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84건

반응형

 

심심할 때 당근마켓 앱을 둘러보다 보면 동네에서 해외여행을 다녀온 뒤 어중간하게 남은 외화를 판매하는 거래글을 종종 접하곤 합니다. 그냥 시간 좀 생겼다 싶으면 무작정 일본으로 나가는 사람 입장에서는 아무리 카드를 받는 곳이 늘어났다 하더라도 현금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곤 하지요. 개처럼 일하는 와중에 환전을 하러 다니기도 어려운지라 이런 거래글이 종종 올라오는 모습이 보이는데 일전에 한 번 급하게 엔화가 필요해서 거래를 해본 뒤 알고 보니 우대율 빵빵한 은행보다도 저렴한 가격에 환전을 할 수 있더군요.

 

거래당 5000달러 및 년간 5만 달러 이하라면 따로 신고 없이 외화 거래가 가능하며, 환치기가 목적이 아니라면 역시 신고 대상도 아닙니다. 애초에 다시 팔 생각도 없고 지금껏 이렇게 구입한 엔화를 다 가서 쓰고 왔었으니 말이죠. 이 엔화도 다 가서 쓰고 올 돈입니다.

 

2만엔

 

지난주에 집 근처 새로 생긴 아파트 단지에서 거래하고 온 2만 엔입니다.

 

요 며칠 사이에 환율이 크게 올랐지만 이 당시 환율은 940원대 후반인데 빨리 치운다고 원화 17만 원과 바꿔주셨네요. 단순 계산으로도 100엔에 850원의 환율로 바꾼 것이 되었습니다. 작년 여름에 원-엔 환율이 바닥까지 떨어졌을 때 수준으로 엔화를 구입하고 왔지요.

 

그리고 이번 주에도 퇴근길에 당근마켓 앱을 보고 엔화를 또 구입해 왔습니다.

 

1만5천엔

 

100엔짜리 동전 10개까지 포함하여 1만 5천엔.

 

역시 급하게 정리하신다고 원화 13만 원과 바꿔왔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100엔당 866원에 바꾸게 된 것이네요. 갑작스럽게 환율이 치솟았지만 역시 작년 여름에 엔화가 거의 바닥까지 갔을 때 수준의 환율로 바꿔왔습니다. 이런 경우 말고도 자잘한 동전을 같이 주거나 현재 시세대로 거래하더라도 우수리 금액을 빼주는 경우가 많기에 소액이라면 은행에 가는 것보다 당근마켓을 통해 주변 이웃들에게 엔화를 사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물론 큰 금액이 필요하거나 출국이 임박했는데 엔화가 부족한 상황에서 당근마켓 거래글을 찾지 못한다면 은행을 찾겠지만, 이렇게 꾸준히 모아둔다면 환전을 위해 은행에 갈 일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올해 1월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본 사람들은 다들 비슷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던데 올해 겨울들어 관리비가 폭등했습니다. 난방비가 급등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하는데 지난해 겨울 대비 4-5만원정도 더 많이 나왔네요.

혼자사는집 관리비가 28만원


혼자 살면서 관리비를 이렇게 내보긴 처음입니다.

그럼에도 동일면적 평균대비 40%나 적게 썼다고 하네요. 아파트 카페나 밴드를 살펴보니 관리비로 50만원대 60만원대의 폭탄이 터졌다고 얘기하는 집들도 꽤 있는 것으로 보아 동일면적의 다른 세대 대비 적게 쓰긴 한 것 같습니다.

그나마 지역난방이라 도시가스나 LPG 등유를 쓰는 가정 대비 난방비는 적게 나오긴 합니다만, 실내온도를 18-19도에 맞춰놓고 사는데도 이렇게 나온다니 대체 다음 겨울은 어떻게 버텨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네요.

전년도 동월대비 관리비


전년도 동월대비 관리비 합계 비교표도 확인합니다.

11월은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본격적으로 난방비가 추가되는 12월과 1월에는 4만원 이상 차이가 나네요. 올해는 2월에도 꽤나 추웠던 날이 많아서 2월 관리비 역시 이렇게 큰 차이가 날 것이라 예상됩니다.

애초에 난방에 있어 불리한 여건의 집인지라 여름에 다른 집보다 덥고 겨울에 더 추운 집이라는건 이해하겠는데 내년에는 뭔가 대책을 세워봐야 할 거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