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6/04/1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 공항에서 있었던 일

2016/04/1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2) 신 치토세 공항 입성!

2016/04/1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3) 레일패스 발권, 삿포로역으로!

2016/04/2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4) 네스트 호텔 삿포로에키마에, 마츠야에서의 점심

2016/04/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5) 삿포로 시 시계탑 -1

2016/04/2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6) 삿포로 시 시계탑 -2

2016/05/02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7) 호텔, 홋카이도 구 도청사를 향하여

2016/05/0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8)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1

2016/05/0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9)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2

2016/05/1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0)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 完

2016/05/1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1) 오도리(大通り) 공원

2016/05/1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2) 삿포로 TV타워

2016/05/19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3) 오덕빌딩, 다누키코지 상점가 - 1

2016/05/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4) 다누키코지 상점가 -2, 1일차 마무리

2016/05/2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5) 2일차 아침,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1

2016/05/3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6)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2

2016/06/0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7)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3, 오타루(小樽)를 향하여

2016/06/0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8) 오타루(小樽)역, 운하를 향하여


18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나름 운하의 중심부에 왔습니다. 


북일본 창고 해운 회사(北日本 倉庫 港運 會社)의 간판이 걸린 창고가 보이고, 이 회사와 다른 오래된 회사를 합병해서 새롭게 출범한 해운회사인 NST의 법인이 바로 옆에 소재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자리 밑에서 오타루 크루즈(?)라 부르는 운하 관람용 유람선이 뜬다고 하는군요.



소개는 크루즈라고 합니다. 뭐 여튼 명칭에 의문이 가긴 하지만 유람선은 유람선입니다.


마치 이탈리아 베네치아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곤둘라와 비슷한 분위기를 풍깁니다. 운항시간은 약 40분. 정원은 약 40명정도 되는 이 조그마한 배에 가이드 한사람이 동승해서 운하 곳곳을 소개해준다 합니다. 일어가 능통하지 않으니 타도 설명을 제대로 들을 수 없는 상황인지라 패스합니다.


이태리 베네치아에 다녀오신 모 지인분의 말씀을 빌려서 얘기하자면.. 베네치아 물은 똥물이랍니다. 



나름 크루즈는 크루즈라고 탁상이 구비되고 비바람을 막아주는 최고급 크루즈선도 보입니다.



크루즈는 크루즈대로 떠나고 저는 저대로 걸어서 운하를 한바퀴 돌기로 합니다.


운하 끝으로 조용히 걸어가다 보니 어느순간 관광객들은 죄다 사라졌습니다. 일본 특유의 서정적인 빈 거리만 보일 뿐. 바람도 매섭게 불고 혼자 온 관광객의 마음속은 점점 더 차가워 집니다.



月見橋(つきみはし)


츠키미하시. 말 그대로 달을 보는 다리. 달맞이 다리라 합니다. 동명의 다리가 삿포로시 교외의 죠잔케이온천(定山渓温泉)에 소재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그곳은 관광명소입니다만, 삿포로 근교의 운하 한복판에 소재한 이 다리는 그저 그런 평범한 다리에 속합니다.



밤에 보면 달빛이 비춰질진 모르겠으나, 낮에 보니 갈매기 배설물로 오염되어 있습니다.


닦아도 또 닦아도 눈치없는 갈매기들은 아무곳에나 똥을 싸고 도망가겠죠. 훈련이 되는 동물도 아니고 그렇다고 갈매기떼를 모두 내쫒지도 못하는 일이니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저기에 던져주고 남은 새우깡 부스러기들도 꽤나 보이겠지요.



최고급 유람선을 타고 관람중이신 여행객들이 저 옆으로 유유히 지나갑니다.


일어만 좀 잘했더라면.. 통역이라도 해 줄 사람이 있었더라면.. 한국인 가이드가 있었더라면.... 흠..



걷고 또 걸어봅니다. 현재도 항구로 사용중인 부분이다보니 정박중인 배들도 많이 보입니다.


항구가 있고, 운송의 편리성을 위해 운하를 조성했겠죠. 여타 다른 운하와는 달리 기존의 해안선을 정리하면서 만든 운하인지라 제가 지금 걷고있는 이 자리는 간척지가 아닐까 싶네요.



일요일에도 열심히 일을 하고 계신 냉동탑차 기사아저씨.


작은 삼거리에 지나가는 그 어떤 차도 없었는데도 나름 전방과 좌측을 잘 살피고 좌회전을 하십니다.



駐 車 禁 止


그렇습니다. 작업차량이 드나드는 통로이기에 주차를 금지한다는 문구가 선명합니다. 현재도 해안가의 오래된 창고를 사용하는진 모르겠지만, 근처에 주차된 차량이 단 한대도 없었답니다.



미쓰비시후소 슈퍼 그레이트 4X2 트랙터.


언제나 말이 많은 미쓰비시후소의 대형트럭 슈퍼 그레이트의 트랙터형 모델입니다. 종전 모델인 더 그레이트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차량이지요. 나름 크롬으로 떡칠을 하신 차주 아저씨께서 일요일에도 열심히 일을 하고 계신 모습입니다.



차도 사람도 없고, 바람만 휑하게 부는 다리를 건너봅니다. 바닷바람 정말 매섭습니다.



운하 구석에는 소형 선박들이 정박해 있습니다. 큰 배는 항구에.. 작은 배는 운하 구석에..



다리 위에서 바라보는 오타루 운하와 오타루시 시내 전경.



일본도 사람사는 동네는 맞나봅니다. 다리 밑에 TV를 비롯한 생활쓰레기가 보이는군요.



도심 한복판에선 보기 힘들었던 양카들이 슬슬 보이기 시작합니다.


VIP스타일의 3세대 LS입니다. 일본 내수에선 토요타 셀시오. 우리네 VIP 세단 차량들처럼 삐딱한 캠버각과 도저히 국내에선 탄다는게 불가능한 지상고.. 뭐 여튼 세단튜닝의 본국에서 그런류의 차량을 보니 반갑기만 합니다. 



저 멀리 눈으로 뒤덮인 산봉우리와 스키장이 보입니다.


평화로운 오타루의 4월. 지금은 뭐 꽃도 피고 싹도 텄겠지만, 4월 중순에도 눈으로 뒤덮인 봉우리와 성업중인 스키장이 어우러진 운하의 경관을 볼 수 있다는건 행운이 아닐까 싶습니다.



운하 끝자락 부근의 공업사에 세워진 신형 피트 한 대.


혼다의 소형차 피트(Fit)입니다. 어르신이 운영하는 작은 공업사에서는 크고작은 정비작업이 진행중이였고.. 범퍼가 탈거된 피트는 그 앞 골목길에서 파츠 조립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라디오를 켜놓고 열심히 차를 수리중이신 어르신을 뒤로하고 작은 골목길로 들어갑니다.


20부에서 계속..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요즘 티코를 출자자 친구가 타고다닙니다. 알바를 다니는데 도저히 자기차론 못다니겠다면서 티코를 탑니다. 그래놓곤 그동안 손을 좀 대야지 싶었던 부분을 아주 잘 만져주고 있습니다. 정작 처음엔 반신반의 하던 사람이 지금은 티코의 매력에 빠져버려서 티코를 한대 더 가져온다 하고 있습니다. 


뭐 여튼간에 참으로 고마운 친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고로 올순정을 지향했지만, 한순간에 LED가 심어져버린 차가 되어버리고 마는군요. 뭐 쉽게 복원이 가능한 부분인지라 크게 신경쓰이진 않습니다.



먼저 티코는 계기판이 뜯겨나갔습니다.


계기판 커버 위의 볼트 두개를 풀어준 뒤, 양쪽 고정나사 네개를 풀어주면 됩니다. 의외로 공간이 협소한지라 계기판을 잡아당기는데에 크나큰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탈거된 몰골입니다. 두개의 컨넥터를 잡아당겨서 탈거해주고, 스피드케이블 역시 잡아당겨줍니다.


휑한 모습. 근 20년만에 계기판에 숨겨져있던 모든것들이 빛을 다시 보고있는 모습입니다.



탈거된 계기판과 커버.



그시절 나오던 여느차량과 다르지 않게 기판 위로 전구다이가 보입니다.


자잘한 물건들은 경고등 전구. 가운데 비교적 큰 물건들이 미등을 켜면 계기판을 비추어주는 역활을 하는 그런 전구들입니다. 규격은 T10. 작은건 T6.5가 들어갈겁니다.



백열전구에 연두색 고무커버가 덮여있습니다. 저 커버를 벗겨내면 그저 그런 전구가 나오죠.


여튼 전구를 탈거하고 LED 다마를 그 자리에 꼽아줍니다.



손쉽게 작업 완료.



공조기로 넘어갑니다. 공조기는 작디작은 호롱불만이 어두운 밤을 비추어주고 있답니다.


조작을 위한 플라스틱 스위치를 죄다 잡아당겨서 탈거하고 커버를 드러내면 연두색 빛을 내고있는 전구가 하나 보입니다. 저걸 탈거하고 그 자리에 LED 전구를 넣어주면 됩니다.



도저히 공간도 안나오고 빠지지도 않아서 다이렉트로 연결했다네요. 밝긴 밝습니다.



커버를 덮으니 LED 특유의 색감이 살아나는군요. 뭐 이래저래 쉽게 끝납니다.



밝은지라 잘 보이진 않습니다만. LED 특유의 하얀 빛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다음은 실내등입니다. 


상태도 썩 좋진 않지만, 전차주 아저씨께서 호롱불에 불만을 가지시고 직접 DIY를 해놓으셨답니다. 물론 밝긴 밝은데 너무 밝은지라.. 이것 역시 제치로 바꿔주기로 합니다.



대공사를 한건 다행스럽게도 아니군요.


기존의 전구 브라켓에 배선을 연결해서 저 크디 큰 전구에 연결한 상태입니다. 감았던 전선만 쉽게 풀어주면 탈거는 끝납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LED 전구만 올려주면 모든 작업이 끝나지요.



허무하고 간단하게도 끝이났습니다.


커버까지 덮어주니 종전보단 훨씬 깔끔해졌습니다. 조만간 부품 구매시 실내등 앗세이 역시 새로 구매할 예정인지라 그때까지만 저 커버로 버텨주면 되겠지요. 어찌보면 참 간단하고 기본적인 DIY라고 보기도 힘든 부분이고 구닥다리랑은 조금 거리가 먼 부분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일단 깔끔하고 편리한게 좋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