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39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4년 12월에 등록된 2세대 그랜저. 뉴 그랜저입니다.

일본 미쓰비시와의 공동개발로, 미쓰비시에서는 3세대 데보네어로 판매되었습니다.

 

이전에도 준수한 상태의 뉴그랜저를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루곤 했었죠. 다만 이 차량은 상태가 그리 준수하지는 않습니다만, 한자리 지역번호판에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랜저 역시 3세대 모델인 XG까지 제한적으로나마 수동변속기의 선택이 가능했지만 실제로 목격하기는 정말 오랜만이네요.

 

 

[목격]1996 현대자동차 뉴그랜저 2.0 (HYUNDAI NEW GRANDEUR)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울 뚝섬 근처에서 목격했던 96년 7월에 등록된 97년형 뉴그랜저 2.0입니다. 한국에서는 2세대 그랜저, 일본에서는 3세대 데보니아로 파생모델인 다이너스티는 2005년까지

www.tisdory.com

 

1993 현대자동차 뉴그랜저 3.0 (1993 HYUNDAI NEW GRANDEUR 3.0)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보령(대천)의 신도심인 명천동 일대에서 목격한 뉴그랜저 3.0입니다. 경기37. 경기도 부천시에서 발급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목격 된 곳은 충청남도 보령시

www.tisdory.com

 

1997 현대 뉴그랜저, 1994 쌍용자동차 코란도 롱바디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짧막하게 보고 지나가 사진이 몇장 없는 차량 두대를 모아봤습니다. 당진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목격했던 97년식 뉴그랜저 2.0과 홍성 광천읍에서 목격했던 구형

www.tisdory.com

 

참고로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들은 죄다 오토였습니다.

 

1994 HYUNDAI NEW GRANDEUR 2.0 M/T

킥보드를 고치러 천안에 갔다가 코너에 세워진 이 그랜저를 보고 잠시 차를 세웠습니다.

 

후드탑 엠블럼도 떨어져 나갔고 여기저기 찌그러진 흔적으로 보다시피 관리상태는 그닥이었지만 '서울 4' 지역번호판을 보고 구경이나 하고 가야지 싶어 차를 세웠는데, 가만 보니 2.0 수동이더군요. 지금이야 그랜저의 문턱이 많이 낮아져서 중산층들도 부담없이 타는 세단이지만 당시 그랜저는 현대의 플래그쉽 세단으로 부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그런 차량이었습니다. 물론 최하위 트림에 2.0 DOHC 엔진이 적용된 모델이라 하더라도 차량의 기본 가격만 1850만원이었고 당시 소형차인 엑센트보다 2.5배 이상 비쌌습니다. 티코로 비교하자면 4.5배 이상 차이나네요.

 

뒤 역시 관리상태가 그리 좋진 못하다.

뒤로 가도 관리상태가 그리 뛰어나진 않습니다.

방향지시등과 후진등이 함께 붙어있는 전기형 테일램프도 잘 살아있네요.

 

다들 V6 3500 레터링을 붙이고 다니던데 따로 뭐 붙은건 없습니다. 천장 위에 샤크안테나를 달아두었지만 차량 안에 DMB 시청이 가능한 내비게이션이 없고 배선을 확인할수 없는것으로 보아 그냥 멋으로 부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범퍼의 칠은 다 바랬고, 트렁크에도 푹 찍힌 자국이 있으며 테일램프도 살짝 금이 가 있습니다.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30년 가까운 세월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태양을 연상시키는 14인치 알루미늄 휠

태양을 연상시키는 14인치 알루미늄 휠입니다.

 

예전에 97년형 차량을 다룰때 15인치라고 잘못 언급했었지만 2.0용 휠은 14인치가 맞습니다. 타이어는 195/70R14. 14인치 휠이 최고급 승용차에 적용되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깡통 경차에나 적용되는 신세입니다.

 

노 에어백 수동

핸들리모콘은 당연하고 운전석 에어백도 없습니다.

당연히 대시보드에 절개선이 없으니 조수석 에어백도 없네요. 거기에 수동입니다.

 

94년 뉴그랜저 가격표를 찾아봅니다. 수동은 2.0에서만 선택이 가능했고, 그냥 '2.0'과 '디럭스팩' '이규제큐티브'까지 총 세가지 트림이 존재했습니다.

 

이그제큐티브부터는 가죽시트와 운전석 에어백이 기본사양으로 적용되었으니 아니고.. 우드그레인은 디럭스팩으로 ABS,무선리모콘과 함께 묶인 옵션이었는데 도난방지 스티커나 뒷유리의 ABS 스티커가 없는것으로 보아 본넷을 열어 ABS 모듈이 있음을 확인하지 않는 이상 디럭스도 아닌 느낌입니다. 그렇지만 센터페시아와 도어트림에 우드그레인이 적용되었네요. 따로 나와서 장착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깡통이더라도 고급 이퀄라이저 오디오와 풀오토 에어컨이 적용되었다.

아무리 깡통이라 하더라도 풀 오토 에어컨과 고급 이퀄라이저 오디오는 적용되었습니다.

 

명색이 고급차이니 직물시트에 에어백도 없는 차량이라 한들 고급 오디오와 당시 기준으로 최첨단 사양인 풀오토 에어컨은 기본으로 적용되었습니다. CDP와 핸들리모콘은 이그제큐티브에서 옵션으로 선택이 가능했던지라 이 차량엔 선택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우레탄 핸들은 30년 가까운 세월을 회전하며 많이 닳았고 기어부츠 역시 세월의 풍파를 그대로 맞았지만 2023년 6월에도 문제 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오래 살아남길

비록 외관 상태는 좋지 못하지만 오래 살아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당시 기준으론 가장 저렴했던 그랜저지만 수동변속기의 선택조차 어려운 지금 시대에는 깔끔한 그랜저 이상의 높은 가치를 지닌 차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충분한 보존가치를 지닌 차량이라 하더라도 관종들이나 되팔이들에게 농락당하며 차값만 올라가는 꼴은 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고급 세단으로 도로를 평정하던 시절은 비록 옛날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험한 모습으로 차생을 마감할지라도 지금의 주인과 생명을 다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돌아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대우를 부정하는 쉐슬람들의 주장에 의하면 국내생산이지만 튼튼한 미국산 고오급 세단인 대우 말리부.

 

현대차의 아성을 넘지는 못했지만 법인택시로도 개인택시로도 대우차는 택시시장에서도 사랑받았습니다. 택시 전용 카탈로그를 보면 기사님들의 정비편의까지 신경 쓴다는 문구도 존재할 정도로 택시시장에 큰 공을 들이기도 했고, 토스카 시절에도 택시사업자를 위한 서비스나 이벤트를 진행했다는 보도자료도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기아차 구매성향이 강한 광주광역시에서는 한 영업사원의 능력으로 토스카 택시의 상당한 보급이 이루어지기도 했었고 자신에게 토스카를 출고한 수백 명의 기사님을 위한 동호회까지 만들어 운영했었다는 기사도 찾을 수 있지요.

 

6단 자동변속기의 하자로 토스카 택시는 생각보다 빨리 도로 위에서 사라지긴 했어도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현대기아 말고 대우차 택시도 삼성차 택시도 많이 보이던 시절이 있긴 했습니다.

 

이후 한국 GM은 대한민국 토종 브랜드 대우가 판매부진의 원인이랍시고 자칭 미제 고오급 브랜드 쉐보레 출범시키며 대우를 부정하기 시작했고 감히 고오급 미제 세단 말리부로는 품격이 떨어지는 택시 따위를 판매할 생각이 없다며 MPV인 올란도에 택시 전용 모델을 만들어놓고 사실상 방치해 뒀다가 올란도의 단종 이후 택시 모델은 전멸했지요. 

 

LPG 엔진이 존재했던 8세대 말리부의 경우 택시전용모델이 없음에도 택시로 운용하는 경우를 간간히 볼 수 있었습니다. 올란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세단형 대우차로 택시 영업을 하고 싶다는 기사님들이 계셨기에 가능했던 일이지요. 그렇지만 9세대 말리부로 넘어오며 LPG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디젤 모델이 잠시 판매되긴 했었지만, 유가보조금이 나오더라도 LPG 차량을 선호하는 택시시장에선 디젤 차량을 선택하는 비중이 상당히 낮았죠. 쉐슬람들은 이전부터 말리부엔 택시가 없어서 품격이 산다고 택시로 넘쳐나는 쏘나타 K5와는 급이 다른 고급 중형 세단이라고 환호했습니다. 그럼에도 9세대 말리부 택시는 존재합니다.

 

2019 DAEWOO THE NEW MALIBU DIESEL

19년형 디젤입니다. 예전부터 홍성 시내에서 간간히 마주쳤고 타보고 싶었는데 타 볼 기회는 없었네요.

 

저 택시 타보려고 별짓을 다 했던 기억이 있었지만 실패했었습니다. 왜 택시로 많이 돌아다니는 게 품격이 떨어지는 일인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도 않고요. 오히려 택시로 많이 선택되고 오래 돌아다니는 차량들이 장시간 운행해도 편안하며 내구성도 월등하고 유지비 측면에서도 유리한 차량이라는 반증인데 말입니다.

 

언젠가는 꼭 탑승해 볼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대우를 부정하는 쉐슬람에게 미래는 없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