 받아가며 유지비 싸서 타는 주제에 이상한 선민의식을 가진 가짜 친환경 전기차 차주들과 민원전쟁을 펼치고 다녔던 적폐 디젤차 찬양론자인 제가 그런 천상계 황족이 되겠다는 생각을 갑자기 하게 됐냐면 대우의 전기차 폭탄할인으로 차량 가격만 봐도 정말 메리트가 있었습니다.

 

보조금이 박한 수도권 기준으로 실구매가 3000만 원을 찍는데, 그보다 더 많은 보조금을 주는 지방에서 2000 중후반대에 살 수 있으니 그 돈이라면 나도 나라에서 돈도 주고 주차장도 퍼주는 그런 황족이 되겠다 결심했습니다. 나라에서 퍼주는 돈을 받고도 4000만 원씩 주고 사는 그런 특권계층의 고급 자동차를 어중간하게 옵션 넣은 아반떼 가격에 살 수 있으니 아무리 그래도 눈이 안 돌아가겠습니까? 

 

이번달 기준으로 볼트 EUV는 콤보할인 300만 원에 추가할인 150만 원까지 가능하고, 볼트 EV의 경우 22년식 재고의 경우 인상 전 가격에 동일한 할인이 적용됩니다.(23년형 대비 300만 원 추가 할인 효과) 늦은 밤 우연히 그런 글을 봤고 다음날 아침 대우차 영업사원에게 전화를 걸어 계약까지 마쳤습니다.

 

고쳐도 또 고장 나는 젠트라에 질려 다시는 대우 승용차 안 산다고 하다가 또 대우차를 계약했습니다.

타타대우도 사봤으니 대우버스만 구입하면 대우자동차 그랜드슬램을 모두 달성합니다.

 

계약 전 총 세 가지 차량을 고민했습니다.

 

22년형 볼트 EV 재고

23년형 볼트 EV

23년형 볼트 EUV

 

EV는 일반적인 볼트. EUV는 약간 더 큰 SUV 느낌의 차량입니다. EV는 테크 패키지를 추가해야 안전사양이 적용되며 EUV는 기본사양으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EV의 경우 테크패키지에 스피커나 기타 편의장치가 포함되어 있지만, EUV의 경우 썬루프와 전자식 룸미러와 스피커가 묶여있습니다. 아 참고로 통풍시트는 EUV에서만 기본적용입니다. 순정 내비게이션 옵션이 존재하나 사실상 거의 선택하지 않으니 그 부분은 논외로 칩시다.

 

그리고 하나씩 견적서를 받아 확인했습니다.

 

먼저 22년형 볼트 EV 재고입니다.

 

볼트 EV 22년형 견적서

22년형 볼트의 기본 차량가격은 41,300,000원.

사실상 필수 옵션인 테크 패키지를 추가한 가격은 43,100,000원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지원금을 주는 경남 거창군을 제외하고 그다음으로 많은 지원금을 뿌리는 지역이 동일한 지원금의 충청남도 지자체들입니다. 볼트 EV 기준 보조금은 1298만 원이 책정되네요. 거기에 쉐보레 할부를 이용하면 할인해 주는 콤보할인 300만 원이 할인됩니다.

 

그럼 총 할인금액은 1598만 원. 1600만 원 정도 되네요.

실제 구매 가격은 2712만 원입니다.

 

급속충전 시 약간의 속도 차이 말곤 별다른 차이가 없는 23년형의 차량 가격이 300만 원이 인상되었는데 인상분까지 감안하면 총 할인금액은 1900만 원 정도 됩니다.

 

재고는 견적 당시 흰색 20대 아이스 블루 15대 정도 남아있었다고 합니다. 아마 눈물의 폭탄할인으로 이번달 늦어도 다음 달 안에는 다 떨어 버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대우 볼트 EV 23년형 견적서

23년형 차량의 견적서입니다.

 

보조금과 할인이 동일하게 들어가는데 차량 가격이 300만 원 비싸네요.

22년식 대비 딱 300 더하면 됩니다. 실제 구매 가격은 3012만 원입니다.

 

볼트 EUV 견적서

볼트 EUV의 견적서입니다.

 

볼트 EV와 동일하게 보조금과 콤보할인이 들어가고 추가할인이 150만 원 더 들어갑니다. 그래서 실질적인 차량 가격은 볼트 EV보다 300만 원 정도 비싼데, EUV에는 테크 패키지에 들어간 안전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되니 별다른 옵션 선택 없이 견적을 냈습니다. 그러니 EV와 큰 차이가 없네요.

 

실제 구매 가격은 3042만 원입니다.

 

진짜 큰 차이 없으면 EUV 사는 게 맞습니다. 거기에 선루프와 스피커 전자식 룸미러가 묶인 155만 원짜리 밸류 플러스 옵션을 추가하면 차량 가격은 3197만 원이네요.

 

자. 견적서를 놓고 보니 고민이 됩니다.

 

준중형 세단이나 SUV 가격에 구매가 가능한 최대할인 22년식 볼트 EV를 구매하느냐..

이왕 사는 거 그래도 통풍시트도 기본으로 들어가는 EUV를 사느냐..

 

막상 EUV를 구매한다면 썬루프나 전자식 룸미러는 필요 없어도 스피커 옵션 정도 원하는데 그거 때문에 후회할 거 같고 막상 옵션을 넣고 출고한다면 22년식 EV와 500만 원 가까운 차이를 보이는데 가성비를 중시하는 도태인생에 가성비 떨어지는 짓은 하고 싶지 않아 결국은 22년식 볼트 EV로 결정했습니다.

 

어차피 또 20만 km 이상 타면 딜러도 매입을 꺼리고 감가 팍팍된 애물단지 차량이 되어있을 텐데 몇십만 원 차이도 아니고 수백만 원 차이면 그냥 가장 저렴한 차 사는 게 맞죠.

 

쉐보레 당진대리점

점심으로 추어탕을 먹고 영업소에 와서 계약서를 작성합니다.

 

그래도 요즘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어 쉐보레 영업소에도 활기가 돋는 느낌입니다. 거기에 볼트 할인까지 있으니 영업소에 볼트 할인과 관련된 문의전화도 들어오더군요. 전시장에는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제외하면 다 미국산 대우차였지만, 다시 국내생산 대우차가 전시장에 많아지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대우차 재구매 할인까지 받으니 2692만원

재구매 할인(쉐보레로열티)까지 포함해서 견적을 다시 내니 2692만 원까지 떨어지네요.

 

어디 중국산 초소형 전기차도 아니고 메이저 메이커인 대우의 전기차가 이 가격이면 그냥 가격이 모든 단점을 상쇄한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올해 생산 중단하고 단종된다고요? 그래도 이 가격이면 괜찮습니다. 중고차 가격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말 그대로 극한의 가성비와 가격만 보고 사도 만족스러운 차량입니다.

 

5년 전 전기차 뽕에 들려 볼트 EV를 계약해 놓고 추첨에 떨어져 포기했었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특별한 할인은 없었고 전기차 구매 보조금만 2000만 원이 나오던 시절이었는데 프리미어에 세이프티 패키지만 적용해서 견적을 냈던 실구매가는 2800만 원선이었습니다. 그보다 더 저렴합니다.

 

 

[잡담] 쉐보레 볼트EV 계약 + 홍성군 전기차 민간보급사업 공고

전기차 이야기를 좀 해보려 합니다. 2세대 전기차의 등장으로 주행거리도 서울에서 부산까지 갈 수 있는 수준으로 늘어났고, 살고있는 아파트 단지에도 파워큐브(콘센트형 충전기)와 에버온 완

www.tisdory.com

 

180914 홍성군 전기자동차 보조금 대상자 추첨 참관

기다리고 기다리던 9월 14일이 찾아왔습니다. 대우 아니 GM의 전기차 볼트EV를 계약하고 손꼽아 기다려 왔던 날인데, 뭐 결과는 먼저 요약하자면 참담했습니다. 대기자 축에도 끼지 못했네요. 결

www.tisdory.com

 

대우가 아닌 자칭 미제 고오급차 쉐보레 사는데 대우차 구매 기록으로 할인이 된다.

 

그리고 쉐슬람들은 미제 고오급 브랜드 쉐보레는 대우가 아니라고 부정하지만, 대우가 개발하고 GM이 전 세계에 쉐보레 마크를 붙여서 팔아먹은 대우의 소형차 칼로스 구매이력으로 20만 원까지 할인받았습니다.

 

93년 대우자판 출범 이후 전산 기록이 남은 차량이라면 다 할인이 된다고 하니 쉐슬람들이 자칭 미제 고급 브랜드와 엮이는 것도 수치로 여기며 엠블럼조차 달아주지 않던 다마스 라보의 구매기록도 고급차와 거리가 먼 국민차 티코와 마티즈의 구매이력도 미제 고급차 재구매 할인이 들어가게 되는겁니다.  

 

사실 전기차 볼트 자체가 한국 GM 주도로 개발되었고, 배터리팩은 한국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출되어 조립하던 차량입니다. 사실상 부평공장에서 만들어야 맞았을 차량을 미국에서 만들었을 뿐이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우리 쉐슬람들은 미국산 전기차라고 물고 빨고 미국차 만세를 외치기 바쁩니다.

 

저는 당신들이 미제 고오급 브랜드라 생각하는 쉐보레를 단 한 번도 미국차라 생각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겁니다. 캐딜락도 그냥 고급 대우차로 보여요. 정통 미국산 차량인 트래버스 타호 콜도라도 이런 차량들도 그냥 미국생산 대우차라 생각할 뿐이지 쉐보레라고 부르지 않고 꼭 차량 명칭 앞에 대우를 끼워 부릅니다. 영업소에 가서도 다 대우라고 불렀습니다. 차 나오면 진지하게 미제 십자가 떼어버리고 GM대우의 돼지코 엠블럼 붙이고 다닐 생각 하고 있습니다. 그분들 보시면 거품 물고 쓰러지겠죠.

 

계약 유의사항 안내문

계약 유의사항 안내문까지 적고 돌아왔습니다.

 

바로 될 줄 알았는데 7월부터 하반기인지라 하반기 공고가 떠야 출고절차를 밟을 수 있다고 하네요. 물론 차는 평택항에서 언제쯤이면 주인을 만날까 애타게 기다리며 비바람을 맞고 있을겁니다. 7월중에 공고가 뜬다고 하는데, 늦어도 7월 말이나 8월 초에는 출고가 될 거라 하네요.

 

신차 구매 계획이 있으시거나 전기차 구매 계획이 있으시다면 꼭 한번 견적 내보시고 긍정적으로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아이오닉5 깡통을 아무리 싸게 사도 실구매가 3000만원대 밑으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지금은 판매하지 않는 코란도 이모션도 3000만원대 초반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초소형 전기차가 아니라면 400km 이상의 주행거리에 이 가격대 전기차는 없을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본격적인 장마철이 찾아왔습니다.

 

지난번에 전륜타이어만 먼저 교체했었고, 장마철이 오면 후륜 타이어도 교체해야지 했었는데 4월에 교체하고 얼추 1만 km 가까이 탔더군요. 마른 노면에서도 후륜이 쭉쭉 밀리는 느낌인데 마침 후륜 타이어에 펑크가 나서 공기압이 새고 있기에 현시점에서 타이어를 교체해 줬습니다.

 

 

더 뉴 아반떼 타이어 교체 (넥센 엔프리즈 AH8 225/45R17)

타이어를 교체했습니다. 네 짝 다 교체하려다가 일단 앞 두 짝만 교체하고 왔네요. 장마철 즈음에 뒷 타이어도 같이 갈아주면 다음 교체주기에는 다른 차를 타고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 이번에

www.tisdory.com

 

공기압 경고등

또 공기압 경고등이 떴습니다.

 

장마철이 시작되는 시점인지라 시기도 적절했고, 기존 전륜 타이어를 약 1만 km 정도 탔으니 뒤로 보내주고 앞에 새 타이어를 끼우면 될 것 같습니다. 며칠 전부터 타이어를 트렁크에 넣고 다녔었는데, 토요일에나 시간이 생겨 교체를 위해 카센터를 찾았습니다.

 

225-45-17

넥센 엔프리즈 AH8 225/45R17

삼각떼 17인치 휠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나오던 OE타이어입니다.

 

성능은 그럭저럭 무난했고 임판 탈거 타이어를 상당히 저렴하게 구입해 왔습니다만, 내내 장착비로 쓴 돈을 생각하면 그냥 새거 사서 장착하는 것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아마 삼각떼를 타며 위치교환은 있을지 몰라도 마지막 타이어 교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기존 후륜 타이어

4월과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습니다.

 

마른 노면에서도 뒤가 미끄러지고, 지렁이를 박기엔 아까우니 과감히 교체하기로 합시다.

 

교체진행중

교체작업이 진행됩니다.

 

후륜 휠타이어는 떼어내어 탈착기 앞으로 보내고 전륜 휠타이어를 후륜으로 보내놓습니다. 그리고 기존 타이어를 탈착하고 새 타이어를 끼워줍니다. 작업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진행중

전륜 타이어만 후륜으로 옮겨놓은 휑한 상태로 있습니다.

 

보증기간이 남았던 시기에 배선을 교체했던 전방감지센서는 보증이 거의 다 끝난 시점에서 죽은 지 오래였고, 얼마 전부터 후방센서도 점검이 필요하다는 문구가 뜨며 죽어버리더군요. 숨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판매 시에도 무조건 감가가 생기는 부분이라 나중에 가서 고치긴 해야 합니다. 참 골치 아프네요.

 

진짜 한 달에 한번 꼴로 크고 작은 고장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냥 한 15만 km 정도 타고 팔아버리는 게 현명한 선택이 아닌가 싶습니다. 딱 20만 넘어가니 어디서 뭐가 터질지 모르겠습니다.

 

교체완료

교체작업은 금방 끝납니다.

 

더러웠던 휠도 타이어의 탈부착과정에서 조금 닦였네요. 바로 기름 넣고 자동세차라도 들어갔긴 합니다만, 장마철에는 차량이 금방 더러워지니 세차조차도 귀찮습니다.

 

정비명세서

34,000원을 결제하고 왔습니다. 짝당 1.7만 원 수준에 교체했네요.

 

1만 km 탄 타이어와 새 타이어의 느낌은 사실상 큰 차이가 없습니다. 교체 후 느낌은 그저 그렇네요. 이러나 저러나 종전처럼 무탈히 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