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39건

반응형

2019.0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첫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03.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0304 더 뉴 아반떼 펑크수리 + 엔진오일 교환

2019.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환 + 현대블루핸즈 홍성오관점

2019.08.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19.10.1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191011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19.12.0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배터리점검 + 내포현대서비스

2020.02.0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1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오일누유

2020.03.3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330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환 +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

2020.05.2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527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07.2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보증수리(헤드램프 교체)+블루기본점검+브레이크액 교체

2020.09.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0903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0.10.2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DCT 미션오일+중국산 타이어 교체

2020.12.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216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내포현대서비스)

2021.02.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215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내포현대서비스

2021.04.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04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연료필터 교체

2021.06.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기본점검

2021.07.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2021.09.1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뉴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타이어 펑크 수리

2021.11.0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11102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01.1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블루핸즈 고대점

2022.05.0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509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라핀 테크 드라이브 5W30

2022.07.1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71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 발보린 터보 FX 0W30

2022.09.1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20908 더 뉴 아반떼 엔진오일 교체

2022.11.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더 뉴 아반떼 디젤 연료필터, 엔진오일 교체

2023.01.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30119 더 뉴 아반떼 디젤 엔진오일 교체

2023.03.22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30318 더 뉴 아반떼AD 엔진오일 교체

 

통산 27번째 엔진오일 교체입니다.

 

교체 주기가 다가왔으나 시간이 애매하게 없어 한 200km 정도 더 탔을 즈음, 엔진체크등이 점등되었습니다.

 

엔진체크등 점등

19.7만 km를 달렸는데 이 차에서 엔진체크등은 처음 봤네요.

 

슬슬 불안하긴 했습니다만, 결국 큰돈 들어갈 시기가 찾아오네요. 큰 돈 들이지 않고 잘 타다가 차를 매각하려는 목적이지만 엔진체크등이 점등되어 괜스레 걱정됩니다. 그래서 일단 OBD에 연결된 다그게이지로 고장코드를 확인하기로 합니다.

 

DAG 3+

그간 DPF 상태를 보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했던 다그게이지가 오랜만에 고장 진단을 합니다.

 

엔진 쪽 고장코드가 2개 뜨네요. 자세히 확인하기로 합니다.

 

고장코드

고장코드 P1223, P2471.

 

P1223 / 엔진 오일 펌프 솔레노이드 제어 회로 - 제어값 높음

P2471 / 배기가스 온도 센서 - 신호값 높음

 

네. 1223은 오일펌프 관련 코드고 2471은 DPF 관련 코드입니다. 아직 퇴근하시지 않았는지 여쭙고 집에 가는 길목의 수레카서비스에 차량을 입고합니다.

 

스캔 물리러

일단 스캐너부터 물려보고 마침 교체주기가 온 엔진오일을 교체하기로 합니다.

 

배기가스 온도 센서 관련 코드는 일시적인 오류라 큰 상관은 없었고, 문제는 P1224. 엔진 오일 펌프 솔레노이드 제어 회로의 고장코드가 계속 뜬다고 하네요. 엔진오일 교체 뒤 시운전을 나가보고 또 경고등이 나타나는지 보는 방향으로 가기로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

엔진오일을 교체합니다. 이전과 동일한 '발보린 터보 FX 0W30'을 사용합니다.

 

잔유를 배출하며 공기압을 보충합니다. 엔진오일 드레인이 끝난 차량을 내려 필터를 교체하고 신유를 주입해줍니다. 지금껏 큰 문제 없이 탔는데, 이제 슬슬 시작이라니 답답하기만 하네요..

 

시운전

엔진오일 교체 후 시운전까지 마쳤으나, 경고등이 그대로 점등되네요.

 

체크등은 들어오지 않지만 고장코드는 계속 뜬다고 합니다. 결론은 교체해야된다는 얘기겠지요. 교체과정이 까다롭습니다. 벨트폴리 워터펌프 다 뜯어내고 오일펌프 솔레노이드밸브를 탈거해야 합니다. 겉벨트 세트를 작업하지 않았더라면 겸사겸사 새 제품으로 작업하면 되겠습니다만, 이미 작년 여름에 작업을 해뒀던지라.. 결국 공임만 두 번 내게 되는 상황입니다.

 

부품을 주문해놓고 일단 엔진오일 교체비용만 결제하기로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비

92,400원인데 92,000원만 결제했네요.

다음 엔진오일 교체는 20만km를 넘기고 올 것 같습니다.

 

여튼 부품이 도착하면 시간내서 다시 방문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게 본격적인 고장의 시작일지, 아니면 이후로 큰 문제 없이 탈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부디 큰 고장의 시작은 아니길 소망해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자동차의 마지막 중형차 매그너스입니다.

 

문어발식 경영으로 사세를 확장하던 대우그룹은 매그너스의 개발과 출시 시점에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됩니다. 매그너스는 브로엄의 후속차종을 목표로 개발되었는데 상위급으로 계획되었던 쉬라츠와 P100은 개발이 무산되었고, 당시 출시된 지 2년밖에 지나지 않았던 레간자가 동급 차량 대비 열세를 보이고 있었던 상황에 매그너스와 함께 데뷔 예정이던 직렬 6 기통 XK엔진의 개발은 완료되지 않아 결국은 준대형 대신 고급형 중형차의 포지션으로 데뷔하였습니다.

 

2000년대 초반 준수한 디자인과 직렬 6기통 엔진의 적용으로 상당히 좋아했던 차량인데 2010년대 중반부터 대우차 특유의 비싼 수리비 탓에 급격히 사라져 버렸습니다. 2011년까지 판매되었던 스킨체인지 모델인 토스카조차도 근래 보이는 폐차장 렉카에 꼭 한 대씩 달려있더군요.

 

차령 20년이 넘어가는 동시대 경쟁차종이던 뉴 EF쏘나타나 1세대 SM5가 돌아다니는 모습을 간간히 볼 수 있음에도 유독 매그너스를 보는 일은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런 매그너스를. 그것도 초기형 모델을.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상태로 보게 되어 잠깐이나마 사진으로 남겨놓게 되었습니다.

 

2000 DAEWOO MAGNUS 2.0 DOHC

상징과도 같은 6기통 엔진이 적용되기 전 초기형 매그너스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네요.

레간자에 적용되던 2리터급 D-TEC 엔진이 적용된 차량입니다.

 

정말 가끔 보이던 매그너스도 대부분 직렬 6기통 XK엔진이 적용된 중기형 혹은 후기형 차량들인데 초기형 매그너스는 언제 봤었는지 기억도 없네요. 뒤 엠블럼만 신형인 GM대우의 것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번호판은 수원에서 발급된 '경기 30'으로 시작하는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최초등록은 2000년 3월. 매그너스가 99년 11월 말에 출시되었고, 본격적인 출고는 2000년부터 시작되었을 테니 사실상 극초기형 모델이라 봐도 무방 할 겁니다. 극초기형의 경우 SOHC 모델은 무조건 후륜에 무조건 드럼 타입의 브레이크만 적용되었는데 후륜 브레이크가 디스크 타입인 것으로 보아 DOHC 엔진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00 DAEWOO MAGNUS 2.0 DOHC

생각보다 깔끔합니다.

 

세기말 혹은 21세기 초반의 대우차가 부식에 상당히 취약했는데 일단 육안상 보이는 부식은 거의 없습니다. 차령은 만 20년을 넘어섰지만, 전반적으로 10년 안팎정도 탄 차량과 비슷한 느낌이네요.

 

출시 당시 캐치프라이즈는 'BIG'. 동급 대비 큰 차량이라는 의미에서 붙였다고 합니다만, 동급 대비 커지기만 커졌지 레간자와 같은 엔진이 적용되어 중기형 이전까지는 판매량도 신통치 않았고 그저 그런 차량 중 하나였습니다.

 

본넷에 부식이 있다.

당시 대우의 패밀리룩이던 3분할 그릴이 인상적입니다.

그릴 옆으로 본넷에 부식이 약간 존재하긴 하네요.

 

그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깔끔합니다. 대우그룹의 공중분해도 20년 전 일이고, 대우자동차를 인수한 GM이 미제 고급차 브랜드를 표방하며 대우를 부정하기 시작했던 것도 10년 전 일입니다. 거기에 지난해 매그너스를 생산했던 공장마저도 가동을 멈추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특유의 3분할 그릴이 장착된 대우시절 매그너스는 아직까지도 건재합니다.

 

틴팅도 20년 넘는 세월을 함께 보냈으리라 추정.

틴팅(썬팅)조차도 20년 넘는 세월을 함께 보냈으리라 추정됩니다.

 

당시 첨단사양으로 뒷유리에 자랑하듯 스티커로 붙여줬던 운전석 에어백이 적용되었고, 초기형 캐치프라이즈인 'BIG' 스티커도 붙어있습니다. 올해 한국나이로 스무살들이 04년생인데, 그런 갓스물 청년보다도 나이가 많은 스티커입니다. 아마 틴팅 필름을 제거한다면 함께 제거되겠지요.

 

식당에서 짧게나마 볼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 만 23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이젠 영타이머 반열에 들어서게 된 이 매그너스가 부디 건재한 모습으로 오랜 세월 달릴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