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6/04/1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 공항에서 있었던 일

2016/04/1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2) 신 치토세 공항 입성!

2016/04/1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3) 레일패스 발권, 삿포로역으로!

2016/04/2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4) 네스트 호텔 삿포로에키마에, 마츠야에서의 점심

2016/04/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5) 삿포로 시 시계탑 -1

2016/04/2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6) 삿포로 시 시계탑 -2

2016/05/02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7) 호텔, 홋카이도 구 도청사를 향하여

2016/05/04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8)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1

2016/05/06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9)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2

2016/05/1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0) 홋카이도 구 도청사(아카렌가) - 完

2016/05/1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1) 오도리(大通り) 공원

2016/05/1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2) 삿포로 TV타워

2016/05/19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3) 오덕빌딩, 다누키코지 상점가 - 1

2016/05/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4) 다누키코지 상점가 -2, 1일차 마무리

2016/05/2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5) 2일차 아침,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1

2016/05/30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6)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2

2016/06/0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홋카이도(북해도) 여행 이야기 (17) 국립 홋카이도 대학교 -3, 오타루(小樽)를 향하여


계속 이어집니다.




오타루역에 도착했습니다. 현재 시각은 10시 45분..


열차가 종점인 오타루역에 도착하니 정말 썰물처럼 승객들이 플랫홈으로 이동합니다. 일요일이기도 하고 홋카이도의 중심지이자 300만 인구를 자랑하는 대도시 삿포로에서 30분정도 걸리는 가까운 거리에 소재한 관광지이다보니 이래저래 사람들로 붐비는거겠죠.


오타루는 인구 14만 수준의 항구도시입니다. 이시카리만에 붙어있는지라 북해도 개척 당시 물류수송의 관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합니다. 이 동네엔 우리 2MB 가카께서 좋아하실법한 운하가 존재합니다. 내륙을 파낸 운하가 아니라 해안선을 다듬어서 만들어낸 운하라 하는군요.


지금은 물류 및 여객 운송의 역활보단 관광지로써의 그 기능이 대두되고 있다 합니다. 뭐 오타루시 자체가 관광으로 먹고사는 동네니 말이죠. 홋카이도 개척당시의 서양식 건물들이나 오래된 창고들이 의외로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우리로 치자면 군산이나 장항같은 동네처럼 말이죠.



그냥 스시남 아저씨들 가는 방향으로 따라서 나갑니다.


저 혼자 반대로 갈 필요는 없지요. 아저씨들을 따라서 가니 플랫홈 밖으로 나갈 수 있었답니다.



우리내 서울 근교 항구도시 인천처럼 오래전부터 철도가 놓여졌고 기반시설이 만들어진듯 보입니다.


오타루역 플랫홈에 놓인 전등 역시나 꽤 오랜 세월동안 불을 비추었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요즘 나오는 규격의 전등이라던가 밝고 효율도 좋은 LED 전구 역시 많습니다만, 녹이 피어나는 빔대와 함께 오타루라는 도시가 지내온 세월 그 자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마어마한 인파를 따라서 출입문으로 나왔습니다.


다들 출입문으로 나오니 따라서 나왔을 뿐이죠. 한국어 가이드맵은 비교적 찾기 쉬운곳에 있어서 하나 들고 나왔답니다. 오타루역 바로 앞에는 버스터미널이 존재하고, 눈에 보이는 사람은 대다수가 역에서 나온 사람들이긴 합니다만, 오후시간대엔 나름 현지인들도 많이 돌아다니는걸로 보이더군요.



역에서 쭉 쥬오거리를 타고 걸어가면 운하가 나옵니다.


가는 길에 상점가도 보이고, 이런저런 유서깊은 고건축물도 보이곤 하는데 일단은 쭉 내려가서 운하를 한바퀴 뺑 돌고 나머지를 둘러보던지 하도록 합시다. 일단 목적은 운하였기에 말이죠. 



모두 운하방향으로 내려가는 줄 알았던 다른 관광객들은 상점가로 빠지기도 합니다.


우리내 전통시장처럼 비가림용 아케이드도 잘 만들어져 있고, 밝고 화사한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다시 삿포로로 돌아가던 길에 들려보긴 했습니다만 식당이나 잡화점이 대부분이더군요.



담배가게는 문을 닫았고, 담배 자판기만이 일요일 오전에 영업을 하고 있었답니다.


자판기 대국인 일본에는 별별 잡다한 자판기가 많습니다만, 담배 자판기는 흔히 볼 수 있는 자판기랍니다. 저래뵈도 성인임을 인증하는 신분증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기에 아빠 신분증 몰래 훔쳐온 고딩이 아닌이상 청소년에게 담배를 판매할 일도 없겠지요.


대마도 가서 가이드 아주머니가 설명해주신 내용을 들은 얘기입니다만, 외국인은 신분증으로 인증절차를 진행 할 수 없기에 사람이 있는 가게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고 하더랍니다.



이건 뭐 교차로나 벼룩시장같은 무가지를 넣어두는 통인가 하고 봤더니만....


무가지함이 아니라 재설용 모래함이라 하는군요. 궁굼증에 열어볼 외국인 그리고 일본 현지인 관광객을 위해 친절하게도 설명을 붙여두었습니다. 어쩌다 한번 눈이 내릴까 말까 하는 동네가 아니라 이래저래 4월까지 눈이 내리는 동네인지라 중요한 기물이겠죠.



미나토 치과(みなと 齒科)


항구로 내려가는 길목에 항구(巷)[미나토]라는 이름을 가진 치과가 존재하더군요. 당연히 휴일이라 휴진입니다.



옛 정취를 그대로 간직한 동네이다보니 인력거꾼들도 많습니다.

인력거꾼이라면 우리에겐 원조 츤데레 김첨지가 있습니다.


정통 인력거들도 있는 반면에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를 보는 자전거 연결형 인력거라던지 저런류의 간단한 인력거들이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저같이 홀로 여행을 온 관광객에겐 타지 않을걸 알기에 호객행위조차 하지 않더군요. 가족단위로 온 관광객들에게 호객행위를 하곤 합니다.



항구에 가까워질수록 서양풍 건물들이 눈에 띕니다.


대부분은 현재 기념관이나 여타 다른 상업시설로 활용되고 있답니다. 저 건물 역시 레스토랑과 원예용품점으로 사용되고 있더군요. 이런식으로 오래된 고건축물도 아직 현역으로 잘 활용되고 있답니다.


운하 그리고 항구로 넘어가는 다리가 보입니다. 19부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나홀로 이사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래저래 업무도 바쁘고 생각할 거리도 참 많습니다만, 이사를 마치고 어느정도 자리를 잡는다면 뭐 다시 종전처럼 평화롭던 일상으로 돌아오리라 굳게 믿고 있습니다. 지난 일요일입니다. 아침 일찍 일어난 김에 방을 치우고 책상을 이사갈 집으로 옮겨두기로 합니다. 


이사갈 집으로 옮겨 갈 물건이래봐야 제 방에 존재하는 물건들일텐데. 책상 그리고 침대와 붙박이장이 전부인 아주 작은 방입니다. 당연하게도 붙박이장은 이동이 불가한 부분이니 생략하고 책상과 침대정도만 옮기면 사실상 이사는 끝난겁니다.



이 집으로 2007년 4월 24일에 이사를 왔으니.. 약 10여년 만에 대규모 정리를 진행합니다.


그 당시 새로 맞춘 책상은 저 자리에서 단 한발짝도 움직이지 않았었고, 그런만큼 근 10여년 혹은 그 이상의 세월을 함께 했던 물건들이 대다수입니다. 뭐 대부분이 추억돋는 중학생 고등학생 시절의 물건들이였습니다만, 보존의 가치가 있는 물건들은 버리지 않고 남겨두기로 했습니다.



쓰레기장에 두번정도 다녀온 뒤의 모습입니다.


그렇습니다. 중학교 3학년때 치뤘던 영어 듣기평가 시험지도 쏟아져 나오고, 인화까지 마쳤지만 미처 당사자들에게 전해주지 못하고 책상 한켠에 남아있던 고등학교 수학여행 당시 사진들 그리고 대학 합격증서와 오래전 티스도리닷컴 이벤트 당시 부득이한 사유로 반송되어 왔던 서류봉투도 모두 볼 수 있었답니다.


그 중 일부는 새 집으로 가져가기로 하고, 상장이나 기타 세월이 흘러가면 보존가치가 있다 판단되는 물건이나 나중에 언젠가 자녀에게 보여줄법한 영구보존물은 이 집 장롱 위에 남겨두기로 합니다.



노트가 참 많습니다.


대학에 복학하지 않는 한 사실상 크게 쓸 일이 없는데 너무 많습니다. 스케치북도 그렇고 누구 주려고 내놨네요. 그 외에도 2009 2013 서울모터쇼 카탈로그를 비롯한 지금은 단종된 차량들의 카탈로그도 따로 쇼핑백에 모아놨습니다. 언제든 흥미있는 사람을 본다면 건네줘야죠. 



도저히 책장까지는 못하겠더라구요. 일단 책장만 남기고 청소기를 동원해서 묵은 먼지를 털어냅니다.


그 무거운 책상 부속물들은 저 혼자서 들어 날랐습니다. 그냥 힘들어서 의욕이 없네요.



곧 내포신도시 새 아파트로의 이주를 대기중인 책상 서랍.


약 10여년 전 입주 당시에나 이곳을 지나쳐 갔을 요 서랍장은 근 10여년 만에 바깥구경을 하게 되었답니다. 그래봐야 그리 먼 거리도 아니고 다시 집 한구석에 갖혀버릴 운명이지만 말이죠.



그러고는 곧 지인분의 따끈따끈한 16년 6월식 포터를 이용하여 짐을 날랐답니다.


길들이기 겸 장거리를 내려오신 그분의 200키로도 안 탄 따끈따끈한 신차 포터에 처음으로 적재하는 짐이 되어버렸네요. 뭐 여튼 33만km 이상 주행한 다썩은 회사차만 타다가 따끈따끈한 새 차를 타니 여러모로 좋네요. 


+ 방을 정리하던 도중에 나름 가치있는 레어탬을 발견했습니다.



2004~2006년도 현대자동차 다이어리입니다.


현대차 임직원이나 고객들에게 배부되었던 이 다이어리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책장 한켠에 자리잡고 있었지요. 가끔 펴보긴 했지만, 사용감은 없는 그런 물건이랍니다.


2004년 다이어리라면 2003년에 제조되었을테고, 그런식으로 2003~2005년에 제조된 현대차 다이어리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이 다이어리에는 현대차의 슬로건 변화와 라인업 변화에 따라 나름 구성이 변화하고 하는데, 3년동안의 현대차 라인업 변천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04년 다이어리의 전차종 라인업. 2003년 기준이겠죠.


고로 2003년 연말부로 단종된 갤로퍼와 그레이스의 모습 역시 2004년 다이어리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메인 이미지에 사용된 차종은 당해에 F/L을 통해 새롭게 탄생한 '뉴 아반떼 XD'와 그릴이 바뀌고 새 휠이 적용된 '뉴 EF 쏘나타' 그리고 후미등 디자인이 자꾸 변화하던 '그랜져 XG'와 당대 도시형 SUV로 큰 인기를 끌었던 '싼타페(SM)'으로 채워져 있었습니다. 지금도 도로에서 그리고 중고차 시장이나 폐차장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차량들이죠. 그만큼 많이 팔리기도 팔렸단 이야기입니다.



2005년 다이어리에는, 명차의 새로운 감동이란 슬로건으로 등장한 5세대 NF쏘나타의 독차지입니다.


현대차의 기술력 그리고 디자인의 절정이던 NF쏘나타는 국내 그리고 해외에서까지 인정받았던 명차가 아닐까 싶습니다.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택시모델은 2014년까지 꾸준히 팔려나가는 기염을 토해냈고, 지금도 그 어느곳을 가더라도 흔히 볼 수 있는 차량이죠.


쏘나타에 묻혀버린 투싼과 포터2의 등장. 스타렉스 트라제 마이티 메가트럭 및 뉴파워트럭의 부분변경이 있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2006년 다이어리는 투톱체계입니다.


걸작이라 불리는 4세대 그랜져(TG)와 2세대 싼타페(CM)입니다. 2005년 출시 이후 6년 넘는 세월동안 정말로 많이 팔린 차량들입니다. 그 외 베르나도 풀체인지가 되었습니다만, 저 구석에 조그마하게 소개가 되어있을 뿐이지 어떠한 언급도 없더군요.


이 다이어리는 10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은 그저 철지난 물건일테지만, 앞으로 10년 뒤 20년 뒤엔 분명히 그 가치를 인정받으리라 생각되어 장롱 위에 올려두기로 했습니다. 수십년 후에 손자가 진품명품에 가지고 나가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