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래저래 요즘 정신이 없습니다. 이사문제니 이런저런 복합적인 문제가 겹치고 겹친 와중에 티코 복원사업에 어느정도 지분을 가지고 있는 친구가 요즘 출퇴근용으로 티코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그동안 한구석에 쳐박아두고 부품을 긁어모으거나 시동이나 가끔 걸어주던 티코가 매일매일 운행되고 있는 와중에 일단 눈에 가장 쉽게 보이고, 교체의 필요성이 있던 헤드램프를 교환하기로 합니다. 종전에 부품은 구매해뒀고, 약 3일간의 수배기간을 거쳐 손안에 들어왔답니다.



일단 기존의 헤드램프 상태를 말씀드리자면.. 뭐 폐급입니다.


나름 차주 아저씨께서 애지중지 하셨던 차량이라지만, 무사고 무빵차에 누군가가 박아서 좌측 휀다만 한번 교환했던지라 아무래도 출고 당시 제치로 추정됩니다. 한쪽은 반사판이 녹슬었고, 한쪽은 미등부분에 금이 가 있습니다. 구조상 미등과 헤드램프가 분리되는 줄 알았는데 일체형이더군요.



딱히 라이트를 켜도 켠 것 같지 않습니다.


이건 뭐 심각한 수준이니 당장 교환하도록 합니다. 장비야 다 있으니 우리의 손만 있으면 모든걸 해내겠지요. 분명히 그러리라 믿습니다.



미리 준비해둔 헤드램프 한쌍입니다.


헤드램프 유니트 - 좌 35301A78B10-000

헤드램프 유니트 - 우 35101A78B10-000


당진 대우부품점의 태그에는 초가집이 그려진걸로 기억하는데, 홍성사업소 태그에는 타지마할 비슷한 건물과 소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대체 저게 무얼 의미하는진 모릅니다. 가격은 각 4만 7000원씩. 차값에 비하면 비싼게 아닐까 싶긴 합니다만.. 요즘차량들보단 저렴하니 패스.



신품은 아주 빛이납니다.


다만, 4만 7000원씩이나 주고 산 물건임에도 라이트 전구 하나 끼어져있지 않더군요. H4 규격의 노오란색 필립스 전구와 T10 미등용 LED를 준비합니다. 어딘가에 깊숙히 박혀있다가 주인을 찾아서 제 역활을 하기 위해 나타난 우리의 헤드램프입니다. 부디 오래가길 소망합니다.



먼저 좌측 헤드램프부터 탈거하도록 합니다.


탈거를 위해 풀어줘야 할 자리를 먼저 파악합니다. 가뜩이나 좁고 꽉막힌 티코의 본넷 안에 연장이 들어가거나 사람 손이 들어갈 자리는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무언가를 계속 탈거하거나 뜯어내서 공간을 만들어야 하고 카센터처럼 작업환경이 좋은 경우가 아니고서는 그냥 쌍욕만 나오는 수준입니다.



너무 과분하지 않나 싶은 필립스제 웨더비전 할로겐 램프 옐로우.

무려 인터넷 최저가가 삼만원대인 제품입니다.


스파크에도 비슷한 물건 중 싼거 끼웠는데 이건 차량가액 20만원대 차량에 과분한 수준의 전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친구가 하나 남는거 있다고 해서 그냥저냥 새 헤드램프에 새 전구를 조립해서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고정용 볼트를 풀어내는 과정까진 성공했지만 욕이 절로나옵니다.


고정볼트를 풀어봐야 뭐합니까. 더이상 안빠집니다. 헤드램프 전구를 물고있는 컨넥터가 빠지질 않습니다. 근 20년 가까운 세월동안 삭고 또 삭아서 그렇지 않나 싶네요. 거지같아서 그냥 단선시켜버리고 직접 선을 이을까 생각도 해봤지만 지렛대의 원리를 활용하기로 합니다.


수차례 지렛대에 힘을 주니 빠지긴 빠집니다. 


그래도 빠지니 다행이네요. 컨넥터가 빠지니 헤드램프 본체 역시 쉽게 잘 빠집니다.


순정품은 55W의 오스람 제품이군요.



근 20년동안 단 한번도 닦지 않았을법한 헤드램프 습기방지용 고무를 잘 닦아줍니다.


그러곤 물기를 단 한방울도 빠짐없이 깔끔하게 닦아서 끼워주네요.



미등 전구도 바꿔주고, 필립스제 노오란 라이트는 제 성능을 발휘합니다.


그 어떠한 이상증세 없이 아주 잘 맞습니다. 작동도 잘 되고 말이죠.


신품 라이트와 반사판이 다 썩어버린 구품 라이트(우측)의 비교.


시간문제상 일단 좌측만 교환하고 끝냈습니다. 조만간 우측 교체작업 역시 진행해보려 하네요. 곧 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6/04/1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 공항에서 있었던 일

2016/04/1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2) 신 치토세 공항 입성!

2016/04/1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3) 레일패스 발권, 삿포로역으로!

2016/04/2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4) 네스트 호텔 삿포로에키마에, 마츠야에서의 점심

2016/04/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5) 삿포로 시 시계탑 -1

2016/04/2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6) 삿포로 시 시계탑 -2

2016/05/02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7) 호텔, 홋카이도 구 도청사를 향하여

2016/05/0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8)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1

2016/05/0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9)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2

2016/05/1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0)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 完

2016/05/1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1) 오도리(大通り) 공원

2016/05/1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2) 삿포로 TV타워

2016/05/19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3) 오덕빌딩, 다누키코지 상점가 - 1

2016/05/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4) 다누키코지 상점가 -2, 1일차 마무리

2016/05/2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5) 2일차 아침,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1

2016/05/3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6)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2

2016/06/0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7)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3, 오타루(小樽)를 향하여


계속 이어집니다.




오타루역에 도착했습니다. 현재 시각은 10시 45분..


열차가 종점인 오타루역에 도착하니 정말 썰물처럼 승객들이 플랫홈으로 이동합니다. 일요일이기도 하고 홋카이도의 중심지이자 300만 인구를 자랑하는 대도시 삿포로에서 30분정도 걸리는 가까운 거리에 소재한 관광지이다보니 이래저래 사람들로 붐비는거겠죠.


오타루는 인구 14만 수준의 항구도시입니다. 이시카리만에 붙어있는지라 북해도 개척 당시 물류수송의 관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합니다. 이 동네엔 우리 2MB 가카께서 좋아하실법한 운하가 존재합니다. 내륙을 파낸 운하가 아니라 해안선을 다듬어서 만들어낸 운하라 하는군요.


지금은 물류 및 여객 운송의 역활보단 관광지로써의 그 기능이 대두되고 있다 합니다. 뭐 오타루시 자체가 관광으로 먹고사는 동네니 말이죠. 홋카이도 개척당시의 서양식 건물들이나 오래된 창고들이 의외로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우리로 치자면 군산이나 장항같은 동네처럼 말이죠.



그냥 스시남 아저씨들 가는 방향으로 따라서 나갑니다.


저 혼자 반대로 갈 필요는 없지요. 아저씨들을 따라서 가니 플랫홈 밖으로 나갈 수 있었답니다.



우리내 서울 근교 항구도시 인천처럼 오래전부터 철도가 놓여졌고 기반시설이 만들어진듯 보입니다.


오타루역 플랫홈에 놓인 전등 역시나 꽤 오랜 세월동안 불을 비추었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요즘 나오는 규격의 전등이라던가 밝고 효율도 좋은 LED 전구 역시 많습니다만, 녹이 피어나는 빔대와 함께 오타루라는 도시가 지내온 세월 그 자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마어마한 인파를 따라서 출입문으로 나왔습니다.


다들 출입문으로 나오니 따라서 나왔을 뿐이죠. 한국어 가이드맵은 비교적 찾기 쉬운곳에 있어서 하나 들고 나왔답니다. 오타루역 바로 앞에는 버스터미널이 존재하고, 눈에 보이는 사람은 대다수가 역에서 나온 사람들이긴 합니다만, 오후시간대엔 나름 현지인들도 많이 돌아다니는걸로 보이더군요.



역에서 쭉 쥬오거리를 타고 걸어가면 운하가 나옵니다.


가는 길에 상점가도 보이고, 이런저런 유서깊은 고건축물도 보이곤 하는데 일단은 쭉 내려가서 운하를 한바퀴 뺑 돌고 나머지를 둘러보던지 하도록 합시다. 일단 목적은 운하였기에 말이죠. 



모두 운하방향으로 내려가는 줄 알았던 다른 관광객들은 상점가로 빠지기도 합니다.


우리내 전통시장처럼 비가림용 아케이드도 잘 만들어져 있고, 밝고 화사한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다시 삿포로로 돌아가던 길에 들려보긴 했습니다만 식당이나 잡화점이 대부분이더군요.



담배가게는 문을 닫았고, 담배 자판기만이 일요일 오전에 영업을 하고 있었답니다.


자판기 대국인 일본에는 별별 잡다한 자판기가 많습니다만, 담배 자판기는 흔히 볼 수 있는 자판기랍니다. 저래뵈도 성인임을 인증하는 신분증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기에 아빠 신분증 몰래 훔쳐온 고딩이 아닌이상 청소년에게 담배를 판매할 일도 없겠지요.


대마도 가서 가이드 아주머니가 설명해주신 내용을 들은 얘기입니다만, 외국인은 신분증으로 인증절차를 진행 할 수 없기에 사람이 있는 가게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고 하더랍니다.



이건 뭐 교차로나 벼룩시장같은 무가지를 넣어두는 통인가 하고 봤더니만....


무가지함이 아니라 재설용 모래함이라 하는군요. 궁굼증에 열어볼 외국인 그리고 일본 현지인 관광객을 위해 친절하게도 설명을 붙여두었습니다. 어쩌다 한번 눈이 내릴까 말까 하는 동네가 아니라 이래저래 4월까지 눈이 내리는 동네인지라 중요한 기물이겠죠.



미나토 치과(みなと 齒科)


항구로 내려가는 길목에 항구(巷)[미나토]라는 이름을 가진 치과가 존재하더군요. 당연히 휴일이라 휴진입니다.



옛 정취를 그대로 간직한 동네이다보니 인력거꾼들도 많습니다.

인력거꾼이라면 우리에겐 원조 츤데레 김첨지가 있습니다.


정통 인력거들도 있는 반면에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를 보는 자전거 연결형 인력거라던지 저런류의 간단한 인력거들이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저같이 홀로 여행을 온 관광객에겐 타지 않을걸 알기에 호객행위조차 하지 않더군요. 가족단위로 온 관광객들에게 호객행위를 하곤 합니다.



항구에 가까워질수록 서양풍 건물들이 눈에 띕니다.


대부분은 현재 기념관이나 여타 다른 상업시설로 활용되고 있답니다. 저 건물 역시 레스토랑과 원예용품점으로 사용되고 있더군요. 이런식으로 오래된 고건축물도 아직 현역으로 잘 활용되고 있답니다.


운하 그리고 항구로 넘어가는 다리가 보입니다. 19부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