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처음 사전투표가 진행되었던 2016년 총선 이후로는 모두 본투표만 했었는데, 6년만에 사전투표를 하고 왔습니다. 자리에서 바로 출력해주는 사전투표보다는 당일에 다녀오는걸 선호하는데 정치적인 이유는 없고 이미 출력해둔 투표용지가 아까워 당일에 해야지 싶은 생각에 계속 그래왔었네요.

 

여튼 이번 대통령선거는 지난 3월 5일 토요일 사전투표기간에 투표소에 다녀왔습니다.

본투표를 진행하는 투표소는 아닙니다만, 항상 이 지역의 사전투표는 충남도서관에서 진행됩니다. 

 

 

충남도서관 주차장

역대 최고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도서관 주차장에 자리가 없습니다.

 

임시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옵니다. 물론 순수한 도서관 이용객들도 주말이면 꽤 많습니다만, 투표를 하러 몰려오는 사람들도 있으니 더 혼잡합니다. 임시주차장에서 나와 도서관 별관 방향으로 걸어갑니다. 이 주차장 자리에 미술관이 건축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여튼 내포신도시 거주 6년차입니다만, 이제 슬슬 유사도시 티를 벗어가고 있습니다.

 

투표소 대기줄

투표소 대기줄이 길게 늘어서 있습니다.

 

따로 크게 거리두기를 하지 않았음에도 줄이 매우 깁니다. 차가운 봄바람을 맞으며 기다리고 있습니다. 바람이 방향을 바꿔가며 세게 불어올때마다 탄식이 이어집니다. 그렇게 많은 시민들이 주권을 행사하기 위해 주말 오후 투표장을 찾았습니다.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점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만,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데 약 20분정도 소요되었습니다.

 

좀 더 넓은곳에 투표소를 설치하던지, 좀 한가한 지역으로 원정을 다녀올걸 그랬습니다. 여러모로 매우 아쉽네요. 지방선거때는 사전투표를 해야한다면 다른곳으로 가던지 아니면 한가하게 투표일에 오던지 해야겠습니다.

 

관내 관외 대기줄

관내와 관외로 나뉩니다. 관내투표줄이 좀 더 빨리 들어가네요.

 

신분확인을 거치고 지문인식으로 서명을 대신합니다. 프린트기에서 투표용지가 출력되네요. 6년 전 사전투표 당시 받았던 투표용지는 도장이 번질 것 같이 생긴 맨들맨들한 종이였지만, 이번 투표용지는 사실상 본투표용지와 별반 다르지 않은 재질이였습니다.

 

막판에 지지후보가 갑작스러운 단일화를 하는 바람에 고민 참 많이 했고 내키지 않는 후보들 중 하나를 뽑았습니다.

 

매우 공정한 투표인증

그리고 인증을 겸해 손등에 기표용 도장을 14개 찍었습니다.

 

원래 15개를 찍으려 했습니다만, 하나가 덜찍혀서 14개네요. 이제 하나의 예능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수요일 개표방송만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뭐 누가 된다 하더라도 무덤덤 합니다. 여러분도 소신껏 좋은 후보 뽑으시고 수요일에 예능과 함께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소망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고 있습니다.

 

유류세 인하 효과는 사실상 없던게 되었고, 지난 2007년~2008년 수준의 유가를 다시 보게 생겼습니다. 불과 2년 전인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시작과 동시에 유가가 마이너스까지 떨어지고, 경유 기준 8~900원대에 신나게 넣고 다니던 시절을 생각하면 지금 유가는 정말 절망처럼 느껴집니다.

 

일주일 자가격리를 마치고 나오니 약 일주일간 기름값이 꽤 올랐더군요. 뭐 급하게 검사받으러 가야지 하고 트럭도 그렇고 삼각떼도 그렇고 기름을 넣지 않고 다녔습니다만, 진작 채워둘걸 그랬습니다. 오늘 디젤승용차인 삼각떼의 주유를 했는데 난생 처음 가득 주유하니 7만원이라는 금액이 나왔습니다.

 

마카롱 주유기록

1km당 81원씩 붓고 다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으로 7만원에 기름을 가득 채웠습니다.

 

지난 2월 19일에도 그렇게 저렴하지는 않았던 주유소에서 주유를 했었는데, 약 보름 뒤 주유시에는 그나마 저렴한 주유소를 찾아갔음에도 리터당 50원이나 비싸졌습니다. 이건 약과고 경유 기준 1600원을 넘는 주유소들이 슬슬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홍남기 "유류세 인하 7월말까지 연장…인하폭 확대도 검토"

아울러 국제 유가가 더 가파르게 오를 경우 유류세 인하 폭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특히 "고유가로 인한 물가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4월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20%)

www.joongang.co.kr

 

유류세 인하 조치를 7월까지 연장하고 인하폭을 늘린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아무리 유류세를 내린다고 해도 가파르게 치솟는 국제유가를 따라가기는 버겁게 느껴집니다. 일반적인 승용차 운전자들이라면 유류세 인하 소식에 환호하겠지만, 반대로 유가보조금을 지원받은 영업용 자동차 운전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은 유류세 인하분에 따라 유가보조금도 함께 떨어지기에 그리 달가워하지 않을겁니다. 

 

이러나 저러나 기름값 걱정에 밤잠을 설치고 있습니다. 하루하루 주유하기가 두렵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