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항상 유용하게 잘 타고 있는 비스토 터보입니다.

 

에어컨도 잘 나오고, 큰돈 들어갈만한 작업은 작년에 다 해뒀던지라 정말 기름만 넣고 타고 있습니다. 다만 수동이 아닌 오토라서 아쉽지 밟아주면 터보차 특유의 빨려 들어가는 느낌은 나긴 납니다. 지난가을에 차량을 인수한 뒤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대략 3~4000km 정도 주행한 다음 엔진오일 교체를 계획했던지라 오토큐에 가서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불스워너 계절상품으로 받은 불스파워 엔진코팅제를 주입해줬습니다.

 

 

비스토 터보 엔진오일 교체

2020/10/1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다시 비스토! 이번엔 터보! (2002 KIA VISTO TURBO) 은색 비스토 터보. 가져와서 엔진오일정도는 교체하고 타시라고 하시기에 알겠다고 하고 대략 열흘 가까이

www.tisdory.com

 

정확히 3522km 타고 교체하는군요. 약 9개월간 생각보다 많이 탔습니다.

 

기아오토큐 태안평천점

주로 태안에 놓고 타는 차량이다 보니 태안에 소재한 오토큐 정비소를 찾았습니다.

 

오토큐 간판을 달고 있는 정비소 두 개가 약 300m 거리를 두고 붙어있습니다. 한 곳은 공업사를 겸하는 곳이고 다른 한 곳은 경정비만 하는 오토큐입니다. 두 업체 모두 대기가 엄청 밀려있었습니다만, 그나마 조금 여유 있는 평천점으로 향했습니다.

 

사실 오토큐는 처음입니다. 기록을 보니 전전차주가 오토큐를 꾸준히 다녔더군요.

 

차량 번호가 바뀌고 처음이니 접수 시 등록증을 보여줍니다. 차대번호로 기존에 등록되어있던 차량을 찾아 등록정보를 수정해줘야 합니다.

 

정비현황에 자랑스럽게 보이는 비스토

정비현황에 비스토가 자랑스럽게 보입니다.

20년 가까이 탄 차 주제에 차량번호도 무려 앞 세자리네요.

 

신차에는 앞 두자리 번호판을, 헌차에는 세자리 번호판을 달아주는 변태 같은 번호판 조합을 사랑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별 생각이 없겠지만 저는 이렇게 표시되는 모습을 보면 그저 제 차가 자랑스럽게 느껴지네요. 상태는 먼저 작업 중으로 바뀌긴 했습니다만, 곧 차량이 정비를 위해 입고되는군요.

 

불스파워 엔진코팅제 프리미엄

불스파워 엔진코팅제를 꺼내 새 엔진오일과 함께 주입을 요청합니다.

불스파워 엔진코팅제 프리미엄입니다. 엔진오일 4~6L에 300ml 한 통을 넣어주면 됩니다.

 

프리미엄이라는 이름값을 하는지 가격은 조금 비쌉니다. 쉽게 얘기해 일반적인 엔진오일 첨가제에 시동 시 피스톤이 실린더 내벽을 긁으며 생기는 상처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제 성분이 중점적으로 들어있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엔진오일에도 마모방지나 산화방지를 위한 첨가제가 첨가되어있기는 합니다만, 그러한 성분을 더해줘 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제품입니다.

 

다양한 성분이 이 작은 캔 안에 다 들어있다.

PAO기유를 기반으로 다양한 성분이 첨가되어 있습니다.

 

유기 몰리브덴은 스스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성분이고 나노 풀러렌은 0.88 나노미터의 작은 입자로 상처가 생긴 엔진 내벽을 채워주고 베어링 효과로 윤활성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그 외 누유 방지제나 산화방지제는 일반적인 엔진오일 첨가제에도 들어있는 성분이고 하니 익히 잘 아시리라 생각하고 넘어가기로 합시다.

 

기존 엔진오일 배출

기존 엔진오일을 배출해줍니다. 약 3,500km를 달렸음에도 오일 색은 매우 까맣습니다.

 

오일 캡 안으로 보이던 슬러지들이 오염의 원인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다음 교체시기에는 플러싱을 겸해야겠습니다. 뭐 이번에 교체하면 주기를 좀 길게 잡을 생각이니 내년 이맘때나 교체하겠죠.

 

메가 터보 씬 - 차세대 장수명 가솔린 엔진오일

고민 끝에 선택된 엔진오일은 현대기아 순정 메가 터보 씬(MEGA TURBO SYN)입니다.

 

스팅어 3.3, G70 3.3과 같은 고성능 차량에 순정으로 적용되는 오일입니다만, 무려 20년 전 출시된 터보 경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점도는 0W30. 애초에 따로 준비해 간 오일도 없었고, 현대기아 순정 오일이긴 해도 비스토에는 매우 과분한 성분입니다.

 

기존 엔진오일을 모두 배출해낸 뒤 드레인 코크를 막고 공기압을 보충한 뒤 차를 내립니다.

 

불스파워 엔진코팅제 프리미엄 주입

엔진오일 주입에 앞서 불스파워 엔진코팅제를 주입해줍니다.

 

뚜껑이 플라스틱 간장이 담겨있는 플라스틱 병처럼 생겼습니다. 기존의 큰 뚜껑을 열고 안에서 한번 더 뜯어야 내용물이 나오는 간장병과 같은 방식입니다. 거기에 엔진코팅제 색상 역시 간장 혹은 폐유와 비슷한 진한 색상이네요. 엔진오일도 마찬가지로 첨가제가 많이 들어간 오일의 경우 색이 진한 편에 속합니다.

 

엔진오일 주입

엔진오일을 주입합니다. 메뉴얼상 약 3리터가 들어갑니다.

 

엔진오일을 붓고 오일양을 확인합니다. 4L 오일통에 엔진오일이 약 1L보다 조금 더 남은 수준에서 오일을 그만 넣습니다. 리데나씰을 비롯하여 오일이 누유되거나 될 수 있는 부분을 모두 교체하였기에 오일누유도 없습니다만, 혹시 내부에서 연소되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조금 많이 넣었습니다.

 

자동차점검 정비명세서

정비명세서를 받고 공임과 오일필터 값을 지불합니다.

 

에어크리너는 순정형 오픈흡기 비슷한 물건인지라 교체하지 않았고, 오일필터만 교체했습니다. 그래도 오일값이 비싸서 공임과 부가세를 포함하니 약 6만원정도 나오네요. 확실히 비스토에는 과분한 엔진오일에 불스파워 엔진코팅제까지 넣으니 가볍고 상대적으로 경쾌하게 나가는 느낌입니다.

 

이제 교체하고 약 100km정도 주행한지라 오일과 코팅제를 평가하기는 이릅니다만, 앞으로도 무탈히 잘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오일교환 주기를 조금 길게 잡을 예정인지라 내년에나 교체하겠죠.

 

본 포스팅은 불스원으로부터 무상으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다녀온지 얼추 한달은 지난 느낌입니다만, 잊어버리고 지내다가 이제 포스팅으로 옮깁니다.

 

지난달 어느날 3월에 칼국수를 먹고 왔던 포스팅이 엄청나게 유입되더군요. 왜 그런가 했더니만 지난 6월 15일에 이 식당이 '6시 내고향' 방송을 탔다고 합니다. 주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식당인데 뭐 특별한게 있나 싶습니다만, 외지인들 눈에는 꽤나 특별하게 보였나봅니다.

 

2021.03.27 - [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 - 당진 면천 김가면옥(구.합덕집) 바지락칼국수

 

당진 면천 김가면옥(구.합덕집) 바지락칼국수

인구 3,500명 수준의 면소재지인 당진시 면천면은 당진시 안에서 문화유산이 가장 많은 동네이기도 합니다.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사라진 면천군의 소재지였는데 지금은 그저 시골 면

www.tisdory.com

 

가게나 지역에 대한 배경 설명은 3월 말에 바지락칼국수를 먹었던 포스팅을 보고 오시는게 나을겁니다. 내내 같은 식당에 같은 자리에 앉아 칼국수 대신 콩국수를 먹고 왔으니 큰 차이는 없을겁니다. 

 

김가면옥

6월 중순에 다녀왔습니다. 6월 중순임에도 점심시간이면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점심시간 피크가 조금 지난 시간에 갔음에도 근처 다른 콩국수집들도 주차장에 차가 가득 찬 상태입니다. 아마 지금은 이보다 더 많겠죠. 아니 1600명대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이라 조금 한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때나 가면 문이 열려있는 식당도 아니고 점심장사만 하는 식당이기에 시간대를 잘 맞춰 가야 합니다.

 

 

3월과 같은 자리에 착석

3월에 앉았던 자리와 같은 자리에 착석합니다.

 

달라진건 없습니다. 칼국수 대신 콩국수가 나오고 손님이 좀 더 있다는 사실 말곤요. 식탁도 거울도 메뉴판도 전형적인 90년대 초중반 스타일의 인테리어도 그대로입니다. 그냥 인원에 맞게 콩국수가 준비됩니다. 따로 주문할 필요도 없습니다. 인원만 얘기하면 됩니다.

 

이미 방송이 나갔지만 붙어있던 방송출연 안내문

이미 방송이 나갔지만, 방송출연 안내문이 붙어있었습니다.

지금은 당연히 없겠죠.

 

요술당나귀의 멤버 라마가 시골 노포를 찾아가는 형태의 코너인 '고향 노포'에 방영되었다고 합니다. 무려 14분 분량이라고 하네요. KBS의 간판 프로그램인 6시 내고향을 보고 이날 울산에서도 콩국수를 먹기 위해 찾아왔다고 합니다. 경제력을 가진 장년층 및 노년층이 주로 보는 방송의 효과가 단번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열무김치와 소금

반찬은 열무김치. 그리고 콩국수의 간을 맞출 소금 말곤 없습니다.

 

사실 처음에 소금을 조금만 넣고 열무김치를 넣어 간을 적당히 맞춰먹어도 됩니다만, 사람 취향에 따라 다릅니다. 제가 사는 지역에서는 콩국수에 주로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추지만, 전라도에서는 설탕을 넣어 간을 맞춘다고 하더군요. 설탕을 달라고 요청하면 따로 설탕을 주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콩국수는 당연히 소금으로 간을 맞춰 먹는다는게 이 지역 사람들의 기본적인 생각이니 당연하게도 소금이 나옵니다.

 

콩국수

녹색빛의 콩국물과 고명으로 올려진 오이 그리고 참깨가 전부입니다.

 

그냥 잘 저어서 소금으로 적당히 간을 맞추고 먹으면 됩니다. 면은 일반적인 중면입니다. 콩국수집마다 주로 어떤 콩을 갈아 콩국물을 내는지에 따라 색이 조금씩은 다릅니다만, 김가면옥은 약간 녹색빛이 도는 국물이 나옵니다. 뭐 전문적으로 콩을 갈아 국물을 내는 식당들이 아니곤 야메로 하는 집들은 콩가루나 미숫가루를 물에 타서 콩국수를 내놓곤 합니다. 뭐 그런집은 아니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푸짐한 국수

맛있게 국물까지 다 마시고 왔습니다.

 

따로 식당 안에 에어컨을 켜놓지 않더라도 시원한 콩국수 한그릇이면 덥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가격이 8000원까지 인상되어 예전보다 가성비는 떨어지지만, 그래도 간간히 콩국수가 땡기면 꼭 찾아가는 식당입니다. 아마 올 여름에 두어번은 더 찾아가지 않을까 싶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